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군 병사용 자살위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uicidal Dangerousness Scale for Military Soldiers

초록

군 병사의 자살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도움을 줌으로써 자살을 예방하는 일은 병사 개인뿐만 아니라 부대의 전투력 유지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군 병사들의 자살위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 예비연구에서는 군 병사 100명에게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125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2차 예비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로부터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은 후, 80문항을 선정하였다. 3차 예비연구에서는 80문항을 870명의 병사에게 실시하여 46문항의 예비척도를 추출하였다. 4차 본 연구에서는 예비척도를 891명의 병사에게 실시하여 요인분석 한 결과, 4개 하위요인의 20문항을 추출하였다. 각 하위요인은 자살시도경험(6문항), 자살욕구조절(6문항), 자살계획은폐(5문항), 자살생각동기(3문항)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척도가 양호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척도 전체에 대한 신뢰도 계수는 .85, 4개의 하위요인들은 .69에서 .92사이로 나타났다. 본 척도와 우울, 절망감 및 자존감 척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공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5차 추수연구에서 본 척도를 200명에게 실시한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1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군 병사, 자살위험성 척도, 개발, 타당화, military soldier, suicidal dangerousness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measuring suicidal dangerousness among military soldiers. In the phase 1, an open-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with 100 military soldiers to generate 125 candidate. In the phase 2,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ilot study was valuated by counseling experts. 80 items were selected. In the phase 3, the 80 items were administered with 870 soldiers to draw the pilot scale of 46 items. In the phase 4, the pilot scale was administered with 891 soldiers. Factor analysis yielded the final scale of 20 having four sub-factors: suicide attempt experience(6 items), suicidal impulse control(6 items), suicide plan concealment(5 items), and suicidal motive(3 items). In the follow-up study, this scale was administered to 200 soldiers.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91. Finally, the implica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군 병사, 자살위험성 척도, 개발, 타당화, military soldier, suicidal dangerousness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참고문헌

1.

강성록, 고재원, 김용주 (2012). 군내 스트레스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진단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45-367.

2.

고효진, 임숙빈, 정철순 (2001). 청소년의 자살위험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0(4), 521-532.

3.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및 우울과 비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29-43.

4.

국방부 (2014). 국방부 헌병속보.

5.

국방부 (2013). 국방부 자살사고 분석 및 예방대책.

6.

김경숙 (2013). 군 자살현황 및 예방프로그램 고찰: 육군현역병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덕민 (2008). 군 병영 내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병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동연 (2010).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병석, 김현순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01-219.

10.

김성식 (2003). 군 병사들의 불안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8), 413-437.

12.

김종천 (2004). 군 장병들의 자살행동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숙, 김창대, 유성경, 지승희 (2003). 청소년상담의 기초. 서울: 한국 청소년상담원.

14.

김형수 (2006).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노인복지연구, 22(1), 271-172.

15.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2007). 대학생들의 자살관련 행동에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6(1), 35-40.

16.

류진아 (2009).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대처방식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6(6), 45-70.

17.

문수백 (2003). 연구방법의 실제. 서울: 학지사.

18.

박병금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05-522.

19.

박장한 (2012). 군 장병들의 갈등요인과 수준에따른 자살사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우천 (2012). 군 장병의 자살과 유서의 특이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석사학위논문.

21.

백가연 (2010). 신세대 병사의 부모-자녀 관계가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22.

보건복지부 (2013). 2013년도 자살실태 및 자살사망자 통계분석.

23.

서혜석 (2008). 신세대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33-49.

24.

성태제 (2005).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25.

송낙용 (2006). 군 장병의 자살원인과 예방대책에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민섭 (1990).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 55-64.

27.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1991).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의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86-297.

28.

손정남 (2007).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6(3), 267-275.

29.

신현민 (2002). 군 장병의 자살원인과 예방대책에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31.

엄명용, 조성우 (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 개발. 서울: 학지사.

32.

육군본부 (2011). 자살사고 종합분석.

33.

육성필 (2002). 자살관련 변인의 탐색과 치료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윤경일 (2008). 군내 자살예방을 위한 군종목사의목회 상담적 역할.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윤민재 (2008). 군인 인권과 자살예방 프로그램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16(1), 79-109.

36.

이상조 (2007). 신세대 장병들의 스트레스가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38.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심리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39.

이혜선, 권정혜 (2009). 군 자살 예방프로그램의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53-672.

40.

장성대 (2003). 군내 폭행사고 및 자살사고의 실태와 예방대책.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전겸구 (2001).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42.

정신영, 이동귀, 박현국 (2012). 자살시도 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 연구, 13(1), 113-133.

43.

정은성 (2008). 군인 자살자 처우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영두 (2010). 군인 자살자 처우의 개선방안에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차미영 (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우울의 효과.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최명식 (2007). 대학 내 자살에 관한 연구. 인간의 이해, 28,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47.

