ISSN : 1229-0688
본 연구는 한국에서 전문적인 상담분야를 대표할 수 있는 법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관련 법률이 부재하였음을 인식하여 법률 제정에 관한 필요성을 논하고 한국 상담사법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될 수 있는 예비적 성격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전문직 관련 법률인 의료법, 변호사법, 공인회계사법과 미국 미네소타 주의 공인상담법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였고, 전문적 지식과 기술, 사회봉사, 독점권, 면허와 자격 기준, 전문직 단체, 자율성과 자기규율, 윤리강령 등의 7가지 핵심 요소와 관련한 조항들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상담사법 내에 포함되어야 할 전문직업성 요소를 구성하였으며 다른 법률들의 조문 구조를 본 따 한국 상담사법의 조문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 상담사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7가지 전문직업성 요소들을 조문 구조에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한국 상담사법 초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 및 의의, 그리고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한국의 상담사법이 제정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후속적인 연구 수행을 제안하였고 법률 제정에 대한 준비와 체계적인 진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pilot study in which the need for establishing the Counselor’s Law in Korea and its contents were described. We derived the clauses related to the seven core elements includ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community service, exclusivity, license and qualification standar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utonomy and self-discipline, and moral principles. By analyzing the composing elements of the three representative professions’ laws in Korea (i.e., Medical Law, Attorney’s Law, and Certified Accountant’s Law,) and the counselor’s law in the United States (i.e., Minnesota State Law for Licensed Professional Counseling), authors have composed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nselor’s Law in Korea. Authors also tentatively wrote the text of the Korea’s Counselors Law. Then, authors finally constructed a draft of Counselor’s Law in Korea by creating its provisions.
강진령, 이종연, 손현동 (2007). 학교 상담자들이 직면하는 윤리적 갈등과 대처 방법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5(1), 17-27.
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동 (2009). 상담자윤리. 서울: 학지사.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2011). 학교상담진흥법안【이철우의원 대표발의】학교상담지원에 관한 법률안【김진표의원 대표발의】검토보고.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계현 (1997). 상담심리학: 적용영역별 접근 (개정증보판). 서울: 학지사.
김만웅 (2010). 이혼숙려기간과 상담법제화에관한 연구. 동아법학, 48, 639-685.
김매경 (2006). 협의이혼제도 개선안에 대한소고. 가족법연구, 20(3), 2-46.
김봉환 (2002). 상담전공자의 직무수행 영역확대를 위한 탐색적 논의. 대학생활연구,20, 1-27.
김인규 (2009). 학교상담 법제화 방향 탐색 연구. 교육학연구, 47(1), 20-47.
김정오 (2011). 마음의 탐구.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지현 (2009). 협의이혼 과정에서의 상담서비스제도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노안영 (1994). 상담심리학의 최근 동향. 학생생활연구, 26, 99-113.
명대정 (2000). 상담의 전문직화 방안: 주요전문직(변호사, 의사, 공인회계사)의 선례분석을기초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기연 (2004). 집단상담에서의 상담윤리 강령.연세교육연구, 17(1), 99-111.
송병호 (2006). 한국 전․의경의 복무환경과구타․가혹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2(2), 1-32.
유재두 (2006). 한국 전․의경의 인권실태와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민 (2009). 학교상담법제화 방향 토론. 2009 학교상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학교상담학회.
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9(3), 539-567.
이숙영, 김창대 (2002).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교육학연구, 40(2), 231-250.
이장호 (2005). 상담심리학 (제4판). 서울: 박영사.
이재창 (1996). 인간성 회복을 위한 상담 전문가의 역할. 대학상담연구, 7(1), 1-20.
이재창 (1998). 새로운 상담자 역할 모형. 대학생활연구, 16, 89-107.
이혜성 (1994). 중․고․대학에서의 전문적 상담 현황. 대학생활연구, 12(1), 69-89.
이홍숙, 주수현, 김효정 (2011). 인턴 상담원의상담자 발달에서의 결정적 사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833-859.
임선희, 임정섭 (2009). 충남대학교 상담기관실태 및 발전 방안. 학생생활연구, 34,1-47.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 (1995).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주은선, 김인숙 (2004). 학교상담의 현황 및 인식조사연구. 덕성여대논문집, 33, 183-210.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상담원이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7(1), 75-90.
지승희, 이명우, 신효정, 김태선, 송은미, 김소라 (2005). 2005 인턴상담원 운영 보고서.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최윤경 (2003). 한국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최윤경 (2004). 한국 상담자의 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17(2), 147-173.
