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소명수행 의식, 일의 의미,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 196부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2개를 설정, 검증 결과 경쟁모형 2가 최종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소명의식은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일의 의미와 소명수행 의식을 통해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직업만족은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 다른 경로로는 소명의식은 삶의 의미를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명의식을 기반으로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수준이 높을 경우 교사의 직업만족과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 수준이 높을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소진 예방과 진로 교육과 상담에서 자신의 소명을 의식하고 적극적으로 일과 삶에 의미를 부여하며 소명수행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keywords
소명의식, 소명수행 의식, 일의 의미, 삶의 의미, 직업 만족, 삶의 만족, perceiving a calling,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life meaning,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a multi-dimensional hypothetical model concerning perceiving a calling,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life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secondary teachers. 196 male and femal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MOS to utiliz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the result, the second alternative model was more appropriate to the data than others. This study found that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ing a calling indirect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through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and ultimately affected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perceiving a calling indirectl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life meaning.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vocation counseling are discussed.

keywords
소명의식, 소명수행 의식, 일의 의미, 삶의 의미, 직업 만족, 삶의 만족, perceiving a calling, living a calling, work meaning, life meaning,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참고문헌

1.

강학구 (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직무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 분석.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학교 진로교육 현황조사.

3.

김민영 (2011). 개인의 윤리성향과 조지의 윤리환경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윤리적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5.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2012). 감정노동자의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46(2), 123-149.

6.

김정은 (2011).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명자 (2010). 기혼 중앙부처공무원의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업만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선영, 권석만 (2012).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1(3), 741-768.

9.

박영란 (2006).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소진 경험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주현, 유성경 (2012).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2), 543-560.

11.

박한샘, 고은영 (2009). 청소년동반자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0(4), 1971-1994.

12.

삼성경제연구소 (2013). 대한민국 직장인의 행복을 말하다. CEO Information. 898호.

13.

설경옥, 임정임 (2013). 청소년동반자의 직무환경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집단자존감과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187-201.

14.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2009).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465-480.

15.

송주연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신윤정 (2013). 대학생의 진로소명, 진로자기효능감 및 내적동기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209-226.

17.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의 삶의의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양수경 (2005).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성격 유형-조직 성격 유형의 일치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옥장흠 (2009).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75-200.

20.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의미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2), 211-225.

21.

유현실 (2013).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상담학연구, 14(1), 423-439.

22.

이은경 (2011).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2(1), 115-140.

23.

임낭연, 이화령, 서은국 (2010). 한국에서의Diener의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21-47.

24.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77-896.

25.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261-278.

26.

장형석 (2000).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심리과학연구, 1(1), 81-117.

27.

조경호, 주재복 (2001). 조직유형별 직업만족도비교연구: 공공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5(3), 163-180.

28.

조현숙, 이종태, 손혜숙, 박진국 (2002).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 수준. 인제의학, 23(5), 691-702.

29.

한국고용정보원 (2012). 직업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30.

한국교육개발원 (2012). 교사의 생애 단계별역량 강화 방안 연구.

31.

황현숙, 이지연, 장진이 (2012).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0(2), 495-515.

32.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161-177.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1173-1182.

34.

Berg, J. M., Grant, A. M., & Johnson, V. (2010). When callings are calling: crafting work and leisure in pursuit of unanswered occupational callings. Organization Science, 21(3), 973-994.

35.

Brayfield, A. H., & Rothe, H. F. (1951).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5(2), 307-311.

3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Beverly Hills, CA: Sage.

37.

Chamberlain, D. T., & Zika, S. (1988). Measuring meaning in life: an examination of three sc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9(2), 589-596.

38.

Chan, D. W. (2003). Hardiness and its role in the stress-burnout relationship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4), 381-395.

39.

Clase, R., & Ruiz Quintanilla, S. A. (1994). Initial career and work meanings in seven european countri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2(2), 337-352.

40.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2), 424-450.

41.

Dik, B. J., Eldridge, B. M., Steger, M. F., & Duffy, R. D.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and Brief Calling Scale (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3), 242-263.

4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 measure of goa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43.

Diener, E., Lucas, R. E., Oishi, S., & Suh, E. M. (2002). Looking up and looking down:weighting good and bad information in life satisfaction judgment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2), 437-445.

44.

Duffy, R. D., Allan, B. A., & Bott, E. M. (2012). Calling and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vestigating mediators and moderators. Journal of Happiness Study, 13(2), 469-479.

45.

Duffy, R. D., Allan, B. A., Autin, K. L., & Bott, E. M. (2013).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it's not about having it, it's about living i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0(1), 42-52.

46.

Duffy, R. D., Bott, E. M., Allan, B. A., Torrey, C. L., & Dik, B. J. (2012). Perceiving a calling, l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testing a moderated, multiple mediator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9(1), 50-59.

47.

Hernandez, E. F., Foley, P. F., & Beitin, B. K. (2011). Hearing the call: a phenomenological study of religion in career choice.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8(1), 62-88.

48.

Judge, T. A., Locke, E. A., Durham, C. C., & Kluger, A. N. (1998). Dispositional effects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the role of core evalu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1), 17-34.

49.

King, W. C., Miles, E. W., & Day, D. D. (1993). A test and refinement of the equity sensitivity constru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oir, 14(2), 301-317.

50.

Kline, R. B. (1998).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liford Press.

51.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52.

Luthans (1981). Organizational Behavior. New York:McGraw-Hill Companies.

53.

Peterson, C., Park, N., Hall, N, & Seligman, M. E. P. (2009). Zest and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oir, 30(1), 161-172.

54.

Russell, D. W., Kahn, J.,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Illustration of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55.

Schonfeld, I. S. (2001). Stress in 1st-year women teachers; the context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7(2), 133-168.

5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7(2), 422-445.

57.

Smith, P. C., Kendall, L.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m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58.

Steger, M. F., Dick, B. J., & Duffy, R. D. (2012).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s Meaning Inventory(WAMI).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2), 322-337.

59.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Assessing the presens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60.

Steger, M. F., Pickering, N., Shin, J. Y., & Dik, B. J. (2010). Calling in work: Secular or sacred?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1), 82-96.

61.

Vecchione, G. (2002). 100 Award-Winning Science Fair Projects. New York: Sterling. Pubishing. Company, Inc.

62.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pp.56-75). In Rick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63.

Wrzesniewski, A., & Dutton, J. E. (2001).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s of their work. Academic Management Review, 26(2), 179-20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