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문제성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에서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의 다중매개효과

Multiple Mediator Effect of Metacognition on the relation of Perceived Stress, Anxiety and Generalized Problematic Internet Us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이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를 매개로 하여 문제성 인터넷 사용(Generalized Problematic Internet Use: GPIU)에 이르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63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불안척도(SL-90-R), 단축형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 질문지(MCQ-30), 문제성 인터넷 사용 척도(GPIU-scale)를 이용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와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GPIU 간의 관계에서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불안,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불안과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 사이의 정적인 상관관계도 검증되었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불안의 경로,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상위인지의 경로, 불안에서 상위인지의 경로, 상위인지에서 GPIU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 GPIU의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GPIU 치료에 있어서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의 효용성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Generalized Problematic Internet Use(GPIU), Metacognition, Perceived Stress, Anxiety, 문제성 인터넷 사용(GPIU),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perceived stress, anxiety, metacognition, and generalized problematic internet use(GPIU). 36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do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level of perceived stress, anxiety, metacognition, and GPIU.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ositiv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interes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2) A path from perceived stress to anxiety, a path from perceived stress to metacognition, a path from anxiety to metacognition and a path from metacognition to GPIU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inal model. 3) There was a complete mediator effect of the metacognition on the relation of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GPIU and among perceived stress, anxiety and GPIU in the final mode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Generalized Problematic Internet Use(GPIU), Metacognition, Perceived Stress, Anxiety, 문제성 인터넷 사용(GPIU),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참고문헌

1.

권윤정, 이강이 (2011). 아동의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지식 및 전략. 아동교육, 20(1), 77- 94.

2.

김교헌, 최훈석 (2005). 인터넷 게임 중독: 자기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3.

김정호 (1995). 마음챙김 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11, 1-35.

4.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한국형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정보통신연구진흥원.

5.

김헌수, 이 난 (2005). 청소년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정서상태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6, 1-20.

6.

김혜은, 박 경, 정은혜, 한주연 (2009). 여대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 역기능적 상위인지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340-341.

7.

문현미 (2005).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 경 (2010).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상위인지와 마음챙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17-634.

9.

박승민 (2009).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607- 623.

10.

배병렬 (2011). (Amos 19.0)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출판사.

11.

서승연 (2001). 일상적 스트레스, 몰두 성향, 사회적 지지와 병리적 인터넷 사용.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주 (2002). 스트레스, 가상공간에서의 현실지각 및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설순호, 권석만, 신민섭 (2007). 걱정과 강박사고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125-144.

14.

소병헌 (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스트레스 자각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송 현, 이영순 (2012).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91-910.

1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17.

이연수 (201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인지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정민 (2010).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 정서, 상위인지, 상위-기분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정은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임경희 (2003). 정서문제 판별을 위한 상위인지(Metacognition)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3), 247-269.

21.

전주연 (2004). 외로움과 인터넷 사용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사회적 기술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전춘애, 박철옥, 이은경 (2008). 청소년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상담학연구, 9(2), 709-726.

23.

조현주 (2012).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우울경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827-846.

24.

통계개발원 (2012). 한국의 사회동향. 대전: 통계개발원.

25.

통계청 (2013). 2012 청소년 통계. http://kostat. 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55358

26.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선정 지수와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7.

Abramson, L. Y., Alloy, L. B., & Metalsky, G. I. (1988).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theories of depression: Toward an adequate evaluation of the theories' validities. In L. B. Alloy (Ed.),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 3-30. New York: Guilford.

28.

Armstrong, L., Philips, J. G., & Saling, L.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behavior internet uasage. Internet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53, 537-550.

29.

Beck, A. T. (1976). Cognitive theor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Meridian.

30.

Brown, K. (1987). Metacogntion, executive control, self regulation and other mysterious mechanisms. In F. E. Weinert & R. H. Klue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understanding (pp. 65- 116).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baum Associates.

31.

Caplan, S. E. (2002).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tn of a theory-based cognitive measurement instiru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87-195.

32.

Cartwright-Hatton, S., & Wells, A. (1997). Beliefs about worry and intrusions: the Meta- Cognitions questionnaire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1, 279-315.

33.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Hillsdale. New Jersey: Erbarum.

34.

Cohen, S., Kamara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24, 385-396.

35.

Cohen, S., & Williamson, G. (1988).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 S. In S. Spacapam & S. Okamp (Eds.), The social psychology (pp. 31-67). Newbury Park, CA: Sage.

36.

