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보육직무 스트레스 관리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검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육교사의 보육직무 스트레스 관리 상담 프로그램인 ‘샤이닝 티쳐 프로그램(Shining Teacher Program)’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8명), 비교집단(8명), 통제집단(9명) 총 24명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본 연구진이 개발한 ‘샤이닝 티쳐 프로그램’(총 8회기)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게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통제집단에게는 처치를 실시하지 않았다. 분석결과, ‘샤이닝 티처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보육교사는 의사소통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를 한 통제집단 보육교사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육직무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분노통제력은 증진되었으며, 교사효능감도 어느 정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질적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자신의 보육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이 증진될 뿐 아니라 효율적인 보육직무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습득하게 되었고, 동료 보육교사인 집단원의 공감 및 지지를 통해 보육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으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심리적 치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진이 개발한 ‘샤이닝 티쳐 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보육직무 스트레스 완화 및 관리에 효과적인 근거기반 상담 프로그램임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ounseling program (Shining Teacher Program) designed to minimize the stress levels of Daycare Teachers. Subjects included 24 daycare center teachers, divided into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n=8), comparison group (n=8), and a control group (n=9). The Shining Teacher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 communication program to the comparison group, and no treatment program to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results showed lower stress levels and improved response to both stress and anger in teach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hining Teacher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hining Teacher Program is a validated, evidence-based counseling program for daycare center teachers.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2), 41-62.
권은주, 조진희 (2010). 현실치료 프로그램이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9(3), 235-250.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김윤신, 김은진, 임세원, 신동원, 오강섭, 신영철 (2015).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증상의 연관성. 대한불안의학회지, 11(1), 38-46.
김현정 (2011). 보육교사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향상에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성 (2009). 보육직무 스트레스와 생활사건스트레스가 직장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346-373.
문채련, 이소은 (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박진아, 이경숙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5(3), 27-54.
박진아, 조성연 (2011). 아동상담 교육프로그램에 의한 유치원교사의 상담인식 변화. 생애학회지, 1(2), 65-85.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 2013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안정적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제도개선 토론회 (2015.2.11.). 안정적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제도개선 토론회 자료집.
오경옥, 강문희, 이선현 (2012). 일지역 보건교사의 지각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1), 60-68.
유철수 (2008). 의사소통훈련이 전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숙희, 배정이, 이소우, 안경애, 김세은 (2006).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및 흡연 형태. 보건과 사회과학, 19, 31-50.
이경숙, 박진아, 신의진 (2015). 모의 어린이집아동학대 관련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01-327.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21(2), 227-252.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2016a).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우울의 차이와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4), 23-40.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2016b).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7(4), 145-158.
이무영, 박상희, 문수경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77-294.
이복임, 정혜선, 김순례, 이경용 (2004). 서비스직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감정노동 종사자의 보육직무 스트레스를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4), 566-576.
이정현, 안효진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3(4), 129-141.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이준영, 최종혁, 황현국, 서영은 (2014). 강원지역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불안의학회지, 10(2), 151-156.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 최기홍 (2013).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51-270.
임진섭, 이형직, 정세정 (2008). 보육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이 배우자 폭력에 미치는 영향-성남시 소규모 생계형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9, 115-145.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60-78.
정계숙, 이정희 (2008). 공감적 태도 지원 프로그램 참여 교사의 부적응 유아에 대한 공감적 태도의 변화 과정. 유아교육연구, 12(5), 249-273.
정명선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47-16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감정노동의 직업별 실태. KRIVET Issue Brief, 26.
한세영, 김영희, 김연화 (2007). 교사의 특성과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0(2), 53-67.
홍길희, 정혜진 (201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우울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63-280.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2). 직장어린이집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39.
Andresen, E. M., Malmgren, J. A., Carter, W. B., & Patrick, D. L. (1994). Screening for depression in well older adults: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0(2), 77-84.
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61(4), 271-285.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New York: H. H. Freeman.
Bechdolf, A., Kohn, D., Knost, B, Pukrop, R., & Klosterkötter, J. (2005). A randomized comparison of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group psychoeducation in acut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utcome at 24months. Acta Psychiatr Scand, 112, 173-179.
Kim, K. H. (2011). Toward a science of preventive counseling.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1(1), 13-28.
Klassen, R. M., Tze, V. M., Betts, S. M., & Gordon, K. A. (2011).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ational Psychological Review, 23, 21-43.
Kovess-Masfety, V., Rios-Seidel, C., & Sevilla-Dedieu, C. (2006).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7), 1177-1192.
Re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2, 385-401.
Reilly, E., Dhingra, K., & Boduszek, D. (2014).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self-esteem, and job stres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8(4), 365-378.
Shwarzer, R., & Hallum, S. (2008). Perceived teacher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job stress and burnout: Mediation analyse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7(Supplement 1), 152-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