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ggress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공격성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을 위하여 공격성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공격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그에 따라 행동적 공격성, 적대감, 분노감 세 가지 하위요인을 설정하였다. 문헌연구 및 기존 공격성 척도 분석과 학생 자유응답 질문지 분석 과정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3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였고, 이를 4학년 초등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문항 이해도에 대해 논의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예비문항 45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해 최종 예비문항으로 구성된 45문항의 공격성 척도를 가지고 총 800명의 4~6학년 초등학생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총 30문항의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의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분노조절 검사 및 자아존중감 검사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공격성, 행동적 공격성, 적대감, 분노감, aggression, behavioral aggression, hostility, ang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ggression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Previous research about aggression was reviewed in order to make a definition of aggression. Reviews of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three sub-factors solution could be appropriate in accounting for an aggression scal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items was evaluated three times to ensur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Finding i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30 items should be used to measure aggression.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dditionally, to evaluat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cale with other measures(i.e an anger-control test, self-esteem test, and the aggression scale) were estimated. The scale showed the appropriate levels of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keywords
공격성, 행동적 공격성, 적대감, 분노감, aggression, behavioral aggression, hostility, anger

참고문헌

1.

강경미 (2010).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공격성향 아동의 공격성, 자아개념,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의향 (2005). 놀이 중심의 인지-행동수정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정화 (2008).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정 (2009). 사물놀이를 활용한 집단음악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정 (2012). 아동기 공격성과 청소년 폭력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학교 영역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23), 1-28.

6.

김상희 (2009). 정서지능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아, 최진아 (2011). 기초연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15(1), 17-28.

8.

김여가 (1997).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은경 (2010). 저소득층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근 (2000).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정서장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현정 (2006). 아동의 공격행동 개선을 위한 놀이중심의 인지행동프로그램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남궁희승 (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남순현, 최희경 (2006). 신체학대, 공격성 및 아동기 비행간의 관계: 모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901-919.

14.

남순희 (2010).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노안녕 (1983). 비행청소년에 있어서 공격성과 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7.

문재경 (1998). 인지적 행동수정 훈련이 아동의 공격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열매 (2010).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과 직업포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원희 (2010). 집단미술치료가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은희 (2010).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제복 (2009). 지역아동센터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혜연 (2010). 배려 증진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배려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24.

서수균 (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01-919.

25.

성태제 (1998).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6.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27.

송용수 (2004). 학교체벌에 대한 아동의 지각특성과 공격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안혜숙 (2002). 아동의 컴퓨터 게임 몰입 정도와 인성특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 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30.

유귀순 (2001). 공격성과 동조성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유수정, 김희정 (2011). 집단상담이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267-292.

32.

윤정아 (2010).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상석, 이양희 (2006).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 및 문제해결 기술 향상 프로그램의 웹을 통한 구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93-115.

34.

이상옥 (2009). 대상관계 이론에 근거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공격성 아동의 공격성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세연 (2008).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승연 (2011).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사회적 선호도, 지각된 인기도의 관계: 친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유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153-173.

37.

이영화, 김경연 (2012).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0(2), 1-10.

38.

이인혜 (2008).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 정서조절능력, 공격성 간의 경로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해경, 김혜원 (2000).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45-64.

40.

이훈진, 원호택 (1995). 자기개념과 편집증적 경향. 심리과학, 4(2), 15-29.

41.

정동화 (1995).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부작용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정성혜 (2010). 초등학교 아동의 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정연옥, 이정화 (2009). 교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감소 및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151-172.

44.

정이원 (2010).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격성과 정서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애나 (2007).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저소득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7.

황민숙 (2008).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그룹 홈 아동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황정규 (1964). 행동진단의 기술. 서울: 현대교육총서.

49.

Aronson, E. (1980). Social animals. New York: W. H. Freeman & Company.

50.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New Jersey: Prentice-Hall, 6-21.

51.

Buss, A. H. (1996). Instrumentality of aggression, feedback, and frustration as determinants of physical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153-162.

52.

Buss, A. H., & Durkee. A. (1957). An inventory for assessing different kinds of host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43-349.

53.

Buss, A. H.,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452-459.

54.

Cairn, R. B., Cairns, B. D., Neckerman, H. J., Ferguson, L. L., & Gariepy, J. L. (1989). Growth and aggression: 1.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20- 330.

55.

Elliott, D. S. (1994). Serious violent offenders: Onset, developmental course, and termination. The American Society of Criminology, 32, 1-21.

56.

Eron, L. D. (1987).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a developing behaviorism. American Psychologist, 42(5), 435-442.

57.

Farrington, D. P. (1989). Early predictors of adolescent aggression and adult violence. Violence and Victims, 4(2), 79-100.

58.

Feshbach, S. (1964). The function of aggression and the regulation of aggressive drive. Psychological Review, 71, 257-272.

59.

Frodi, A., Macaulay, J., & Thome, P. R. (1977).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84, 634-660.

60.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New York: Mcgraw-Hill.

6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2.

Tremblay, R. E., Boulerice, D., Harden, P. W., McDuff, P., Perusse, D., Pihi, R. O., & Zoccolio, M. (1996). Do children in Canada become more aggressive as they approach adolescence?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nada & statistics Canada(Eds.), Growing up in Canada: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children and youth. Ottawa: Statistic Canada.

63.

Wenar, C., & Kerig, P. (2006). 발달정신병리학: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이춘재 외 공역). 서울: 박학사. (원전은 2004년에 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