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nger Management Group Programs

초록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진행된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10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을 선택하여 671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724로 큰 효과크기에 근접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참가자 연령대에 따른 분석에서는 고등학생 집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는 아동집단은 인지행동이, 청소년집단은 사회적 기술이, 성인집단은 부모역할훈련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성별과 집단운영방식에 따른 아동, 청소년, 성인의 하위집단 분석에서는 성별, 집단의 총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실시기간, 집단크기, 회기당 진행시간에 따라 효과크기의 양상이 집단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아동집단과 청소년집단은 분노에, 성인집단은 부적응관련 변인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 메타분석, 효과크기, anger control group program, meta-analysis, effect size

Abstract

This study utilized meta-analysis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ger management group programs. From 106 studies, 671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with an average effect size of 0.724. Groups were divided by age and results are as follows: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was most effective overall; the cognitive behavior program was most effective for children; social skills program for adolescents; and parental role training for adult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of the three subgroups. As to effect size, according to sex and program delivery modes, the subgroups showed differing results. Regarding dependent variables, anger was most effective in the children and adolescent groups while the maladjustment-related variable was most effective in the adult group.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showed a sligh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 메타분석, 효과크기, anger control group program, meta-analysis, effect size

참고문헌

1.

권예원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은, 김진숙 (2015). 마음챙김 활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3, 135-155.

3.

김경희 (2014). REBT활용 분노조절프로그램이비행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계현 (1993).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 청소년 범죄연구, 11, 49-64.

5.

김관우 (2011). 공격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영, 조혜희, 박지연 (2010).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1990년에서 2010년까지의 국내외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2, 291-312.

7.

김성자 (2007).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공격성향 아동의 분노,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진 (2001). 우울증에 대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효과의 메타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용태, 박한샘, 강신덕 (1995). 청소년의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 서울: 청소년 대화의광장.

10.

김윤희, 김진숙 (2015). 공감훈련 프로그램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 1-21.

11.

문은주 (2015).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 111-129.

12.

민혜숙 (2015). 분노조절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청소년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영주, 한금선, 신나미, 강현철, 천숙희, 윤지원, 신현정 (2010). 청소년의 분노, 분노표현 유형과 정신, 신체, 사회적 건강. 정신간호학회지, 19, 106-116.

14.

백현주 (2009).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훈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미화 (2002). 아동을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송미경 (2002).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학위논문(1991-2002년)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15, 145-160.

18.

신은진 (2009). 분노표출아동의 상담사례: 종합적 분노조절프로그램의 적용.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신을진, 김창대, 김형수,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20.

양윤일 (2005).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의사소통 수준과 분노표현 방식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성삼 (2002). (선행연구 결과의 통합과 재분석을 위한)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건국대학교 출판부.

22.

오성삼 (2007). 교육학연구에서의 메타분석방법. 교육논총, 39, 47-66.

23.

윤순희 (2000). 분노조절 훈련이 초등학생들의부적응 행동감소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안나 (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불안감소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5.

이유미 (2006).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은순 (1998). 청년기와 정서: 청년심리학. 서울: 학문사.

27.

이장호, 김정희 (2013).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파주: 법문사.

28.

이정숙, 이 현, 안윤영, 유정선, 권선주 (2010). 국내 분노조절 프로그램 연구 동향: 국내학술논문 중심으로(1996~2008).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5, 1-22.

29.

이지연, 성옥련 (2000). 청소년의 위계적 대인관계 표상이 분노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 99-113.

30.

임성문, 김영순 (2004). 매맞는 아내를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과학연구, 21, 331-354.

31.

임은미, 임찬오 (2003).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1, 3-11.

32.

임하나 (2010). 공감훈련을 병합한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공격성향 아동의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형석 (2000).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원천과대처전략. 연구보, 32, 101-115.

34.

장혜주, 임지영 (2011).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유형에 관한 연구: Q 방법론 적용. 대한가정학회, 49, 11-23.

35.

전은청, 이혜진, 이진숙 (2012).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프로그램 경향 분석: 2000년∼2010년도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 73-95.

36.

정순민 (2015).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천성문, 이영순, 이현림 (2000).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 52-82.

38.

최성일, 김중술, 신민섭, 조맹제 (2001). 분노표현 방식과 우울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40, 425-433.

39.

최지영, 이영순 (2014).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분노표현양식 및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1, 77-95.

40.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41.

Beck, R., & Fernandez, E. (1998).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nger:A meta-analy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 63-74.

4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Erlbaum.

43.

DiGiuseppe, R., & Tafrate, R. C. (2003). Anger treatment for adults: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 70-84.

44.

Duval, S., & Tweedie, R. (2000).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 89-98.

45.

Gansle, K. A. (2005).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anger interventions and programs:A meta-analysi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 321-341.

46.

Huffcutt, A. I., & Arthur, W. Jr. (1995). Development of a new outlier statistic for meta-analytic data.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327-334.

47.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 264-269.

48.

Muro, J. J., & Kottman, T. (1995). Guidance and counseling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Madison, WI: Brown & Benchmark.

49.

Novaco, R. W. (1976). Treatment of chronic anger through cognitive and relaxation control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681-691.

50.

Novaco, R. W. (1994).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en(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pp.21-59).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

Phillips, L. H., Henry, J. D., Hosie, J. A., & Milne, A. B. (2006). Age, anger regulation and well-being. Aging & Mental Health, 10, 250-256.

52.

Saini, M. (2009). A meta-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eatment of anger: Developing guidelines for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sychiatry and the Law, 37, 473-488.

53.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 Sydeman, S. J. (1995).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18, 207-232.

54.

Sukhodolsky, D. G., Kassinove, H., & Gorman, B. S. (2004).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ng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9, 247-269.

55.

Sukhodolsky, D. G., Solomon, R. M., & Perine, J. (2000). Cognitive-behavioral, anger-control interven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treatment-outcome study.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Group Therapy, 10, 159-170.

56.

Vecchio, T. D., & O’Leary, K. D. (2004). Effectiveness of anger treatment for specific anger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15-34.

57.

Webster-Stratton, C., & Reid, M. J. (2003). Treating conduct problems and strengthen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The Dina Dinosaur treatment progra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1, 130-14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