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군(軍) 초급간부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분노표현, 우울,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ger Expression, Depression, and Hopelessness of Junior Officers of Armed Forces on Their Suicidal Ide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군 초급간부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임관 후 3년 이내 장교(중․소위) 및 4년 이내 부사관(중․하사)으로 구성된 육군 초급간부 515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정보, 자살 관련 경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분노표현, 우울, 무망감, 자살생각 등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영향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직무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아져서 자살생각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억제를 더 많이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우울 및 무망감 수준이 증가하게 되어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노조절 수준이 높을수록 무망감 수준이 낮아져서 자살생각을 적게 하게 되며, 또한 분노억제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및 무망감 수준이 높아져서 자살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군(軍) 초급간부,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분노표현, 우울, 무망감, 자살생각, Army junior officer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ger expression, depression, hopelessness, suicidal ideation

Abstract

This study, underwent with 515 junior officers of armed forces, identified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investigated their relation among them. The instruments included measures of demographic variables, suicide-related experience,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ger expression,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preferred to the partial mediation model. Particularly, the results revealed that (a) suicidal ideation decreased when job satisfaction increased, as it led to a decrease in depression, (b) an increase in job stress led to more anger suppression, which in turn increased both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nd ultimately increased suicidal ideation. (c) the higher anger control was, the lesser suicidal ideation was as reducing hopelessness, and (d) the higher anger suppression was, the higher suicidal ideation was as increasing both depression and hopelessness. This paper end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keywords
군(軍) 초급간부,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분노표현, 우울, 무망감, 자살생각, Army junior officer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ger expression, depression, hopelessness, suicidal ideation

참고문헌

1.

고영인 (1994). 대학생의 분노표현양식과 우울 및공격성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권은희 (2009).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중돈, 김유진, 엄태영 (2012).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1), 89-114.

4.

김병석, 김현순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5.

김성훈 (2012). 군 장병 자살의도와 군복무적응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군사학론집, 68(3), 129-152.

6.

김태현 (2012). 군내 간부 자살사고 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간부 자살사고 실태와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효영 (2008). 군 복무 스트레스에 따른 군 생활적응-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류종천 (2005). 교도관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피로도 및 관련요인.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민윤기 (2005). 대학생의 자살위험요인 지각과자살생각 평가. 학생생활연구, 31, 31-52.

10.

미국 육군 (2009). 자살사고 예방 프로그램 교관용 지침서.

11.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

12.

박자경 (2009). 장애인 근로자 직무만족도 분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13.

박장한 (2012). 군 장병들의 갈등요인과 수준에따른 자살사고 결정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4.

박충민 (2010). 군 조직 간부들의 직무스트레스와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현철 (2001).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희자 (2001).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손정남 (2009). 청소년의 충동적 자살생각에대한 모형 구축. 정신간호학회지, 18(4), 418-430.

18.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 자살 성향에 관한연구 -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19.

심미영, 김교헌 (2005).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20.

안진희 (2012). 분노조절 인지행동프로그램이 우울성향집단에 미치는 효과: 우울, 분노, 자아존중감, 자살사고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오미숙 (2011).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 출현기관을 중심으로 -.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유숙자 (1999).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육군본부 (2012). 간부 자살 예방대책. 국회 국방위원회 제출 자료.

24.

육성필 (2002). 자살관련변인의 탐색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이경은 (2010). 내외향성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정서방략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기덕 (2006). 군인자살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동귀, 이희경, 안현의 (2010). 병영생활 전문상담관 효용성 검증 및 발전방향 연구. 국방부 병영정책과 용역과제 보고서.

28.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98-113.

29.

이재상 (2004). 우울증과 자아정체감이 청소년의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헤선, 권정혜 (2010). 군 자살 예방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53-672.

31.

이혜선, 김성연, 박 일, 강여정, 이지영, 권정혜 (2012). 대학생의 자살관련생각과 행동의 원인 및 자살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703-728.

32.

조민호 (2009).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을 통하여본 한국군의 자살.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건강: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34.

