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The Job Loser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적극적 대처방식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고용센터 및 근로복지공단을 방문한 실직자 275명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직자의 적극적 대처방식이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후성장과 가족탄력성 및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가족탄력성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대처방식은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직자의 경우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며, 그들의 가족탄력성이 높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외상 후 성장을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job loser, family resilience, active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growth, 실직자, 가족탄력성, 적극적 대처방식, 외상 후 성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job losers. A sample of 275 job losers(133 men, 142 women) who visited government unemployment service centers at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scales including Korean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Family Resilience Scal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Scale were implemented by participant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between active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respectively. Second, active coping strategi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losers' family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job loser, family resilience, active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growth, 실직자, 가족탄력성, 적극적 대처방식, 외상 후 성장

참고문헌

1.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2.

김명언 (1998).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조직감량의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집행자.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97-148.

3.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가족탄력성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 9-40.

4.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5.

김안자 (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4(1), 139-170.

6.

김유순, 이영분 (1998). 실직자를 위한 위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5, 263-288.

7.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8.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 란, 이건숙 (2008).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81-799.

9.

노혜련 (2000).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해체되지 않은 가족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란 비교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5), 155-183.

10.

박지현 (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11.

박혜원, 안현의 (2006). 외상 후 증상, 영성 및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영향. 상담학연구, 7(1), 201-214.

12.

신건희 (1999). 대량실업에 따른 사회복지정책의 파라다임 전환.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 369-392.

13.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외상후 성장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93-214.

15.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16.

오경자 (1998). 경제불황의 심리적 영향: 실직이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67-95.

17.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59-75.

18.

오수성, 신현균 (2008).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스트레스, 심리 건강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19.

오지수 (1999). 실직에 대한 대처반응과 그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예심 (2008).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사건충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전남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윤재은 (1994). 영재집단의 학교생활 적용과 스트레스 및 대처 방법: 특수목적고교와 인문고교의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9(3), 319-341.

23.

이영순, 전임순 (2004). 아버지 실직가정의 가족관계가 중학생 자녀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4), 1247-1265.

24.

이장호, 김정희 (1988).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25-45.

25.

이희윤, 박정윤 (2011).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69-192.

26.

임상희 (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련. 청소년학연구, 10(4), 143-161.

28.

정인명, 최윤경 (2009).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278-279.

29.

조성희 (1999). 실직 가장이 인식하는 가족해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13(1), 139-166.

30.

조옥희, 김경신 (2005).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관련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개인, 가족, 직업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2), 1-29.

31.

진은영 (2006). 실업에 대한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가 우울과 자살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천희영 (2000). 실직자의 심리적 특성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 및 행동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8(7), 103-116.

33.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최승미, 김영재, 권정혜 (2013). 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3(2), 307-328.

35.

최희정, 이인수 (2009).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7(2), 175-194.

36.

한인영, 이인정 (2011).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2(2), 419-441.

37.

황철수 (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박사학위논문.

38.

Armeli, S., Gunthert, K. C., & Cohen, L. H. (2001). Stressor appraisals, coping, and post-event outcomes: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366-395.

3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 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tic, 1, 1173-1182.

40.

Bellizzi, K. M., & Blank, O. B. (2006).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5, 47-56.

41.

Calhoun, L. G., Cann, A., Tedeschi, R. G., & McMillen, J. C. (2000).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ion, and cognitive processing.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 521-527.

42.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43.

Conger, R. D., Elder, G. H. Jr., Lorenz, F. O., Conger, K. J., Simons, R. L., Whitbeck, L. B., Huck, S., & Melby, J. N. (1990), Linking Economic Hardship to marital Quality and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643-656.

44.

Evers, A. W. M., Kraaimaat, F. W., Van Lankveld, W., Jongen, P. J. H., Jacobs, J. W. G., & Billsma, J. W. J. (2001). Beyond unfavourable thinking: 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 1026-1036.

45.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50-170.

46.

Fontana, Y., & Rosenheck, R. (1998). Psychological benefits and liabilities of traumatic exposure in the war zon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1, 485-505.

47.

Garmezy, N. (1991).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4, 416-430.

48.

Holmes, D. S.,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49.

Lazarus, R. S. (1993). Coping theory and research:Past, present, and future. Psychosomatic medicine, 55, 234-234.

50.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 11-21.

51.

Maercker, A., & Langer, R. (2001). Posttraumatic personal growth: Validation of german version of 2 questionnaires. Diagnostics, 47, 153-162.

52.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 41-48.

53.

McLoyd, V. C. (1989).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 in a changing economy. American Psychologist, 44, 293-302.

54.

McMillen, J. C., & Fisher, R. H. (1998). The perceived benefit scales: Measuring perceived positive life changes after negative events. Social Work Research, 22, 173-187.

55.

McMillen, J. C. (1999). Better for it: How People benefit from adversity. Social Work, 44, 455-468.

56.

Milam, J. E. (2004). Posttraumatic growth among HIV/AIDS patie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11), 2353-2376.

57.

Moore A. D., Bombardier, C. H., Brown, P. B., & Patterson, D. R. (1994). Coping and emotional attribution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1), 39.

58.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 71-106.

59.

Pervin, L. A., Cervone, D., & John, O. P. (2005).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9th). New York:Wiley.

60.

Schultz, J. M., Tallman, B. A., & Altmaier, E. M. (2010). Pathways to posttraumatic growth_The contributions of forgiveness and importance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Psych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2, 104-114.

61.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2.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63.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2.

64.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65.

Walsh, F. (1998). The resilience of the field of family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4(3), 269-271.

66.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The Guildford Press: New York.

67.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5), 626-65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