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Based on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초록

본 연구는 행동중독의 6가지 준거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선행연구에서 193개의 최초 예비문항을 추출한 후, 행동중독의 6가지 요인(현저성, 기분조절, 내성, 금단, 갈등, 재발)을 대표할 수 있는 40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고, 대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하위요인 별로 신뢰도를 분석하여 24개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먼저, 스마트폰 중독이 위계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정점으로 6가지 하위요인을 가지는 위계적 2차 요인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합치도(Cronbach α)가 .93으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와 스마트폰 중독 척도(SAS; Smartphone Addiction Scale)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각 .84, .93으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본 도구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행동중독의 평가, 연구 및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smart media, behavioral addiction, addiction,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스마트 미디어, 행동중독, 중독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based on 6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40 items representing 6 factors of behavioral addiction were selected as preliminary items and final 24 items were adopted based on reliability tes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first 6 factors underneath ‘Smartphone Addiction’ as a second-order factor was used to assure the validity; satisfactory goodness of fit was determin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onfirmed. By confirming a criterion-related validit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scale)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 (SAS) are validly verified and as a result the scale can be utilized to assess smartphone use addi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smart media, behavioral addiction, addiction,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스마트 미디어, 행동중독, 중독

참고문헌

1.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2.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 (2012). 성인용 간략형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3.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4.

김주환, 김민규, 김은주, 신의진 (2008). 온라인게임 중독 검사 개발과 타당화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9(1), 385-415.

5.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6.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7.

미국중독의학협회(American Society of Addiction Medicine) (2011). http://www.asam.org/for-thepublic/definition-of-addiction

8.

미래창조과학부 (2015). 무선통신 가입자 통계(‘15년. 12월 기준). http://www.msip.go.kr/cms/www/open/go30/info/info_4/info_41/__icsFiles/afieldfile/2016/01/28/12월%20무선통신서비스%20가입자%20현황_1.pdf

9.

박성복, 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4), 289-311.

10.

송민호, 김은이 (2014).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연구: 계획행위이론의 확장 모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45(1), 83-112.

11.

유지돈, 이익선, 양재호 (2014). 지역별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인구․사회적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40(3), 51-75.

12.

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언,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 이은하, 최정혜, 홍서영, 배정이, 박현주, 홍희정 (2011).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3(2), 92-104.

13.

정병완, 홍혜영 (2015).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83-201.

14.

최삼욱 (2013) 행위중독: 인간의 행동이 중독의대상이 되다. 서울: NUN.

15.

최윤영, 서영석 (2015).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7(3), 749-772.

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7.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18.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2011). 이용자 속성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5(2), 227-313.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 Manual-Ⅳ. New York: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 Manual-5. New York: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1.

Andreassen, C. S., Griffiths, M. D., Hetland, J., & Pallesen, S. (2012). Development of a work addiction scale.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3, 265-272.

22.

Andreassen, C. S., Griffiths, M. D., Pallesen, S., Bilder, R. M., Torsheim, T., & Aboujaoude, E. (2015). The Bergen Shopping Addiction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screening test. Frontiers in Psychology, 6, 1374.

23.

Andreassen, C. S., Torsheim, T., Brunborg, G. S., & Pallesen, S. (2012).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Psychological Reports, 110, 501-517.

24.

Atroszko, P. A., Andreassen, C. S., Griffiths, M. D., & Pallesen, S. (2015). Study addiction -A new area of psychological study: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preliminary empirical finding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4(2), 75-84.

25.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2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27.

Chen, F. F., Sousa, K. H., & West, S. G. (2005).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for a second-order factor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2, 471-492.

28.

Grant, J. E., Potenza, M. N., Weinstein, A., & Gorelick, D. A. (2010). Introduction to behavioral addi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Abuse, 36, 233-241.

29.

Griffiths, M. (1999).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12(5), 245-250.

30.

Griffiths, M.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 191-197.

31.

Kwon, M., Lee, J. Y., Won, W. Y., Park, J. W., Min, J. A., Hahn, C., Gu, X., Choi, J. H., & Kim, D. J.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SAS). PLoS ONE, 8, e56936.

32.

Lemmens, J. S., Valkenburg, P. M., & Peter, J.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m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Media Psychology, 12, 77-95

33.

Leshner, A. I. (1997). Addiction is a brain disease, and it matters. Science, 278(5335), 45-47.

34.

Lin, Y. H., Chang, L. R., Lee, Y. H., Tseng, H. W., Kuo, T. B. J., & Chen, S.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SPAI). PLoS ONE, 9, e98312.

35.

Noar, S. M. (2003). The rol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cale develop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 622-647.

36.

Robbins T. W., & Clark, L. (2015). Behavioral addictions.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30, 66-72.

37.

Rosenberg, K. P., & Feder, L. C. (2014). Behavioral Addictions. London: Academic Press.

38.

Tucker, L. R., &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39.

Walker, M. B. (1989). Some problems with the concept of “gambling addiction”: Should theories of addiction be generalized to include excessive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5(3), 179-200.

40.

West, R. (2001). Theories of addiction. Addiction, 96, 3-1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