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중ㆍ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 단축형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 and High School Student-Short Form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을 위해 만들어진 학교적응척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단축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원척도의 78문항 중 20문항을 세 가지의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선정된 20문항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부산광역시의 중․고등학생 961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s 19.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중․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 단축형 척도는 양호한 문항내적일치도(Cronbach’s α =.83)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결과 7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원척도와 같이 4요인(학업, 심리적 안정성, 사회관계, 학교생활)로 구성하였다. 4요인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모형의 적절성이 검증되었다.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급별과 성별에 따라 사용가능한 척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의 가정이 성립되었다. 따라서 성별과 급별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가능한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준거관련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른 학교적응척도와 학교부적응 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다른 학교적응척도와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학교 부적응척도와는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keywords
학교적응척도,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석, school adjustment scal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factor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short-form of school adjustment to improve utilization of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61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short-form of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ppropriate level of Inter-item consistency(Cronbach's α=83) and the result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four-factor structure model is appropriate for the scale. To evaluate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class categorizations and genders,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assumption of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were all satisfied. And the correlation with other analysis of school adjustment scale and school maladjustment scale showed significant, implying appropriate level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학교적응척도,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석, school adjustment scal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factor analysis

참고문헌

1.

곽수란 (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2.

김승미 (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4.

김용래 (1993).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요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용래 (2000).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6.

김정남 (2008). 중․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환 (1981). 학교의 물리적 환경변인이 아동의 정서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지혜 (1998). 청소년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혜경 (2010).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29-349.

10.

김호권 (1968). 표준적응검사 요강. 서울: 코리안 테스팅 센터.

11.

문선모 (1997). 학생의 배경적 특성과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논문집, 23(1), 10-35. 경상대학교 대학원.

12.

문은식 (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문은식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교육발전논총, 23(1), 153-167. 충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14.

박정미 (1984). 중고등학생의 학교적응 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봉갑요 (1997). 아동의 거주 지역에 따른 학습 불안과 학교생활에의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안규복 (1986). 중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안영복 (1984). 적응 및 부적응 행위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여성가족부 (2012). 2012년 청소년백서.

20.

오영희 (2011). 한국인 용서 척도 단축형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99-813.

21.

유상철 (1982).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분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윤희 (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강선 (1999).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교생활 적응.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경화 (2005). 아동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구조분석. 아동학회지, 26(4), 157-171.

25.

이규미 (2004). 중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부적응 행동지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27-241.

26.

이규미 (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27.

이상필 (1990) 학교생활적응 수준에 따른 학업 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성진 (1984). 학생비행 예비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출판부.

29.

이영미 (1984).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학업성취도가 학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혜경 (2009).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호선 (2000).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임용수 (1985).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태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장호성 (1987).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종현 (1984). 고교생의 학교생활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차유림 (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7.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9-189.

38.

Berndt, T. J., & Keefe, K. (1995). Friend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Child Development, 66, 1312-1329.

39.

Bierman, K. L. (1994). School adjustment. In R. J. Corsin(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NJ: John Wiley & Sons.

40.

Birch, S., & Ladd, G.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41.

Buxton. C. E. (1973). Adolescents in school.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42.

Flynn, E. W., & Lafaso, J. F, (1974) Designs in affective education: A Teacher resource program for junior and senior high. New York: Paulist press.

43.

Hong, S., Malik, M. L., & Lee, M.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44.

Kamphaus, R. W., & Reynolds, C. R. (1992). BASC: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Manual. MN: Ameriach Guidance Service.

45.

Kamphaus, R. W., Reynolds, C. R., & Hatcher, N. M. (1999). Treatment planning and evaluation: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In M. E. Maruish(Ed), The use of psychological treatment planing and outcomes assessment(2nded.). (563-597). Mahwah, NJ: Erlbaum.

46.

Kaplan, A., & Maehr, M. L. (1999).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 well-be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4, 330-358.

47.

Kurdek, L. A., & Sinclair, R. J. (1988). Relation of eighth graders' family structure, gender, and family environment with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1), 90-94.

48.

Kurdek, L. A., Fine, M. A., & R. J. Sinclair. (1985). School adjustment in sixth graders: Parenting transactions, family climate, and peer norm effects. Child Development, 66, 430-445.

49.

Ladd, G. W. (1990).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1, 1081-1100.

50.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7).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1103-1118.

51.

Roeser, R. W., & Eccles, J. S. (1998). Adolesc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Relation to longitudinal changes in academic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8(1), 123-158.

52.

Walker, H. M., & McConnell, S. R. (1995). Walker-McConnell scale of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adjustment: Adolescent version. San Diego: Singular Publishing Group.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