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개인 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는 상담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개업 경험과 소진에 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개업 관련 경험은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소진은 어떤 내용이고 어떻게 대처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업 관련 경험으로는 개업에 대한 만족감의 증가,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운영의 양면성 경험,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인식 등 4개 주제로 분류되었다. 둘째, 소진 요인으로는 상담소 운영 미숙에서 오는 부담감,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에서 느끼는 회의감, 상담 성과에 대한 스트레스 등 3개 주제로 나뉘었다. 셋째, 소진 대처방안에는 상담소 운영방식 조율하기, 자기이해 확충, 개인시간 확보하기, 지지그룹 갖기 등 4개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개업을 준비하고자 하는 상담자들이 갖추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논의하였고 시사점과 제한점을 덧붙였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s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entrepreneurial experiences and ensuing burnouts for a professional counselo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13 professional counselors who started counseling businesses in Seoul and Gyeonggi-do region were interviewed. Findings were followed. First, starting a counseling business brought four major changes: increases in job satisfaction,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counseling, experience of duality in management, and raised awareness for physical environments. Second, the major causes of burnouts were identified as overwhelming stress due to lack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s and social recognition on counseling and doubt on the efficacy of counseling service. Third, the subjects dealt with burnouts through flexibly managing business, expansion of self-awareness, allotting time for personal life, and joining support groups. The final section discusses what counsellors need to be aware of before starting a counseling business and suggests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고은하, 김광웅 (2001).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경험과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4(1), 3-14.
김동일, 이명경 (2004). 수도권 사설 상담실의현황과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5(1), 81-103.
김정숙, 유금란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53-69.
김현정, 유형근, 권순영 (2011). 상담자의 몰입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2), 709-720.
명대정 (2000). 상담의 전문직화 방안 - 주요전문직(변호사, 의사, 공인회계사)의 선별분석을기초로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명대정 (2013). 상담자의 직무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상담기관 형태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정해 (2006).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 안녕 및 상담자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현숙, 이영애 (2009). 놀이치료자의 5요인 성격특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2), 35-47.
박희현 (2006).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에 대한전문적 경험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 놀이치료연구, 9(1), 33-53.
신지음 (1990).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요셉 (2005). 사회복지 전문종사자의 소진(Burnout)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자기정체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헌석, 성은모 (2010). 전문직종의 변화에 따른 전문가 사회의 특성 및 동향분석. 직업교육연구, 29(2), 205-223.
유정혜 (1997).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홍준 (2000). 직업사회학. 서울: 경문사.
유홍준, 김월화 (2002). 한국사회의 직업지위에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5(2), 35-65.
윤은주 (2009). 상담자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상담학연구, 10(4), 1855-1871.
윤정임, 정남운 (2009).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49-68.
이경희 (2009). 특별기획 프로그램: 심리학직업사례 1: 개업 심리학자의 역할 및 실제.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112-113.
이광숙 (2009).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란 (2006). 상담자의 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자영, 남숙경, 박희락, 김동현, 이미경, 이상민 (2008). 상담경력과 상담자 소진과의관계: 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23-42.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조동기, 조희경 (2002).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 69-79.
주은선, Sue H. Bae, David E. Orlinsky (2003). 한국심리치료자들의 특성과 실무현황-“심리치료자들의 성장을 위한 국제연구”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423-439.
최윤경 (2004). 한국상담자의 전문업무에 관한연구. 미래교육연구, 17(2), 147-173.
최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79-200.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4(3), 581-598.
최혜윤, 정남운 (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한국고용정보원 (2009). 2009 한국직업사전.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Arricale, F.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utler, S. K., & Constantine, M. G. (2005).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9, 55-62.
Chi, M. T. H., & Koeske, R. D. (1983). Network representation of a child's dinosaur knowledge. Development Psychology, 19, 23-39.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0, 19-27.
Krueger, R. A. (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Focus Group Kit 6. SAGE Publication: CA.
Krueger, R. A., & Casey, M. A. (2009).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4th.). Thousand Oaks, CA: SAGE.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 Leiter, M. P. (2008).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3), 498-512.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Morgan, D. I. (1998). The Focus Group Guidebook:Focus Group Kit 1. SAGE Publication: CA.
Sears, S. F. Jr., Urizar, G. G. Jr., & Evans, G. D. (2000). Examining a stress-coping model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extension agent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56-62.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505-515.
Van Kaam, A. (1969). Existential Foundations of Psychology. NY: Double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