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외상 후 성장과 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의미의 매개효과: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Existential Meaning on the 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Adjustment of Middle-aged Adults

초록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실존적 의미가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0세 이상 60세 이하 중년기 성인 439명을 대상으로 외상 및 외상 후 성장 경험,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 중년기 적응유연성, 주관적 행복감,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외상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수준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실존적 의미와 적응 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적응 간의 직접 경로와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를 매개로 한 간접 경로를 모두 포함한 연구모형이 간접 경로만을 포함한 경쟁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경로에서는 외상 후 성장이 중년기 적응유연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이르는 직접 경로 및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를 매개로 한 간접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외상 후 성장이 중년기 정서적 위기감에 이르는 경로에서는 개인적 의미를 매개로 한 간접 경로만이 유의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posttraumatic growth, adjustment, existential meaning, personal meaning, spiritual meaning, middle-aged adults, 외상 후 성장, 적응, 실존적 의미,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중년기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s of existential mea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adjustment were examined based on a survey administered to 439 adul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years old. The survey collected data about posttraumatic experience and growth, personal and spiritual meaning, mid-life resilience, subjective happiness, and mid-life crisis. The one-way ANOVA analysis demonstrated that posttraumatic experience and growt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existential meaning and adjustmen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ved that posttraumatic growth mediated the direct path to mid-life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but not to mid-life crisis. In addition, both personal and spiritual meanings mediate the link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mid-life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however, personal meaning alone was mediated by the link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mid-life crisis. Based on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osttraumatic growth, adjustment, existential meaning, personal meaning, spiritual meaning, middle-aged adults, 외상 후 성장, 적응, 실존적 의미, 개인적 의미, 영적 의미, 중년기

참고문헌

1.

김고은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성장의 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대처의 매개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136.

3.

김애순, 윤진 (1991). 중년기 위기감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73-87.

4.

김애순 (1993). 중년기 위기감(2): 회고적 청년기의 정체감 발달상태에 따른 중년기 위기감 수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1), 75-84.

5.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란, 이건숙 (2008).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관련요인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81-799.

6.

박선영, 권석만 (2012).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1(3), 741-768

7.

박예슬 (2013).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심리적 수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배상정 (2012). 영성, 희망 및 외상 후 성장이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

10.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11.

송주연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송현, 이영순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4), 1231-1246.

13.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현숙 (2011). 초등학생의 성격적 강점 및 주관적 행복감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신희석 (2000). 생의 의미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중년 주부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안영미 (2002). 노인의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8.

안태용 (2012).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여선희 (2013). 학교적응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유순희 (2011).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정서조절, 삶의 의미와 우울의 관계.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유희정 (2014).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59-85.

22.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2001). 일도시 지역의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신경정신의학회지, 40(4), 581-591.

23.

이미선, 오경자 (2011).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적 및 영적 의미의 조절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30(4), 1039-1051.

24.

이수미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한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승화 (2014). 삶의 의미 추구와 발견에 따른중년기 위기감과 심리적 안녕감.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6.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27.

이인정 (2009). 암경험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대한 국내외 연구의 체계적 고찰.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6. 81-113.

28.

이정호 (2011). 종교적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임선영 (2013).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0.

전보람 (2012).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정미경 (2010). 노년기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정옥분 (2004).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33.

정인명 (2009).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 외상 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34.

조성훈 (2007). 실존적 의미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하, 신희천 (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1(4), 1011-1026.

36.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홍경임 (2008). Seligman의 행복결정요인의 기여도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홍미혜 (1999).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2-177.

40.

Aldwin, C. M., Levenson, M. R., & Spiro. A.Ⅲ (1994).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to combat exposure: Can stress have lifelong effects? Psychology and aging, 9, 34-44.

41.

Battista, J., & Almond, R. (1973).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Psychiatry, 36, 409-427.

42.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43.

Bradburn, N. M., & Caplovitz, D. (1965). Reports on happiness: A pilot study of behavior related to mental health.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44.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Chamberlain, K., & Zika, S. (1988). Religiosity, life meaning and well-being: Some relationships in a sample of women.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27, 411-420.

46.

Cordova, M. J., Cunningham, L. L. C., Carlson, C. R., & Andrykowski, M. A. (2001).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20, 176-185.

47.

Debats, D. L., van der Lubbe, P. M., & Wezeman, F. R. A. (1993).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Regard Index (LRI): a measure of meaningful lif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 337-345.

48.

Debats, D. L. (1998). Measurement of personal mean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regard index (LRI): In P. T. P. Wong &P. S. Fry (Eds.), The human quest for meaning:A handbook of psycholog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237-259). Mahwah, NJ:Erlbaum.

49.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50.

Frazier, P., Conlon, A., & Glaser, T. (2001). Positive and negative life changes following sexual assaul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1048-1055.

51.

Gould, R. L. (1978). Transformations: Growth and change in adult life. New York: Simon &Schuster.

52.

Harlow, L. L., Newcomb, M. D., & Bentler, P. M.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5-21.

53.

Helgeson, V. S., Reynolds, K. A., & Tomich, P. L. (2006). A meta-analytic review of benefit finding and grow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797-816.

54.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55.

Jaques, Elliott. (1965). Death and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514.

56.

Joseph, S., Williams, R., & Yule, W. (1993). Changes in outlook following disaster: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measure to assess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6, 271-279.

57.

Jung, C. G. (1954).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New York: Pantheon.

58.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Levinson, M. L., & McKee, B. (1978). The seasons of men's life. New york: Knopf

59.

Lyubomirsky, S. (2001). Why are some people happier than others? The rol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processes in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6, 239-249.

60.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61.

Mascaro, N., Rosen, D. H., & Morey, L. C., (2004). The development,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Spiritual Meaning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845-860.

62.

Mascaro, N., Rosen, D. H. (2006). The Role of Existential Meaning as a Buffer Against Stres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46, 168-190.

63.

Mohr, D. C., Dick, L. P., Russo, D., Pinn, J., Boudewyn, A., Likosky, W., & Goodkin, D. E. (1999). The psychosocial impact of multiple sclerosis: Explo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Health Psychology, 18, 376-382.

64.

Oshio, A., Nakaya, M., Kaneko, H., & Nagamine, S.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35, 57-65.

65.

Park, C. L., & Folkman, S. (1997).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 115-144.

66.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5(1), 18-29.

67.

Ryff, C. D., & Singer, B. H. (1998.)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Psychological Inquiry, 9, 1-28.

68.

Sheehy, G. (1976). Passages: Predictable crises of adult life. New York: Dutton.

69.

Taylor, S. E., & Armor, D. A. (1996). Positive illusions and coping with adversity. Journal of Personality, 64, 873-898.

70.

Taylor, S. E., Kemeny, M. E., Reed, G. M., Bower, J. E., & Gruenewald, T. L. (2000). Psychological resources, positive illusion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55, 99-109.

71.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s, CA:Sage Publications, Inc.

72.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73.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74.

Tennen, H., & Affleck, G. (2002). Benefit-finding and benefit-reminding, In the C. R. Snyder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75.

Vaillant, G. (1977). Adaptation to life. Boston:Little, Brown.

76.

Veenhova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77.

Watson, D., & Tellegen, A. (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78.

Whitbourne, S. K., & Weinstock, C. S. (1986). Adult development. New York: Praeger Publishers.

79.

Zika, S., & Chamberlain, K. (1987). Relation of hassles and personality to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 155-162.

80.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 626-65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