최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5(2), 179-200.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상담전문가 윤리강령. (http://www.krcpa.or.kr)
한국상담학회 (2011). 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윤리강령. (http://www.counselors.or.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자격제도의 종합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황순길 (2000). 청소년상담 관련법과 제도: 청소년상담 관련법과 행정.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황준성, 김성기, 이덕난, 안병천 (2011). 학교상담법제화에 대한 요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1), 347-374.
Association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1993). Ethical guidelines for counseling supervisors. ACES Spectrum, 53(4), 3-8.
Bartolo, P. A. (2005). Regulating the psychology profession in Malta. European Psychologist, 10(1), 76-77.
Ben-Ari, A., & Somer, E. (2004). The aftermath of therapist-client sex: Exploited women struggle with the consequence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1(2), 126-136.
Castellblanch, R., & Abrahamson, D. J. (2003). What focus groups suggest about mental health parity policy making.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4(5), 540-547.
Corey, G., Corey, M. S., & Callanan, P. (2008).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 (제7판) [Issues and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서경현, 정성진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원전은 2007에 출판).
DeMers, S. T., & Bricklin, P. (1995). Legal, professional,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psychologists' delivery of health care services in school setting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0(3), 217-235.
Disch, E. (2006). Sexual victimization and revictimization of women by professionals: Client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treatment. Women and Therapy, 29(1-2), 41-61.
Domke, J. A. (1982). Current issues in counseling psychology: Entitlement, education, and identity confusion. Professional Psychology, 13(6), 859-870.
Eichenberg, C., Becker-Fischer, M., & Fischer, G. (2010). Sexual assaults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Health, 2(9), 1018-1026.
Goldschmitt, M., Tipton, R. M., & Winggins, R. C. (1981). Professional identity of counseling psychologis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2), 158-167.
Goode, W. J. (1957). Community within a community: The profess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2(2), 194-200.
Greenwood, E. (1957).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2(3), 45-55.
Forge, J. L., & Henderson, P. (1990). Counselor competency in the courtroom.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8(4), 456-459.
Hanna, F. J. & Bemak, F. (1997). The quest for identity in the counseling profession.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36(3), 194-206.
Hoise, T. W. (1995). Counseling specialties: A case of basic preparation rather than advanced specializ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2), 177-180.
House, R. (1996). The professionalization of counseling: A coherent case against?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9(4), 343-358.
Laurenson, H., & Swartz, S. (2011). The professionalization of psychology within the apartheid state 1948-1978. History of Psychology, 14(3), 249-263.
McCully, C. H. (1962). The school counselor: Strategy for professionalization. Personal and Guidance Journal, 40(8), 681-698.
Menninger, K. A. (2010). 인간의 마음 무엇이 문제인가? (1) [The human mind]. (설영환역). 서울: 선영사(원전은 1930에 출판).
Miller, D. (2002). Advancing mental health in political plac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3(3), 277-280.
Morin, L. A. (1989). Civil remedies for therapist-patient sexual exploitation. Golden Gate University Law Review, 19(3), 401-434.
Nagy, T. F. (2005). Ethics in plain English: An illustrative casebook for psychologists (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sipow, S. H., Cohen, W., Jenkins, J., & Dostal, J. (1979). Clinical versus counseling psychology: Is there a difference? Professional Psychology, 10(3), 148-153.
Palmo, A. J. (1990). Mental health counseling: Definitely a profession itself.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0(1), 114-119.
Remley, T. P. (1995). A proposed alternative to the licensing of specialti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2), 126-129.
Ritchie, M. H. (1990). Counseling is not profession yet.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29(1), 220-227.
Schmidt, J. J. (2007). Counseling in schools: Comprehensive programs of responsive services for all students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Short, R. J., & Talley, R. C. (1997). Rethinking psychology and the schools: Implications of recent national policy. American Psychologist, 52(3), 234-240.
Sullivan, M. J. (2001). Psychologists as legislators: Results of the 1998 electio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0(3), 250-252.
Talley, R. C., & Short, R. J. (1996). Social reforms and the future of school practice: Implications for American psycholog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7(1), 5-13.
Tarvydas, V. M., & Leahy, M. J. (1993). Licensure in rehabilitation: A critical incident in professionaliz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37(2), 92-108.
Wilensky, H. L. (1964). The professionalization to everyon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2), 13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