Crosby, J. M. (2011).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ompulsive pornography use: A randomizes clinical trial. All Graduate Theses and Dissertations Paper 999. http:// digitalcommons.usu.edu/etd/999

37.

Davis, R. A. (2001). A cognitive-behaviou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7, 187-195.

38.

Demetrovics, Z., Szeredi, B., & Rozsa, S. (2008). The three-factor model of Internet addiction: The development of the Problematic Internet Use Questionnaire. Behavior Research Methods, 40(2), 563-574.

39.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qui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ment, 50, 4-17.

40.

Goldberg, I. K.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http://www.usr.rider.edu/~suler/psycyber/supportgp.html.

41.

Gracia-Montes, J. M., Cangas, A., Perez-Alvarez, M., Hidalgo, A. M., & Gitierrez, O. (2005). Influence of metacognitive variables on paranoid ide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5(3), 463-469.

42.

Gross, J. J., & Thompson, R. A. (2007).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New york: Guilford Press.

43.

Hayes, S. C., Wilson, K. G.,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 (1996). Emotion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 1152-1168.

44.

Hayes, S. C. (2004).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he new behavior therapies. In S. C. Hayes, V. M. Follette, & M. M. Linehan (Eds.), Mindfulness and acceptance. New York: Guilford Press.

45.

Larsen, R. J. (2000). Toward a science of mood regulation. Psychological Inquiry, 11(2), 129-141.

4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inger publishing: New York.

47.

Macho, S., & Ledermann, T. (2011). Estimating, Testing and Comparing Specific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Phantom Model Approach. Psychological Methods, 16(1), 34-43.

48.

Moneta, G. B. (2011). Metacognition, emotion, and alcohol dependence in college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ddictive Behaviors, 36(7), 781-784

49.

Morahan-Martin, J. M.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Internet use and abuse. Cyber psychology and Behaviour, 2, 431-439.

50.

Rindskopf, D. (1984). Using Phantom and Imaginary Latent Variables to Paramiterize Constrains in Linear Structural Modes. Psychometrika, 49, 37-47.

51.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7), 813-819.

52.

Spada, M. M., Nikcevic, A. V., Moneta, G. B., & Wells, A. (2007). Metacognition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smoking dependence. Addictive Behaviors, 32, 2120-2129.

53.

Spada, M. M., Nikcevic, A. V., Moneta, G. B., & Wells, A. (2008). Metacognition, perceived stress, and negative emo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neces, 44, 1172-1181.

54.

Spada, M. M., Langston, B., Nikcevic, A. V., & Moneta, G. B. (2008). The role of metacognitions in problematic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 2325-2335.

55.

Strosahl, K. (1991). Cognitive and behavioral treatment of the personality disordered patient. In C. Austad & B. Berman (Eds.), Psychotherapy in managed health care: The optimal use of time and resourc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6.

Teasdale, J. D. (1999). Metacognition, Mindfulness, and the modification of Mood Disorder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6, 146- 155.

57.

Tony, T. (1999). Metacognition and substance use. Addictive Behaviors, 24(2), 167-174.

58.

Twohig, M. P., & Crosby, J. M. (2010).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s a Treatment for Problematic Internet Pornography Viewing. Behavior Therapy, 41(3), 285-295.

59.

Usha, B. (2009). Meta-cognitive profiles in anxiety disorders. Psychiatry Research, 196, 240-243.

60.

Weinstein, N., Brown, K. W., & Ryan, R. M. (2009).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stress attribution, coping, and emotional well-be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3, 374-385.

61.

Wells, A., & Matthews, G. (1996). Modeling cognition in emotional disorder: the S-REF model.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2, 867- 870.

62.

Wells, A. (1997). Cognitive Therapy of Anxiety Disorder: A Practice Manual and Conceptual Guide. Wiely: Chichester.

63.

Wells, A. (2000). Emotional Disorders and Metacognition. Psychological Medicine, 32, 749- 753.

64.

Wells, A., & Cartwright-Hatton, S. (2004). A short form of the Meta-Cognitions questionnaire-Properties of the MCQ-30.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2, 385-396.

65.

Whang, S. M., Lee, S. J., & Chang, G. Y. (2003). Internet over-users' psychological profiles: A Behavior sampling analysis on internet addiction. Cyber Psychol Behaviour, 6, 143-150.

66.

Yellowlees, P. M., & Marks, S. (2007). Problematic Internet Use or Internet Addi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 1447-1453.

67.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68.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Personal Traits Associated with Its Development. Ea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paper presented at the 69th annual meeting.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