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재혼가족의 생활적응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the Life Adaptation of the Stepfamily Parent

초록

본 연구는 재혼경험을 가지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역할긴장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조사, 현장전문가의 FGI 및 재혼부모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 본 모형에 입각한 재혼가족의 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6회기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처지집단에 실시하고 통제집단과 역할긴장,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사전-2차-3차-사후 시점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험보고서와 프로그램 녹취내용을 통해 양적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양적분석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있어서 역할긴장,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검사의 평균 득점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수준 다층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개발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재혼가족 부모의 역할긴장과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부모자녀관계 만족도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재혼가족, 생활적응, 부모교육프로그램, Stepfamily, life adaptation, a Parent Education Progra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program on the life adaptation of the stepfamily parent wh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Following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Focus Group Interview of experts, and needs survey of stepfamily parents,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ng Life Adaptation of the stepfamily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6 sessions with constituting areas(i.e., Navigation experience and Navigation emotional and problem management). Secon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ssigned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In doing so the responses from subjects were measured four times(i.e., pre-program, 2nd session, 3rd session, and post-program). For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in this program,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tested and supported.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the data and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program.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재혼가족, 생활적응, 부모교육프로그램, Stepfamily, life adaptation, a Parent Education Program

참고문헌

1.

고은영, 서영석 (2012). 재혼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적응의 관계: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97-419.

2.

권진숙, 신혜령, 김정진, 박지영 (2006). 가족복지론. 고양시: 공동체.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4.

김미례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자기이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6.

김번영 (2011). 재혼코칭: 경험자가 들려주는 행복한 가정꾸리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7.

김연옥 (2002). 재혼가정 내 모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9, 319-342.

8.

김연옥 (2007). 해체된 재혼의 특성에 관한연구-재혼모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2), 171-195.

9.

김효순 (2005). 재혼가족의 적응에 관한 문헌고찰. 가족과 문화, 17(1), 191-230.

10.

김효순 (2006). 재혼가족의 양육태도 유형이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단일호), 57-87.

11.

김효순 (2007).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4), 65-86.

12.

김효순 (2010). 새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재혼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0(단일호), 245-268.

13.

김효순, 엄명용, 박미정 (2010). 재미한인교포의 이혼 후 재혼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시카고지역의 재혼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2(2), 5-28.

14.

김효순, 하춘광 (2010). 청소년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 역할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지: 가족과 문화, 23(1), 137-168.

15.

노명숙 (2013).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집, 14(1), 169-175.

16.

명현주 (2012).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행복과 부-자녀관계에 미치는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문성주 (2011).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석사학위논문.

18.

박경임 (2011).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부모역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박은주 (2004). 재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진옥 (2004).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병행한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변경화 (1999).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와 부모교육요구도 연구: 청소년기 자녀를 둔 제주시 부모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손병덕 (2009). 이혼, 재혼가정 아동의 공격, 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113-136.

23.

양진희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재혼가정 어머니의 재혼가족생활 경험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5-34.

24.

윤혜미, 류나미 (2007).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3, 215-236.

25.

이수정, 전영주 (2009). 재혼연구 동향분석: 1996-2007년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73-195.

26.

이은경 (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정림 (2007). 이혼과 재혼에 대한 아동과 청소년의 지각. 동서정신과학, 10(2), 49-62.

28.

임춘희 (1996). 재혼가족내 계모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임춘희 (2006). 재혼가족 청소년의 친부모관계와 새부모관계에 대한 연구: 재혼가족에대한 고정관념과 재혼가족신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3(3), 79-102.

30.

장미경 (2011).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부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77-297.

31.

장혜경, 민가영 (2002). 재혼가족의 적응실태와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여성연구, 62, 153-180.

32.

정교영, 신희천 (2011). 자기결정 이론을 근거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603-634.

33.

정현숙, 유계숙, 임춘희, 전춘애, 천혜정 (1999). 준비된 재혼, 또 다른 행복: 성공적인 재혼을 위한 준비교육. 서울: 동인.

34.

정희정 (2009).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조진형 (2009). ‘행복한 어머니 되기’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지승희, 오혜영, 이현숙 (2012). 사이버상담 사례에 나타난 재혼가족 여자청소년의 어려움. 청소년상담연구, 20(1), 107-126.

