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아우토겐 훈련(Autogenic Training)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검증

The Effectiveness of Autogenic Training on Depression,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우토겐 훈련 프로그램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우울, 불안 및 학교 적응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경기도 김포 소재의 정신건강의학과 및 유관 기관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치료집단에 10명, 대기통제집단에 8명을 배치하였다. 아우토겐 훈련은 주 1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프로그램 참여 전, 소아 우울 검사(CDI), 상태-특성 불안 검사(STAI), 학교 적응 척도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 및 3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프로그램 종료 후 우울, 불안 및 학교 적응 수준에서 치료집단과 대기통제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기통제집단에서 검사 시기별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과 다르게 치료집단에서는 사후 및 추적 시기에서 불안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추적 시기로 갈수록 그 효과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및 학교 적응과 관련하여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평균 점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치료효과 영역 별로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Autogenic Training, Depress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Adolescent, 아우토겐 훈련, Autogenic Training, 청소년, 우울, 불안, 학교 적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utogenic Training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Eighte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10 adolescents in the Autogenic Training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School Adjustment Scale at pre-test, post-test, and 3 weeks l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for the treatment group. Second, the level of anxiety for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t follow-up period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for the treatment group. But, the mean scores of school adjustment showed an increase at follow-up period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keywords
Autogenic Training, Depress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Adolescent, 아우토겐 훈련, Autogenic Training, 청소년, 우울, 불안, 학교 적응

참고문헌

1.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2.

김명식 (2009).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2), 53-67.

3.

김상영, 서현욱, 김종우, 정선용 (2011). 심박변이도 지표에 나타난 자율신경 상태와 우울, 불안 및 분노 설문검사 척도 간의 상관성 평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2(4), 87-100.

4.

김 원, 우종민, 채정호 (2005). 정신과에서 심박 변이도(Herat Rate Variability)의 이용. 신경정신의학, 44(2), 176-184.

5.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숙, 김창대, 유성경, 지승희 (2003). 청소년상담기초.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7.

문은식 (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백혜정, 이순묵 (2003). 학교생활 부적응 청소년들의 실제 경험한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판단 및 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35-153.

9.

서덕원, 안효진, 류효선, 이수빈, 고인성, 박세진 (2011). 한방정신요법 및 자율훈련법을사용한 경련을 주증상으로 하는 전환장애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2(4), 143-155.

10.

서진우, 황은영, 정선용, 황의완, 김종우 (2009).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한 정서 상태 및 명상의 종류별 명상 효능 평가. 동의신경정신과학학회지, 20(3), 133-147.

11.

서한나 (2011). 초기 청소년기의 자살생각에관한 종단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629-646.

12.

손정락 (2011). 행동이완훈련과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973-993.

13.

신정이, 황혜원 (2006). 초기 청소년기의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보호요인의 영향연구. 청소년학 연구, 13(5), 123-154.

14.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Ⅱ: 6개월 추적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77-597.

15.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7).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16.

이경아, 정현희 (1999). 스트레스, 자아존중감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착교적응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2), 213-226.

17.

이규미 (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18.

이상규, 이홍석, 김인주, 김형태, 김도훈, 손봉기 (2006). 정신과 외래환자의 약물치료반응과 심박동 변이의 변화 양상. 신경정신의학, 45(6), 527-533.

19.

이수현, 최혜림 (200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 자아탄력성, 시험불안 및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9(2), 321-337.

20.

이주희 (2006). 스트레스와 이완요법 아우토겐수련. 대한스트레스학회, 14(2), 139-159.

21.

이진규, 이재혁 (2007). 자율훈련법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8(1), 123-232.

22.

장서윤, 손정락 (2012).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분노,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1059-1076.

23.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 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 943-956.

24.

조윤주 (2010). 청소년 초기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잠재성장모형 분석. 인간발달연구, 17(3), 17-35.

25.

차유림 (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재빈, 곽인호, 이상현, 최지호, 조성민 (1999). 고등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력간의상관관계. 가정의학회지, 20(9), 1144-1151.

27.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2004).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263-279.

28.

한태영 (2005). 청소년의 학교장면 스트레스: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77-197.

29.

황혜자, 김종운 (2003). 자율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논총, 40(12), 7-28.

30.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1.

Alfano, C. A., Beidel, D. C., & Turner, S. M. (2001). Cognition in childhood anxiety: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Clinical Psychology Revies, 22(8), 1209-1238.

32.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revised. Washington, DC: Author.

33.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er.

34.

Fergusson, D. M., Horwood, L. J., & Lynskey, M. T. (1997). The effects of unemployment on psychiatric illness during young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27, 371-381.

