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소명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Dik, Eldridge와 Steger(2008)의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를 번안 및 수정하여 제작한 한국판 소명 척도(CVQ-K)를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먼저 원척도의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절차를 거쳐 번안한 예비척도에 대해 26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644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달리 소명의 존재와 추구 요인이 구별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CVQ-K는 소명존재를 측정하는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의미-존재, 친사회적 지향-존재의 3요인, 12문항만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문항들이 각 요인에 수렴되고 요인들끼리도 변별되어 요인구조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전체 및 각 하위 척도의 내적합치도가 적절하였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CVQ-K가 시간에 걸쳐 대체로 안정적인 검사임을 보여주었다. 소명과 관련된 척도들과의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with Korean undergraduates.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the 24 items of Dik, Eldridge, and Steger(2008)'s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N=265) showed tha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items, suggesting a different finding from the 6-factor model of the CVQ. To allow the assessment of cross-national consistency among the presence of calling subscales in the future, all search items were eliminated, with 12 presence items measuring Transcendent Summons-Presence, Purpose/Meaning-Presence, and Prosocial Motivation retained in the CVQ-K.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644) indicat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to the data. CVQ-K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moderate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Correlational and regression analyses with relevant scales also support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CVQ-K.
김아영, 임은영 (2003). 타문화권 척도 번안과정에서 적용되는 절차들 간의 효과비교.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1), 89-113.
김아영, 차정은, 권선중, 이순묵 (2011). CPGI의한국판 제작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4), 1011-1038.
박용오 (200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주현, 유성경 (2012).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13(2), 543-560.
심예린 (2010). 한국판 소명척도 타당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난미, 이은경 (2012). 대학생의 진로소명과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4(1), 51-68.
안신능 (2006). 자기개념에 따른 불일치와 삶의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오수진 (2011). 신앙성숙수준 및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독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척도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이기학 (2003).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3-21.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이기학, 한종철 (1998).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0(1), 167-189.
이상희 (2006). 대학생의 성향변인, 진로장애,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399-417.
이순묵 (1994).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7(1), 1-27.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이은경 (2011).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22(1), 115-140.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천 (2010). 공무원의 소명의식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 관계: 경기도 공무원을 대상으로.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주 (2007).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주리, 이기학 (2007). 의미발견을 통한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모형 검증:문제해결 책임감과 긍정적 재해석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8(4), 1309-1321.
조은애 (2011). 상담자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2), 179-189.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Bunderson, J. S., & Thompson, J. A. (2009). The call of the wild: Zookeepers, callings, and the double-edged sword of deeply meaningful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4(1), 32-57.
Davidson, J. C. & Caddell, D. P. (1994).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3(2), 135-147.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0.
Dik, B. J., Duffy, R. D., & Eldridge, B. M. (2009). Calling and vocation in career counseling: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meaningful work.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0(6), 625-632.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August, 2008).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Paper presented to the 117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Dik, B. J., Eldridge, B. M., Steger, M. F., & Duffy, R. D.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and Brief Calling Scale(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3), 242-263.
Dik, B. J., Sargent, A. M., & Steger, M. F. (2008). Career Development Strivings: Assessing goals and motivation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plann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5(1), 23-41
Dik, B. J. & Steger, M. F. (2008). Randomized trial of a calling-infused career workshop incorporating counselor self-disclos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3(2), 203-211.
Dobrow, S. (2006). Having a calling: A longitudinal study of young musicians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Dreher, D. E., Holloway, K. A., & Schoenfelder, E. (2007). The Vocation Identity Questionnaire: Measuring the sense of calling. In R. L. Piedmont(Ed.),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18 (pp.99-120). Brill: Leiden, Netherlands.
Duffy, R. D., Allan, B. A., & Dik, B. J. (2011). The presence of a call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Exploring potential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9(1), 74-80.
Duffy, R. D., Dik, B. J., & Steger, M. F. (2011). Calling and work related outcomes: Career commitment as a mediat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8(2), 210-218.
Duffy, R. D., & Sedlacek, W. E. (2007).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a calling: Connection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590-601.
Duffy, R. D., & Sedlacek, W. E. (2010). The salience of a career calling among college students: Exploring group differences and links to religiousness, life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1), 27-41.
Elangovan, A. R., Pinder, C. C., & McLean, M. (2010).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3), 428-440.
Hall, D. T. & Chandler, D. E.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2), 155-17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Y: McGraw Hill.
Steger, M. F., Kawabata, Y., Shimai, S., & Otake, K. (2008). The meaningful life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Levels and correlates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3), 660-678.
Steger, M. F., Pickering, N. K., Shin, J. Y., & Dik, B. J. (2010). Calling in work: S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1), 82-96.
Treadgold, R. (1999). Transcendent vocations: Their relationship to stress, depression, and clarity of self-concept.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39(1), 81-105.
Wrzesniewski, A. (1999). Jobs, careers, and callings: Work orientation and job transition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 (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1),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