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복합적 자아해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Soldiers: Moderating Effects of Complex Self-construct

초록

본 연구는 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 변인들(군 생활 적응, 우울 및 지각된 스트레스)과의 관계를 복합적 자아해석 수준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합적인 자아해석이란 자신의 특성에 근거하여 자신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의 자신을 인식하는 등 자신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복합적 자아해석의 수준에 따라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복합적 자아해석의 수준이 높은 병사들은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거나 낮음에 따라 군 생활 적응과 우울 및 스트레스에서 차이가 없는 반면에, 복합적 자아해석 수준이 낮은 병사들은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을수록 군 생활 적응을 잘하고 우울과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적 자아해석의 수준이 낮은 병사들은 자기개념 복잡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에서 복합적 자아해석의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omplexity of self-concept, complex self-construct, psychological health, military life adjustment, depression, perceived stress, 자기개념 복잡성, 복합적 자아해석, 심리적 건강, 군 생활 적응,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lexity of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health was moderated by complex self-construct among soldiers. Complex self-construct refers to self-images which were yielded based on various sources from people’s own interpretation of other’s thoughts about themselves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lex self-construct moderated the effects of complexity of self-concept on psychological health variables(i.e., adjustment, depression, and stress). In other words, for those soldiers with high level of complex self-construct the complexity of self-concept was unrelated with the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for those soldiers with low level of complex self-construct, the higher levels of complexity of self-concept predicted the better status in psychological health.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vel of complex self-construct should be considered in interpreting the relation between complexity of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health.

keywords
complexity of self-concept, complex self-construct, psychological health, military life adjustment, depression, perceived stress, 자기개념 복잡성, 복합적 자아해석, 심리적 건강, 군 생활 적응,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참고문헌

1.

금병규 (2010).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동직 (1999). 문화적 맥락에서 본 개별성-관계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동직, 한성열 (1998). 개별성-관계성 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1), 71-93.

4.

김완일 (1997). 자기평가와 자기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완일 (2008).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715-734.

6.

김완일 (2012).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에서 자기조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6), 3131-3149.

7.

김완일, 김재환 (1992). 대학생의 자기 긍정감과 자기 복잡성 및 우울 성향과의 관계. 대학생활연구, 10, 249-270.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8.

김완일, 김재환 (1993). 대학생의 자기 통합성과 자기 복잡성이 스트레스 및 성패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연구, 11, 115-141.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9.

김윤희 (2001). 걱정이 많은 사람들의 자기개념과 자기복잡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미 (2004). 성별에 따른 자아해석 양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형형 (2006). 군생활적응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분석 및 관련변인에 따른 차이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민 (2005). 자기복잡성, 상위정서, 경험수용 및 집착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정 (2007). 병사들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 및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문경하 (2007).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선영 (2005). 대학생들의 자기관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서울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12(3), 71-92.

16.

방희정, 조혜자 (2003). 관계적 자아의 암묵적 표상. 미간행.

17.

신태수 (1981). 군대 조직 구성원의 자아정체감과 군대생활에서의 적응과의 연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동효 (2001). 집단에 대한 애착 및 문화적 자기관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송경재 (2007). 개별성-관계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8(1), 1-12.

20.

양명순 (2006). 자아해석 방식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7(2), 85-105.

21.

양명순 (2007). 자아해석 양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의 안정성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현지 (2012). 자기복잡성과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 만족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오수종 (2001). 신병교육훈련생의 자아실현과 군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육군본부 (1999). 병영 스트레스 원인과 대책. 대전: 육군본부.

25.

이경미 (2010). 자기복잡성과 자기구획화가 우울, 스트레스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수현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개념 명료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윤희 (1963). 군대생활의 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정은 (2005).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혜영 (2011). 병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른 군 생활 적응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성대 (2003). 군내 폭행사고 및 자살사고의 실태와 예방대책.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1.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연구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65-76.

32.

정은이 (2002).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 사회적 적용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조은영, 임성문 (2012). 자아해석과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간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와 자기복잡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93-519.

34.

한기연 (2003). 개별성-관계성과 자기위로능력관계에서 자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78-89.

35.

한영주 (2010). 자기분화 및 사회적 지지와 군생활적응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현경자 (2009).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긍정적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13-42.

