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J시의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22명을 선정하였으며 행복증진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 11명씩 배정하였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 대인관계변화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및 4주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 강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 집단은 처치 전에 비해 처치 후에 긍정 정서 및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더 증가되었으며, 대인관계가 더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처치 집단에서 나타난 긍정 정서와 대인관계의 효과는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부정 정서와 탄력성은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닌 성격 강점에 초점을 두고 삶의 여러 영역에서 활용하도록 개입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character strength on subjective well-being,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2 high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A group of elev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completed scales employed for this study such a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Resilience Scale, Relationship Change Scale across according to pretest, posttest and four-week follow-up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scales of Positive Affect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been more improv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effects have maintained until 4-week long follow-up te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고민숙 (2002).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애착 유형과 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영미 (2010).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28.
김택호, 김재환 (2004).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65-490.
노지혜, 이민규 (2005).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단일호), 454-455.
류정희, 이명자 (2007).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1), 55-77.
마정희 (2010).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와 심리적 안녕감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문선모 (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 실시 효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소정 (2009). 청소년의 낙관성 및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정 (2010). 대표강점 활동과 하위강점 활동이 일반계 여고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순복 (2010). 긍정심리적 집단상담의 효과 검증: 긍정심리 및 자아탄력성 특성 기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력 및 대인관계능력 향상 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은정 (2010). 감사편지와 용서편지 작성이 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현진 (2010).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선영 (2010). 성격 강점에 대한 청소년의 자기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성민, 신희천 (2012).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활동들의 효과 비교: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초점적 활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21-148.
이기범 (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청소년의 행복. 한국청소년연구, 52, 365-392.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 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93-209.
이보은 (2009). 놀이를 활용한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성훈 (2011). 긍정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해리, 조한익 (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53-371.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935-946.
임아람 (2011). 청소년의 탄력성과 성격 강점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진우 (2008). 대학생을 위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경숙, 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33-153.
정호권 (2003).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인간관계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조정은 (2009).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진형 (2009). ‘행복한 어머니 되기’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차경호, 김명소 (2002).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단일호), 203-209.
Boehm, J. K., & Lyubomirsky, S. (2009).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 J. Lopez (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nd ed.; pp.667-67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eavens, J. S., Feldman, D. B., Gum, A., Michael, S. T., & Snyder, C. R. (2006). Hope therapy in a community sample: A pilot investig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77, 61-78.
Clark, L. A., & Watson, D. (1986). Diurnal variation in mood: Interaction with daliy events and personality.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Constantine, N., & Bernard, B. (2001). California Healthy Kids Survey Resilience Assessment Module Technical Repot.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8, 12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ener, E. (1994). Asse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Dyer, J. G., & McGuinness, T. M. (1996). Development of a Theoretically Derived Model of Resilience Through Concept Analysi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0(5), 276-282.
Emmons, R. A., & McCullough, M. E. (2003).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it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77-389.
Eri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 NY: Norton.
Fine, S. B. (1991). Resilience and human adaptability: Who rises above adversit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6), 493-503.
Kurtz, J. L., & Lubomirsky, S. (2008). Toward a durable happiness. In S. J. Lopez & J. G. Rettew (Eds.), The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series (Vol. 4; pp.21-36). Westport, CT: Greenwood Publishing Group.
Park, N., & Peterson, C. (2009). Achieving and sustaining a good lif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 422-428.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ed, G. L., & Enright, R. D. (2006).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for women after spousal emotional abus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920-929.
Ryff, C. D., & Singer, B.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5, 14-23.
Schlein, S., & Guerney. B. (1977).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Snyder, C. R., & Lopez, S. J. (2007).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tific and practical explorations of human strengths. London: Sage Publications, Inc.
Tugade, M. M., Fredrickson, B. L., & Barret, L. F. (2004).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al granularity: Examining the benefits of positive emotions on coping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72(6), 1161-1190.
Watson, D., Clark, L., & Tellegen, A.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Wills, T. A. (1986). Stress and coping in early adolescence: Relationships to substance use in urban school samples. Health Psychology, 5, 503-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