최종길 (2008). 군인자살의 원인과 예방대책.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통계청 (2013). 2012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49.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49-1171.

50.

한국심리학회 (2002). 심리검사: 제작 및 사용지침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51.

한국청소년상담원 (2007). 청소년 자살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대 토론회 자료집.

52.

홍나미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홍영수 (2006).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사회적 자원의 보호효과. 한국학술정보, 120-128.

54.

홍점동, 양난이 (2013). 군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소외감, 욕구좌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423-1441.

55.

Baretti, L. F., & Gross, J.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In T. Mayne & G. A. Bonanno (Ed), (2001). Emotions (pp. 286-31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6.

Bauma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 90-113.

57.

Beck, A. T., Brown, G., Berchick, R. K., Stewart, B. L., & Steer, R. A. (1990).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ultimate suicide: A replication with psychiatric out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7, 190-195.

58.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for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59.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 Trexler, L.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861-865.

60.

Benjamin N., & Shain, J. (2007).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20(3), 669-676.

61.

Bertolote, J. M., Fleischmann, A., De, L., & Wasserman, D. (2003). Suicide and mental disorder: Do we know enough?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3, 382-383.

62.

Bonner, R. L., & Rich, A. R. (1987). Concurrent validity of a stress-vulnerability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17(4), 265-270.

63.

Brent, D. A. (1987). Correlantes of medicall ethality of suicide attemp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of Child Psychiatry, 26, 87-89.

64.

Bridge, J. A., Goldstein, T. R., & Brent, D. A. (2006).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 372-394.

65.

Campbell, L. (1960). Hopelessness: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25(2), 18-22.

66.

Carlson, G, A., & Cantwell, D. P. (1982). Suicide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 367-368.

67.

Cohen, Y., Spirito, A., & Brown, L. K. (1996).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In R. J. DiClemente., W. B. Hansen., L. E. Ponton (Eds.). Handbook of adolescent risk behavior. (pp. 193-224). Plenum Press.

68.

Dubow, E. F., Kauch, D. F., Blum, M. C., Reed, J., & Bush, E. (1989).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a community sample of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and Child Psychology, 18, 158-166.

69.

Fawcett, J. A. (1988). Predictors of early suicide identifica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49(10), 7-8.

70.

Felner, R. D. & Silverman, M. M. (1995). Suicide prevention program: Issues of design, implementation, feasibility,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 eds. In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ed al. New York: the Guilford Press.

71.

Granello, D, H., & Granello, P. F. (2007). Suicide:An essential guide for helping professionals and Educators. Personal Education.

72.

Harwood, D., & Jacoby, R. (2000).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keith hawton(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ley & Sons. Ltd.

73.

Hawton., K. (1986). Suicide in Young people:Study of 174 cases, aged under 25 years, based on coroner's and medical record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5(9), 271-276.

74.

Fiske, H. (2008). Hope in action: Solution-focused conversations about suicide. New York:Routledge.

75.

Isometsa, E., Henriksson, M., Marttunen, M., Heikkinen, M., Aro, H., Kuoppasalmii, K., & Lonnqvist, J. (1995). Mental disorders in young and middle aged men who commit suicide. British Medical Journal, 310, 1366-1367.

76.

Judith, M., Keller, M. B., & Shapiro, R. W. (1982). Double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438-442.

77.

Kessler, R. C., Borges, G., & Walter, E. E. (1999).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lifetime suicidal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6, 617-626.

78.

Kidd, S., Henrich, C., Brookmeyer, K., Davidson, L., King, R., & Shahar, G. (2006). The social context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Interactive effects of parent, peer, and school social relations.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36(4), 386-395.

79.

Lester, D. (1987). A subculture theory of teenage suicide. Adolescence, 22, 317-320.

80.

Lynch, T. R., Cheavens, J. S., Morse, J. Q., & Rosenthal, M. Z. (2004). A model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in depressed older adults: The impact of emotion inhibition and affect intensity. Aging & Mental Health, 8(6), 486-497.

81.

Maris, R. W., Berman, A., & Silverman, M. M. (2000). Comprehensive textbook of suicidology. New York: Guilford Press.

82.

Moscicki, E. K. (1995). Epidemiology of suicidal behavior, In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83.

Nilsen, W., & Conner, K. (2002).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child and adult victimization.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1(3), 49-62.

84.

Park, S. H., Lee, H. C., & Lee, J. Y.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group counseling for school-adjustment: Targeting school-unadjusted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7(2), 17-36.

85.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86.

Reynold, W. M. (1988). A school-based procedure for the identification of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al behaviors. Family Community Health, 14(3), 64-75.

87.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8.

Simon, R. L., & Murphy, P. I. (1985).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5), 423-434.

89.

Weissman, M. M. (1974). The epidemiology of suicide attemp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0, 737-746.

90.

Wilburn, V. R.,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40, 33-45.

91.

Yon, H. J. (2010). Effect study of youth suicide prevention program. Mental Health & Social Work, 36, 265-29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