37.

현경자 (2010).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 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2(4), 193- 222.

38.

현경자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관점의 다각화에 기반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4(2), 241-271.

39.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58-396.

40.

Cross, S. E., Morris, M. L., & Bacon, P. L. (2000). The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 and rea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791-808.

41.

Dixon, T. M., & Baumesiter, R. F. (1991). Escaping the sel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lex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7, 363-368.

42.

Dolinger, S. J., Perterson, L. A., O’Brien, S. P., & DiLalla, D. L. (1996).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of the self: An autobiographic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1268-1278.

43.

Du, H., & King, R. B. (2012). Placing hope in self and oth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struals, locus of hope and adjus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 332-337.

44.

Epstein, S. (1973). The self-concept revisited or a theory of a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28(5), 404-416.

45.

Gramzow, R. H., Sedikides, C., Panter, A. T., & Insko, C. A. (2000).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self-structure as predictors of perceived emotional distr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2), 188-205.

46.

Hershberger, P. (1990). Self-complexity and health promotion: Promising but premature. Psychological Reports, 66, 1207-1216.

47.

Jordan, A., & Cole, D. A. (1996). Relation of depressive symptom to the structure of self-knowledge in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 530-540.

48.

Kalthoff, R. A., & Neimeyer, R. A. (1993).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Personal Construct Psychology, 6, 327-349.

49.

Kawahito, J., Hori, M., & Otsuke, Y. (2010). Effects of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complexity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Conitive Therapy and Reserach, 81, 178-193.

50.

Koch, E. J., & Shepperd, J. A. (2004). Is self-complexity linked to better cop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72(4), 727-760.

51.

Linville, P. W. (1985). Self-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basket. Social Cognition, 3, 94-120.

52.

Linville, P. W. (1987). Self-complexity as a cognitive buffer against stress-related ill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663-676.

53.

Luo, W., Watkins, D., & Lam, R. Y. H. (2009). Validating a measure of self-complex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4), 381-386.

54.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gical Review, 98, 224- 253.

55.

Matthews, S. K. (2011). Self-complexity and crime: Extending general strain theory. Justice Quarterly, 28(6), 863-902.

56.

McConnell, A. R., Renaud, J. M., Deab, K. K., Green, S. P., Lamoreaux, M. J., Hall, C. E., & Rydell, R. J. (2005). Whose self is it anyway self-aspect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well- being.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1, 1-18.

57.

Morgan, H. J., & Janoff-bulman, R. (1994). Positive and negative self-complexity: Patterns of adjustment following traumatic versus non- traumatic life experienc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3, 63-85.

58.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59.

Rafaeli-Mor, E., Gotlib, I. H., & Revelle, W. (1999).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self-complex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 341-356.

60.

Rafaeli-Mor, E., & Steinberg, J. (2002). Self- Complexity and well-being: A review and research synthe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79-86.

61.

Renaud, J. M., & McConnell, A. R. (2002). Organization of the self-concept and the suppression of self-relevant thought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8, 79-86.

62.

Schleicher, D. J., & McConnell, A. R (2005). The complexity of self-complexity: An associated systems theory approach. Social Cognition, 23, 387-416.

63.

Scott, W. A., Osgood, D. W., & Peterson, C. (1979). Cognitive structur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Washington, D. C.: V. H. Winston & Sons.

64.

Shauffer, L. F. (1949). The psychology of adjustment. Boston: Houghton Mifflin.

65.

Shavelson, R. J., & Bouls, R. (1982). Self-concept: The interplay of theory and metho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gy, 74, 3-17.

66.

Showers, C. (1992). Compartmentaliz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knowledge: Keeping bad apples out of bun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1036-1049.

67.

Showers, C. J., Abramson, L. Y., & Hogan, M. E. (1998). The dynamic self: How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change with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478-493.

68.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 580-591.

69.

Woltin, K. A., Yzerbyt, V. Y., & Corneille, O. (2011). On reducing an empathy gap: The impact of self-construal and order of judgment.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0, 553-562.

70.

Woolfolk, R. L., Novalany, J., Gara, M. A., Allen, L. A., & Polino, M. (1995). Self-complexity, self-evaluation and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form and content within the self-schem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1108-112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