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he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Wives Based 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초록

본 연구는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부부 및 가족상담전문가 61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원가족관계, 자아분화를 결혼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선정하고, 기혼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이 네 요인과 결혼만족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의 부부문제에는 통합적 행동부부치료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가정과 전략을 반영한 모델에 위 네 가지 요인을 치료요인으로 설정하여, 한 요인을 각기 두 개의 회기에 배정한 1회 3시간 8회기 총 24시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거주 30-40대 기혼여성 27명에게 실험집단으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27명의 비교집단 및 27명의 무처치 집단과 사후, 추수 시점에서 공변량 분석으로 치료요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후시점에서 실험집단의 자아분화, 결혼만족도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추수시점에서는 실험집단이 자아분화,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에서 다른 집단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집단내 분석에서도, 실험집단은 사후시점에서 자아분화,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가 사전시점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추수시점에서는 사후시점에 비해서도 더 향상되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keywords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네 가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marital satisfaction, four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wives based 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were selected as influential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magnitudes of correlations of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oth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the four factors as therapeutic ones, and was 3-hour per one session, 8 weekly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ee groups(i.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and in self-differentiation,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marital satisfaction at one month after treatment. Wiv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self-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and further improvements in one-month follow-up. These results suggest the new program could enhance wives' marital satisfaction.

keywords
결혼만족도,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네 가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marital satisfaction, four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참고문헌

1.

공성숙 (2004). Got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부부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2(2), 141-171.

2.

곽배희 (2001). 요즘세상-부계혈통 의미 있을까? 갈라진 시대의 기쁜소식, 494.

3.

권순희 (2010). 도노반의 부부치료 모델을 활용한 부부관계 향상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및 표준화 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5.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7-218.

6.

김남진 (2005). 부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선영 (2005). 결혼만족도와 이혼의도에 관련된 부부관계요인: 신혼 초와 현재 결혼생활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43(9), 42-57.

8.

김보겸 (2005). 심수명의 이마고 부부치료 프로그램이 부부갈등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김영일 (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은정 (2008). 정서조절, 의사소통 그리고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민 (2008). Satir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김정숙 (2009). 부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갈등대처행동,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와 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추순 (2007). 유아기 어머니의 원가족애착,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현, 김필숙 (2010).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인적자원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가족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2), 3-29.

15.

김현주 (2005).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주부의 개인적 성장, 자아분화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 중심으로.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노치영 (1996). 한국부부의 부부문제해결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모의희 (2001).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남숙 (2001).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남숙 (2005). 부부상담에서 집단상담의 치료적 활용: 문헌고찰과 사례연구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97-1118.

21.

서정선, 신희천 (2007).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87-106.

22.

송말희 (1986). 도시주부의 커뮤니케이션 이해도와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정아 (2004). 건강한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이마고 부부치료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윤오, 조수철 (1995). 한국형 가정환경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4(1), 280- 290.

25.

연규진 (2006).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다층모형을 이용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경순 (2004). 가정폭력 행위자 부부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V.Satir 성장모델 이론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이기복 (2006).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수용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선희 (2004). ‘내가먼저하기-Self Help’ 부부집단교육 워크북. 서울: 성문사.

29.

이선희 (2005). 아내의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관계 특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8, 40-56.

30.

이선희 (2011).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창숙 (1998). 부부갈등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Baucom과 Epstein의 인지-행동적 치료모델에 기초하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향례 (2005). Satir 성장모델을 적용한 부부적응 집단상담이 부부의 자존감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이현숙 (1999). 인지행동적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임지혜 (2004).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전영민 (2000).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에 관찬 취약성, 스트레스, 적응통합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정교영, 신희천 (2007). 부부치료의 주요 이론적 접근과 최근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30.

38.

조선일보 (2012. 05. 21). 황혼이혼, 연속 2년째 신혼이혼 앞질렀다.

39.

조은경, 정혜정 (2009). 원가족 건강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05-132.

40.

최윤화 (2000).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부부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진숙 (2006). 부부 갈등과 원가족과의 상관관계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한혜영, 현명호 (200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35- 952.

43.

함미영 (2002). 부부의 Egogram이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Barrett-Lennard, G. T. (1991). Relationship inventory - form os-64. Unpublished document.

45.

Christensen, A., & Pasch, L. (1993). The sequence of marital conflict: An analysis of seven phases of marital conflict in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13, pp.3-14.

46.

Cordova, J. V.,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8). Acceptance versus change interventions in behavioral couple therapy: Impact on couples' in-session communicatio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4(4), 437-455.

47.

Jacobson, N. S. (1977). Problem solving and contingency contracting in the treatment of marital discor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5, 92-100.

48.

Jacobson, N. S. (1978). Specific and nonspecific factors in the effectiveness of a behavioral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marital discor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 442-452.

49.

Jacobson, N. S., & Addis, M. E. (1993). Research on couples and couple therapy: What do we know? where are we go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1), 85-93.

50.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6). Integrative couple therapy: Promoting acceptance and change. New York: Norton.

51.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8). Acceptance and change in couple therapy: A therapist's guide to transforming relationships. New York: Norton.

52.

Jacobson, N. S., & Margolin, G. (1979).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New York: Brunner/Mazel.

53.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New York, London: Norton.

54.

Lazarus, A. A. (1989). The practice of multimodal therap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5.

Lewis, R. A., &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R. Hill, R.,. Nye, I., & Rei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New york: The Free Press.

56.

Mee-Gaik. (1991).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healthy unlike, unhealthy like, unhealthy unlike. Ph. D. diss., University of Texas Woman's University.

57.

Moos & Moos (1986) Family Environment Scale Manual. 2nd ed,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8.

Roach, A. J., Frazier, L. P., & Bowden, S. R.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3), 537-546.

59.

Skinner, B. F. (1966). The Behavior of Organisms: An experimental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