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미혼에서 기혼으로의 이행에 있어서 여성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표본추출을 통해 선발한 유자녀 및 무자녀 기혼여성 14명을 심층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5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및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기혼여성이 되면서 여성들은 다양한 역할을 요구받고 나만의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이겨내 가며 안정적인 자기를 구성해 가고 있었다. 미혼여성에서 기혼여성으로의 이행에서 심리적 변화과정은 환상 속의 미혼기, 전략적 기혼기, 책임적 적응기의 세 과정으로 분석되었고, 핵심범주는 관계맥락 속에서 능동적 자기 선택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개념 및 범주 간의 관련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한 결과, 관계맥락 속에서 능동적 자기 선택의 과정의 유형은 활동제약형, 필요확장형, 과정생략형, 형태변화형, 신앙극복형, 스트레스대처형의 6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xplore the process of women’s psychological change as they transit from unmarried to married statu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married wome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s. As a result, 55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 in transiting from the unmarried to married women consists of three stages (i.e., the illusory unmarried stage, the strategic married stage, the responsible adaptive stage). The core category of the change process was the process of actively self-choosing within relational contexts. Six types of active self-choosing within relational contexts were identified: activity restriction, needs expansion, process skipped over, conformational change, overcoming through faith, and coping with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discussed.
고선주, 옥선화 (1993).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Ⅰ: 첫 자녀 임신기 부부의 결혼적응. 대한가정학회지, 31(2), 55-67.
김경신, 이선미 (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학회지, 1(1), 27-43.
김경은 (2008). 취업모의 첫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서울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선미 (2003). 30~40대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경험과 정체성유지를 위한 대응양식: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아린 (2010). 감사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필진 (2008). 목회상담과 신앙자원: 상담 및심리치료에서 영성과 영성문제에 대한 이해와 통합적 접근.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10, 9-37.
김혜영, 선보영 (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한국사회, 12(2), 3-35.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긍정주의 심리치료접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7(4), 877-906.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노은미, 이민규 (2013). 기혼남녀의 긍정적 감정 유발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Gottman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3), 387-405.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손승아 (2000). 첫 어머니됨의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효영, 방은령 (2007). 미혼과 기혼 남녀의 결혼관 및 자녀관 비교.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논문집, 2007, 494-495.
윤애란, 이인수 (2013). 부부갈등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지혜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3), 1739-1754.
윤택림 (1996). 유자녀 기혼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순, 연영란 (2012).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697-709.
이광자 (1991). 결혼 초 부부관계의 적응. 서울:사회문화연구소.
이복희, 박아청, 이경혜 (2010). 중년기 취업여성의 가계경제수준, 자아존중감, 역할적응및 자아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03-120.
이삼식 (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 연구, 26(2), 95-140.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신인철, 도세목, 조숙경, 강주희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영 (2010). 결혼 불안정성에 대응하는 가족 건강성 요인 연구. 사회복지실천, 9, 5-32.
이영숙, 박경란 (2011). 부부의 성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결혼기간별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충북가정학회지, 20(4), 731-743.
이윤주, 김진숙 (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5), 2229-2249.
이인수 (1994). 한국 여성의 결혼전이 시기에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1940, 50 년대 코호트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52-261.
이주일, 유 경 (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영향: 직장여성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3(3), 471-501.
임유진, 박정윤, 김양희 (2008).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심 지각과 신혼기결혼적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43-154.
장수지 (2009). 부부관계 심리적 자립으로 본부부유형에 따른 부부관계의 질: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133-151.
조남훈 (2005). 아시아 국가의 저출산 대책 현황과 정책적 함의. 출산 대응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조숙자, 방희정, 조혜자, 김현정 (2008). 사회, 정서발달: 맥락에 따른 관계적 자기의 다면적 특성: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2), 113-130.
조혜선 (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한국사회학, 37(1), 91-115.
조혜자, 방희정 (2006). 한국 중년여성의 삶과행복: 중년 여성의 자아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논문집, 2006, 202-203.
조희은, 윤 영, 이해인 (2005).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한 미혼여성들의 결혼지연 행동에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대회논문집, 2005, 294-295.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 (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99-313.
최윤정 (2010).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윤정, 김계현 (2010). 대졸 기혼 직장여성의개인특성, 환경적 지지 및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완화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4), 1049-1073.
통계청 (2014). 시도/동거기간별 이혼.
하상희 (2008).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29-141.
하오령, 권정혜 (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과 역할 만족도-역할 갈등, 완벽주의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5(3), 675-696.
한상철, 김혜원, 설인자, 임영식, 조아미 (2012). 청소년 문제행동: 심리학적 접근. 서울: 학지사.
황지영 (2006).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 인식에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aruch, G. K., & Barnett, R. C. (1986). Role quality, multiple role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3), 578-585.
Bender, S., & Messner, E. (2008). 강의실 밖에서 배우는 심리치료[Becoming a therapist :what do I say, and why?]. (신성만, 이지연, 허은혜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3년에 출판).
Frankl, V. E. (2005). 삶의 의미를 찾아서[The will to meaning]. (이시형 역). 서울: 청아출판사. (원전은 1969년에 출판).
Glasser, W. (1965). Reality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New York: Harper & Row.
Gilligan, C. (1985).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Guba, E. G., & Lincoln, Y. S.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 CA: Sage.
Lewis, M. S. (2000). The life stories of less generative adults: Identifying narrative and psychological features.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Peterson, B. E., & Duncan, L. E. (2007). Midlife women's generativity and authoritarianism:marriage, motherhood, and 10 years of aging. Psychology and Aging, 22(3), 411-419.
Strauss, A. L., & Corbin, J. M. (1996). 근거이론의 이해[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김수지, 신경림 공역). 서울: 도서출판사 한울. (원전은 1990년에 출판).
Strauss, A. L., & Corbin, J. M. (2001). 근거이론의 단계[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