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과 공감능력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Empathic Ability of Adolescence.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상관계 수준과 공감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 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용 분리-개별화 척도, 공감능력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J지역의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총 5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중 56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된 결과, 대상관계수준과 자기위로능력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공감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및 매개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상관계수준과 공감능력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접효과, 간접효과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로써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과 공감능력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관련되는 변인과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대상관계수준,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청소년, object relation level, empathic ability, soothing ab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dolescent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oth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empathic ability of adolescence. The 563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and answered questionnaires in which their separation- individuation level, empathic ability, self-report of sooth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hypothesized model. Results revealed that;; the object relation level, sooth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ic ability. Two models were compared in terms of model fit and its appropriateness. Finding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nk between object relation level and empathic ability was partial mediated by sooth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대상관계수준, 공감능력, 자기위로능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청소년, object relation level, empathic ability, soothing ab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dolescent

참고문헌

1.

고선영 (2004). 시설수용소년범의 공감능력 차이:범행위험성에 따른 공감능력의 차이.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소희 (2000). 성인애착유형이 자기위로능력과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계수 (2006).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아카데미.

4.

김사훈 (1998). 대학생의 초기 대상관계와 공감능력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상호, 김기정 (1985). 인간주의 교육과 행동주의교육. 서울: 문음사.

6.

김성일 (2008). 어머니의 수용과 청소년의 공감발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1-21.

7.

김수진 (2000). 애착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윤희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트레스와 정서경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은 (2012). 학령기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공감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으로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1.

김지영 (1995). 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현 (2002). 부모와의 애창안정성 및 청소년의공감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기 (2007). 대상관계 수준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미치는 영향-정서 표현의양가감정과 부정적기분조절기대치를 매개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진숙 (2000).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8(2), 137-163.

15.

김창대 (1999).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본집단 따돌림현상. 청소년상담연구, 1(7), 7-25.

16.

김현숙 (2010).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 수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마정건 (1988).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인성 특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민선희 (2009).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을 매개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경순 (1997). 결혼갈등과 우울감에 대한 대상관계 이론적 접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박성희 (1997).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서울: 문음사.

21.

박정희 (2009). 어머니의 대상관계수준, 아동의공감능역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지언, 이은희 (2008).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문제행동: 공감능력의 조절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83-101.

23.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효서 (1999). 자기위로능력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변지현 (2002). 사회적 지지의 효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사미경 (2009).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이 공감능력을 매개로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서지현 (2005). 남자 비행청소년들의 부모애착과반사회성 및 공감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서희채 (2005).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손영미 (201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우울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신경일 (1994).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9, 1-37.

31.

신경일 (1997). 폭력 청소년의 공격성 감소를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대학상담연구, 8(1), 63-92.

32.

심희옥 (1999).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가족 친구의 지원 및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6), 11-22.

33.

유효순 (2003).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정서지능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0(2), 19-30.

34.

윤소연 (1993). 자신이 지각한 부모와의 관계가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성격변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미라 (2001).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미영 (2009). 자기개방과 공감반응이 친밀감에미치는 영향: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상은 (2009). 도움받기와 도움주기, 공감 및 정성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순락 (2009). 대상관계수준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영자 (1994).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이용철 (2009). 희망, 공감,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정선 (2010).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지연, 민선희, 김미진 (2010).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과 낙관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8(2), 13-22.

43.

이지현 (2013). 청소년의 대상관계수준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희경 (2007). 일반게재: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51-766.

45.

전희정 (1999). 청소년의 자기위로능력과 우울 및불안과의 관계: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조혜리 (2009). 양육행동, 공감능력, 분노표현 및청소년비행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지소라 (2009).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양육태도와 공감능력의 관계. 한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선미 (2003).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 수준과 치료적 동맹.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49.

황수정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지지 지각 및 사회적응력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황희정 (201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감능력 및 공격성의 관계: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Blos, P. (1979). The adolescent Passage.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52.

Bryant, B. K. (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 413-425.

53.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54.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113-126.

55.

Fairbairn, W. R. D. (1954). Observations on the Nature of Hysterical States.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27, 105-125.

56.

Glassman, E. J. (1989). Development of a self-report measure of soothing receptivity. Canada: York Univ.

57.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58.

Hoffman. M. L. (1982). The measurement of empathy. In C. E. Izard(Ed.), Measuring emo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279-2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60.

Klein, M. (1952). Some theoretical conclusions regarding the emotional life of the infant. New York: Delacorte Press.

61.

Koestner, R., Franz, C., & Weinberger, J. (1990). The Family origins of Empathic Concern: A 26-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709-717.

62.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63.

Mahler, M. S., Pine, F., & Bergman, A. (1975).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 New York: Basic Book.

64.

Moser, M. L. (1991). Transitional object and their relationship to self-soothing mechanism in latency aged childre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65.

No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66.

Omwake, K. T. (1954).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of self and acceptance of others shown by three personality inventorie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8(6), 443-446.

67.

Redmond, M. V. (1989). The function of empathy(decentering)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s, 42, 593-605.

68.

Tia, M. P., & Deborah, J. L. (2012). Attachment security and child's empath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8(1), 1-21.

69.

William, C., Jamie, H. A., & Kenneth, S. R. (1997). Transitional object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4, 250-255.

70.

Young, J. C. (1988). Rational for clinician self-disclosure & research agenda.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wint, 20(4), 196-19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