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차원과 영역별 완벽주의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mension and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on the Happines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보이는 삶의 영역과 차원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총 82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고,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완벽주의 변인을 찾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완벽주의의 차원과 영역 간의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자기 지향 완벽주의가 행복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완벽주의 영역과 차원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 영역 완벽주의는 삶의 목적, 환경적 지배, 자율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대인관계 영역 완벽주의는 개인적 성장,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대인관계 영역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주관적 안녕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happiness, psychological well-being, happy, 완벽주의 영역, 행복감,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domains and dimensions on happiness.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827 college students was asked to complet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Happy Indicator.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and Dimension Perfectionism, and, in particular, the positive collection between self-forward perfectionism and happiness. Additional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hibited that Academic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predicted the levels of the Purpose of life, Environmental Controls, and Autonomy. Interpersonal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forecasted the levels of the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Interpersonal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showed the high explanation regarding the Happy Indicat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happiness, psychological well-being, happy, 완벽주의 영역, 행복감,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참고문헌

1.

고은영, 최바울, 이소연, 이은지, 서영석 (2013).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살사고의 관계:자기비난과 심리적 극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63-81.

2.

김경민 (2011).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계주, 임태희 (2010). 경호무도 수련자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2(3), 311-325.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5.

김윤희, 서수균 (2008).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평가와 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581-613.

6.

김지윤, 이동귀 (2013).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4(1), 63-82.

7.

김지정 (2011).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지훈 (2011).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현주 (1999).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완벽주의 집단의 구분 및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2010).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행복 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1.

성주희 (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매개효과검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성주희, 홍혜영 (2012).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1), 325-340.

13.

송창호 (2010). 영역별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4.

심현경 (2011).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책임귀인이우울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5.

이미화 (2001).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숙 (2010).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인정욕구, 자기강화, 성공-실패경험의매개역할.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주, 손원숙 (2013). 고등학생의 자기지향과타인지향․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조절학습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219-239.

18.

임소영 (2009).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적 비합리적신념, 학업적 지연행동과 주관적 안녕감과의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전명임 (2009).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하정희, 장유진 (2011).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지지 제공의 관계: 사회적 지지수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27-449.

21.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부적응.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함경애, 김미옥, 최영옥, 천성문 (2012). 교사의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111-132.

23.

허현정 (2004).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 열등의식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34-51.

25.

Chang, E. C., Watkins, A. F., & Banks, K. H. (2004). How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Re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Testing a Stress-Mediation Model in Black and Whit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 93-102.

26.

Chow, G. S-Y. (2002). The cultural context of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outcome:Investigating a stress-mediated model with asian american and europian american students.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Michigan, USA.

2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5-575.

28.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9.

Diener, E., Suh, E. M., Lucas, R.,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30.

Dunn, J. G. H., Gotwals, J. K., & Causgrove Dunn, J. (2005). An examination of the domain-specificity of perfectionism among intercollegiate student-athle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 1439-1448.

31.

Flett, G. L., & Hewitt, P. L. (2002). Perfectionism and Maladjustment: An Overview of Theoretical, Definitional, and Treatment Issues. In G. L. Flett & P. L. Hewitt(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5-3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Hewitt, P. L., & Flett, G. L. (1991). The multidimensional of perfectionism scale:relability, valid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in psychiatrec samples. Psychological assessment,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

33.

Kahneman, D., Diener, E., & Schwartz, N. (Eds). (1999).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34.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3), 539-548.

35.

McArdle, S. (2010). Exploring Domain-Specific Perfectionism. Journal of Personality, 78(2), 493-508.

36.

Michelson, J. K., & Burns, L. R. (1998). Career Mothers and Perfectionism: Stress at Work and at Hom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477-485.

37.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38.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39.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40.

Seligman, M. E. P. (1996). 낙관성 훈련(상, 하)[Learned Optimistic. New York: Knodf]. (박노용, 김혜성 역). 서울: 오리진(원전은 1991년 편찬).

41.

Slaney, R. B., & Ashby, J. S. (1996). Perfectionists: Study of criterion group.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 393-398.

42.

Steve R. B., & Marie K. C. (2009).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 (안신호 등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8년 편찬).

43.

Stoeber, J., & Stoeber, F. S. (2009). Domains of Perfectionism: Prevalence and Relationships with Perfectionism, Gender, Age, and Satisfaction with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6, 530-535.

44.

Waterman, A. S. (1993).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Contrast of personal expressiveness (eudaimonia) and hedonic enjoy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78-691.

45.

Watson, D., Clark, L. A., & Tellega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