35.

Grosswald, S. J., Stixrud, W. R., Travis, F. T., & Bateh, M. A. (2008). Use of the Transcendental Meditation technique to reduce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by reducing stress and anxiety: an exploratory study. Current Issues in Education, 10(2). Available: http://cie.ed.asu.edu/volume10/number2/

36.

Goldbeck, L., & Schmid, K. (2003). Effectiveness of Autogenic Relaxation Training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2(9), 1046-1054.

37.

Hare, T. A., Tottenham, N., Galvan, A., Voss, H. U., Glover, G. H., & Casey, J. (2008). Biological substrat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regulation in adolescence during an emotional go-nogo task. Biological Psychiatry, 63(10), 927-934.

38.

Hidderley, M., & Holt, M. (2004). A Pilot randomized trial assessing the effects of autogenic training in early stage cancer patients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status and immune system response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8, 61-65.

39.

Jacobs, G. D., & Friedman, R. (2004). EEG Spectral Analysis of Relation Techniques.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9(4), 245-254.

40.

Kang, E. H., Park, J. E., Chung, C. S., & Yu, B. H. (2009). Effect of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on Headache Activity and Mood States in Korean Female Migraine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4, 936-940.

41.

Kanji, N., White, A. R., & Ernst, E. (2004). Autogenic training reduces anxiety after coronary angioplas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merican Heart Journal, 147(3), 508-511.

42.

Kaplow, J. B., Curran, P. J., Angold, A., & Costello, E. J. (2001). The Prospective Relation Between Dimensions of Anxiety and the Initiation of Adolescent Alcohol Us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 316-326.

43.

Kovacs, M. (1981). Rating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Paedopsychiatry, 46, 305-315.

44.

Krampen, G. (1999). Long Term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n Additional Autogenic Training in the Psychotherapy of Depressive Disorders. European Psychologist, 4(1), 11-18.

45.

Lewinsohn, P. M., & Clarke, G. N. (1999).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adolescent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9, 329-342.

46.

Mcgrath, E. P., & Reipetti, R. L.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Self-Perceptions and Cognitive Distortions About the Self.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1), 77-87.

47.

McLaughlin, A., Hatzenbuehler, L., Mennin, S., & Nolen-Hoeksema, S. (2011). Emotion dysregulation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A prospective stud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py; 49(9), 544-554.

48.

Mitani, S., Fujita, M., Sakamoto, S., & Shirakawa, T. (2006). Effect of autogenic training on cardiac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 high-risk fire service worke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0, 439-444.

49.

Miu, A. C., Heilman, R. M., & Miclea, M. (2009).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vagal tone in anxiety: Trait versus state, and the effects of autogenic training. Autonomic Neuroscience Basic and Clinical, 145, 99-103.

50.

Murakami, M., Koike, K., Ashihara, M., Matsuno, T., Tazoe, M., & Katsura, T. (2006). Recent Advance of autogenic training in clinical practice of psychosomatic medicine in Japa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87, 240-245.

51.

Newcomb, M. D., & Bentlet, P. M. (1988). Impact of adolescent drug use and social support of problems of young adul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7, 64-75.

52.

Stetter, F., & Kupper, S. (2002). Autogenic Training: A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Studies. Applied Psychophysiology and Biofeedback, 27(1), 45-98.

53.

Silk, S., Steinberg, L., & Morris, S. (2003). Adolescent's emtion regulation in daily life: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4(6), 1869-1880.

54.

Polácková, J., Bocková, E., & Sedivec, V. (1982). Autogenic training: Application in secondary preven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Activitas Nervosa Superior (Praha), 24(3), 178-180.

55.

Ohring, R., Apter, A., Ratzoni, G., Weizman, R., Tyano, S., & Plutchick, R. (1996). State and Trait Anxiety in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the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35(2), 154-157.

56.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57.

Tang, Y-Y., Ma, Y., Fan, Y., Feng, H., Wang, J., Feng, S., Lu, Q., Hu, B., Lin, Y., Li, J., Zhang, Y., Wang, Y., Zhou, L., & Fan, M. (2009). Central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nteraction is altered by short-term medit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06(22), 8865-8870.

58.

Yahav, R., & Cohen, M. (2008). Evaluation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5(2), 173-188.

59.

Zsombok, T., Juhasz, G., Budavari, A., Vitrai, J., & Bagdy, G. (2002). Effect of Autogenic Training on Drug Consumption in Patients With Primary Headache: An 8-Month Follow-up Study. Headache: The Journal of Head and Face Pain, 43(3), 251-25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