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판 소명 척도(CVQ-K)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K)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소명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Dik, Eldridge와 Steger(2008)의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를 번안 및 수정하여 제작한 한국판 소명 척도(CVQ-K)를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먼저 원척도의 문항들을 번역 및 역번역 절차를 거쳐 번안한 예비척도에 대해 26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644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와 달리 소명의 존재와 추구 요인이 구별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CVQ-K는 소명존재를 측정하는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의미-존재, 친사회적 지향-존재의 3요인, 12문항만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문항들이 각 요인에 수렴되고 요인들끼리도 변별되어 요인구조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전체 및 각 하위 척도의 내적합치도가 적절하였으며,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CVQ-K가 시간에 걸쳐 대체로 안정적인 검사임을 보여주었다. 소명과 관련된 척도들과의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calling, college students, 한국판 소명 척도, CVQ-K, 소명, 대학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with Korean undergraduates.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the 24 items of Dik, Eldridge, and Steger(2008)'s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N=265) showed tha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items, suggesting a different finding from the 6-factor model of the CVQ. To allow the assessment of cross-national consistency among the presence of calling subscales in the future, all search items were eliminated, with 12 presence items measuring Transcendent Summons-Presence, Purpose/Meaning-Presence, and Prosocial Motivation retained in the CVQ-K.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N=644) indicated that the three-factor model demonstrated a good fit to the data. CVQ-K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moderate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Correlational and regression analyses with relevant scales also support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CVQ-K.

keywords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calling, college students, 한국판 소명 척도, CVQ-K, 소명, 대학생

참고문헌

1.

김아영, 임은영 (2003). 타문화권 척도 번안과정에서 적용되는 절차들 간의 효과비교.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1), 89-113.

2.

김아영, 차정은, 권선중, 이순묵 (2011). CPGI의한국판 제작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4), 1011-1038.

3.

박용오 (200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주현, 유성경 (2012).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13(2), 543-560.

5.

심예린 (2010). 한국판 소명척도 타당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양난미, 이은경 (2012). 대학생의 진로소명과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4(1), 51-68.

7.

안신능 (2006). 자기개념에 따른 불일치와 삶의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8.

오수진 (2011). 신앙성숙수준 및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독대학생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척도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10.

이기학 (2003).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3-21.

11.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12.

이기학, 한종철 (1998).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10(1), 167-189.

13.

이상희 (2006). 대학생의 성향변인, 진로장애,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399-417.

14.

이순묵 (1994).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7(1), 1-27.

15.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16.

이은경 (2011).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22(1), 115-140.

17.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순천 (2010). 공무원의 소명의식과 장애인에 대한 태도 관계: 경기도 공무원을 대상으로.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은주 (2007).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과 소명의식이 장기요양요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주리, 이기학 (2007). 의미발견을 통한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모형 검증:문제해결 책임감과 긍정적 재해석을 매개로. 상담학연구, 8(4), 1309-1321.

21.

조은애 (2011). 상담자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및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2), 179-189.

23.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24.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25.

Bunderson, J. S., & Thompson, J. A. (2009). The call of the wild: Zookeepers, callings, and the double-edged sword of deeply meaningful work.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4(1), 32-57.

26.

Davidson, J. C. & Caddell, D. P. (1994). Religion and the meaning of work.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3(2), 135-147.

27.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28.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0.

29.

Dik, B. J., Duffy, R. D., & Eldridge, B. M. (2009). Calling and vocation in career counseling: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meaningful work.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0(6), 625-632.

30.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August, 2008).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Paper presented to the 117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31.

Dik, B. J., Eldridge, B. M., Steger, M. F., & Duffy, R. D.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and Brief Calling Scale(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3), 242-263.

32.

Dik, B. J., Sargent, A. M., & Steger, M. F. (2008). Career Development Strivings: Assessing goals and motivation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plann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5(1), 23-41

33.

Dik, B. J. & Steger, M. F. (2008). Randomized trial of a calling-infused career workshop incorporating counselor self-disclos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3(2), 203-211.

34.

Dobrow, S. (2006). Having a calling: A longitudinal study of young musicians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35.

Dreher, D. E., Holloway, K. A., & Schoenfelder, E. (2007). The Vocation Identity Questionnaire: Measuring the sense of calling. In R. L. Piedmont(Ed.),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18 (pp.99-120). Brill: Leiden, Netherlands.

36.

Duffy, R. D., Allan, B. A., & Dik, B. J. (2011). The presence of a call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Exploring potential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9(1), 74-80.

37.

Duffy, R. D., Dik, B. J., & Steger, M. F. (2011). Calling and work related outcomes: Career commitment as a mediat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8(2), 210-218.

38.

Duffy, R. D., & Sedlacek, W. E. (2007).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a calling: Connection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590-601.

39.

Duffy, R. D., & Sedlacek, W. E. (2010). The salience of a career calling among college students: Exploring group differences and links to religiousness, life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1), 27-41.

40.

Elangovan, A. R., Pinder, C. C., & McLean, M. (2010).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3), 428-440.

41.

Hall, D. T. & Chandler, D. E.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2), 155-176.

42.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Y: McGraw Hill.

43.

Steger, M. F., Kawabata, Y., Shimai, S., & Otake, K. (2008). The meaningful life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Levels and correlates of meaning in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3), 660-678.

44.

Steger, M. F., Pickering, N. K., Shin, J. Y., & Dik, B. J. (2010). Calling in work: S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1), 82-96.

45.

Treadgold, R. (1999). Transcendent vocations: Their relationship to stress, depression, and clarity of self-concept.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39(1), 81-105.

46.

Wrzesniewski, A. (1999). Jobs, careers, and callings: Work orientation and job transition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47.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 Schwartz, B. (1997). Jobs, careers, and callings: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1), 21-3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