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Adversarial Growth: Mediating Role of Selfobject and Mentaliz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자기대상과 정신화가 관여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타인으로부터의 공감적 수용과 지지를 내재화한 자기대상과, 정서조율과 성찰능력 등으로 평가한 정신화를 매개로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외상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성인남녀 822명(N=822)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자기대상과 정신화를 순차적, 부분 매개로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좋게 나왔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자기대상과 정신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기대상은 정신화와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정신화는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는데, 자기대상에 비해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차이가 있어,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정신화가 낮아졌고, 회피애착이 심할수록 자기대상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의 상담적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keywords
심리적 역경 후 성장, 불안정 성인애착, 정신화, 자기대상, adversarial growth, insecure adult attachment, mentalization, selfobject.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adversarial growth. Data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822 males and females with previous trauma were analyzed.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adversarial growth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object and mentalization, showed the best model fit.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exhibited negative influence on selfobject and mentalization. Selfobject presented positive influence on mentalization and adversarial growth. Mentalization showed greater influence on adversarial growth than selfobject. Third, the pathways of influence from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adversarial growth were separate. Attachment anxiety exhibited greater influence on mentalization than attachment avoidance. However, the greater the attachment avoidance, the more compromised was selfobject.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심리적 역경 후 성장, 불안정 성인애착, 정신화, 자기대상, adversarial growth, insecure adult attachment, mentalization, selfobject.

참고문헌

1.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25-545.

3.

김빛나 (2008).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성현 (2004).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6.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 란, 이건숙 (2008).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81-799.

7.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탕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송 현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안명희 (2010).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867-885.

12.

안하얀, 서영석 (2010).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575-603.

13.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 225.

14.

유영란 (2006).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의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유윤경 (2011).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우울: 심리적 수용과 탈중심화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유희정 (2012).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경희 (2001). 성인 애착유형에 따른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지각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19.

이현주, 안명희 (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20.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2009).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2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2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3.

홍이화 (2011).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 I.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4.

Allen, J. G., Fonagy, P., & Bateman, A. W. (2008). Mentalizing in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

25.

Alsarraf, J. J., & Nilsson, Y. (2009). Reflecting around the functions behind depression: A correlational study of depression, mentalization and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Linköping University. Sweden.

26.

Blumenthal, J. A., Burg, M. M., Barefoot, J., Williams, R. B., Haney, T., & Zimet, G. (1987).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sychosomatic Medicine 49, 331-340.

27.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46- 76). New York: Guilford Press.

28.

Cassidy, J., & Kobak, R. R. (1988). Avoid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defensive processes. In J. Belsky & T. Nezworski (Ed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pp.300-323). Hillsdale,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9.

Choi-Kain, L. W., & Gunderson, J. G. (2008). Mentalization: Ontogeny, assessment, and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5(9), 1127-1135.

30.

Collins, N. L., & Feeney, B. C. (2000). A safe haven: An attachment theory perspective on support seeking and caregiving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6), 1053-1073.

31.

Fonagy, P. (1991). Thinking about thinking: some clin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 borderline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2(4), 639-656.

32.

Fonagy, P. (2005). 애착이론과 정신분석[Attachment Theory and Psychoanalysis]. (반건호 역). 안양: 빈센트(원전은 2001에 출판).

33.

Fraley, R. C., & Shaver, P. R. (1998). Airport separations: A naturalistic study of adult attachment dynamics in separ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5), 1198-1212.

34.

Fresco, D. M., Moore, M. T., Dulmen, M. H. M., Segal, Z. V., Ma, S. H., Teasdale, J. D., & Williams, J. M. G. (2007).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xperiences Questionnaire: Validation of Self Report Measure of Decentering. Behavior Therapy 38, 234-246.

35.

Graling, K., & Liem, J. (2012). The Impact of Interpersonal Functioning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 Behavioral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Boston. Personal Communication.

36.

Joseph, S., & Linley, P. A. (2009). 긍정심리치료[Positive Therapy: A Meta-Theory for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이훈진, 김 환, 박세란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6에 출판).

37.

Kobak, R. R., & Sceery, A. (1988).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hild Development, 59(1), 135-146.

38.

Kohut, H. (1966). Forms and Transformations of Narcissism.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14(2), 243-272.

39.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0.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1.

Kohut, H. (1984). How does analysis cure?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43.

Linley, P. A., & Joseph, S. (2005). The human capacity for growth through adversity. American Psychologist, 60(3), 262-264.

44.

Mikulincer, M., & Shaver, P. R. (2007).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45.

Newbury-Helps, J. (2011). Are difficulties in mentalizing associated with severity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D. Clin. Psy. thesis,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1). Discovery UCL.

46.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S.,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47.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W.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 health (pp.125-1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8.

Schae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es and personal growth. In B. N. Carpenter (Ed.), Personal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p.149-170).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49.

Siegel, A. M. (1996). Heinz Kohut and the Psychology of the Self. New York: Routledge.

50.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esota.

51.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52.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53.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7에 출판).

54.

Wei, M., Vogel, D. L., Ku, T. Y.,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4-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