37.

최인경 (2008). 발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태양실 (2008).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아 어머니의 공격성, 분노, 양육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012). 2012년도 상담통계.

40.

한승희 (2011). 가림치료 어머니교육이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부모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현은민 (2003). 재혼가족의 아동: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경험하는 문제와 대책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 101-126.

42.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siv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3.

Ahron, C. R. (2007).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divorce and its aftermath. Family Process, 46(1), 3-6.

44.

Barre, M. S., Genevieve, L. A., Donald, K. F., & Jennifer, A. F. (2005). Adolescents in stepfamilies: a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4(1), 177-183.

45.

Boss, P. (1987). Family stress: Perception and context. In M. Sussman & S.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 695-723). NY: Plenum Press.

46.

Boss, P., & Greenberg, J. (1984). Family boundary ambiguity: A new variable in family stress theory. Family Process, 23(4), 535-546.

47.

Brown, S. L., & Manning, W. D. (2009). Family boundary ambiguity and the measurement of family structure: The significance of cohabitation. Demography, 46(1), 85-101.

48.

Bray, J. H., & Berger, S. H. (1993). Developmental Issues in StepFamilies Research Project: Family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1), 76.

49.

Cohen, S., Gottlieb, B. H., & Underwood, L. G. (2000).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3-25.

50.

Coleman, M., Ganong, L., & Fine, M. (2000). Reinvestigating Remarriage: Another Decade of Progres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1288-1315.

51.

Crosbie-Burnett, M. (1989). Application of family stress theory to remarriage: A model for assessing and helping stepfamilies. Family Relations, 323-331.

52.

Dunn, J., Cheng, H., O'Connor, T. G., & Bridges, L. (2004). Children's perspectives o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nonresident fathers:Influences, outcom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 553-566.

53.

Felker, J. A., Fromme, D. K., Arnaut, G. L., & Stoll, B. M. (2002). A qualitative analysis of stepfamilies: The stepparent.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38(1-2), 125-142.

54.

Hetherington, E. M., & Stanley-Hagan, M. (1999).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Journal of Child Pychology, 40(1), 129-140.

55.

Ihinger-tallman, M., & Pasley, K. (1987). Remarriage and stepparenting today: Current research and theory. N.Y.: Guilford Press.

56.

Jacobson, D. S. (1987). Family type, visiting patterns, and children's behavior in the stepfamily: A linked family system

57.

Lawshe, C. H. (1985). Inferences from personnel tests and their valid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0(1), 237-238.

58.

Lutz, P. (1983). The stepfamily: An adolescent perspective. Family Relations, 32, 367-375.

59.

Papernow, P. L. (1984). The Stepfamily Cycle: An Experiential Model of Stepfamily Development. Family Relations, 33(3), 355-363.

60.

Popkin, M. H., & Einstein, E. (2013). 재혼가정의적극적인 부모역할. 〔Active Parenting For Stepfamilies Parent’s Guide〕. (홍경자, 오제은, 김유정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는 2007년에 출판).

61.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62.

Skaggs, M. J., & Jodl, K. M. (1999). Adolescent adjustment In non stepfamilies and stepfamilie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4(4), 127-149.

63.

Skeen, P., Covi. R. B., & Robinson, B. E. (1985). Stepfamil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Suggestions for Practitioner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4, 121-125.

64.

Stewart, S. D. (2005). Boundary ambiguity in step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26(7), 1002-1029.

65.

Tseng, W. S. (2001). Handbook of cultural psychiatry.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14, 71-73.

66.

U. S. Bureau of the Census. (2006). The Living Arrangements of Children in 2005. Current Population Survey, 2005. www.census.gov.

67.

Visher, E. B., Visher, J. S., & Pasley, K. (2003). Remarriage families and stepparenting. Normal family processes: Growing diversity and complexity, 3, 153-175.

68.

White, L. K., & Booth, A. (1985).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remarriages: The role of step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5), 689-698.

69.

Whitsett, D. P., & Land, H. M. (1992). Role strain, coping, and marital satisfaction of stepparents. Families in Society, 73(2), 79-9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