정승언 (1992).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역할.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정신영, 이동귀 (2011). 자살 위험 병사들의 심리특성 연구. 상담학연구, 12(3), 897-914.

36.

주지영 (2005). 고등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우울및 공격성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통계청 e-나라지표 (2013). 군 사망사고 현황.

38.

통계청 (2013). 2012 사망원인통계.

39.

한국생산성본부 (1993). 산업인력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의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평가. 한국생산성본부.

40.

한동화 (2008).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연구 고찰.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2.

홍영수 (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4.

Baker, G. A. (1934). Transformation of non-normal frequency distributions into normal distributions.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5(2), 113-123.

45.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46.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ner Medical Division Harper & Row.

47.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48.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 Trexler, L.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6), 861-865.

49.

Bilodeau, L. (1992). The anger workbook. Hazelden Publishing & Educational Services

50.

Blair-west, G. W., Mellsop, G. W., & Eyeson-Annan, M. L. (1997). Downrating lifetime suicide risk in major depression. Acta Psychiatrica Scandivavica, 95(3), 259-263.

51.

Bonner, R. L., & Rich. A. R. (1987). Toward a perspec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7(1), 50-63.

52.

Fava, M. (1998). Depression with anger attack.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ic, 59(18), 18-22.

53.

Fava, M., & Rosenbaum, J. F. (1999). Anger attack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0(5), 21-24.

54.

Goldston, D. B., Daniel, S. S., Reboussin, B. A., Reboussin, D. M., Frazier, P. H., & Harris, A. E. (2001). Cognitive risk factors and suicide attempts among formerly hospitalized adolescents: a prospective naturalistic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1), 91-99.

55.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d in structure modeling: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56.

Hulin, C. L. (1966).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 a female clerical popul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0(4), 280-285.

57.

Ingram, R. E., & Luxton, D. D. (2005). Vulnerability-stress models. In B. L. Hankin & J. R. Z. Abela (Eds.),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A vulnerability stress perspective (pp. 32-46).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8.

Ivancevich, J. M., Matteson, M. T., & Preston, C. (1982). Occupational stress, type A behavior, and physical well be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5(2), 373-391.

59.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and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60.

Lonnqvist, J. K. (2000). Psychiatric aspects of suicidal behavior: depression. In K. Hawton &K. van Heeringe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pp. 107-120). Chichester: Wiley.

61.

Lynch, T. R., Cheavens, J. S., Morse, J. Q., & Rosenthal, M. Z. (2004). A model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in depressed older adults: the impact of emotion inhibition and affect intensity. Aging and Mental Health, 8(6), 486-497.

62.

Novaco, R. W. (1979). The cognitive regulation of anger and stress. In P. Kendall & S. Hollan (Ed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New York: Academic Press.

63.

Rindskopf, D. (1984). Using phantom and imaginary latent variables to parameterize constraints in linear structural models. Psychometrika, 49(1), 37-47.

64.

Rothmann, S., & Strijdom, G. (2002). Suicide ideation in the South African police services in the North West province.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28(1), 44-48.

65.

Seligman, M. E. P. (1975). A learned helplessness. San Francisco: W. H. Freeman.

6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7.

Samuelson, M., Gustavsson, J. P., Petterson, I. L., Ametz, B., & Asberg, M. (1997). Suicidal feelings and work environment in psychiatric nursing personnel.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2(7), 391-397.

68.

Smith, M. J., Alloy, B. L., & Abramson, Y. L. (2006).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ruminat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Multiple pathways to self-injurious thinking. Suicide Life-Threat, 36(4), 443-454.

69.

Spielberger, C. D. (1985). Assessment of state and trait anxiety: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e Southern Psychologist, 2(4), 6-16.

70.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pp. 89-108). New York: Springer.

71.

Statham, D. J., Heath, A. C., Madden, P. A. F., Bucholz, K. K., Bierut, L., Dinwiddie, S. H., Slutske, W. S., Dunne, M. P., & Martin, N. G. (1998). Suicidal Behaviour: as epidemiological and genetic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28(4), 839-855.

72.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73.

White, J. L. (1989). The troubled adolescent. New York: Pergamon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