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생 개인진로상담에서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of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in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초록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개인진로상담 과정에서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수준의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이 변화양상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다 특정 시기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수준과 특성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 시작 시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불안만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성불안 수준이 높은 내담자일수록 진로상담으로부터 얻는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진로미결정 수준은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섯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낮을수록 상담 시작 시기 진로미결정 수준이 높고 진로상담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불안은 진로미결정 초기치 및 변화율의 개인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상담에서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areer counseling outcomes, Latent Growth Model, perfectionism, trait anxie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진로상담 효과, 완벽주의, 특성불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Abstract

This study employed the Latent Growth Model to investigate how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changed through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d how student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affected the changes in two outcom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first, th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nded to increase over time (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essions) up until a certain point, and then decrease. Second, students with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low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lower trait anxiety had significantly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trait anx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hanges; clients with higher trait anxiety showed slower self-efficacy growth. Fourth, career indecision levels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Lastly, students with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low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higher initial career indecision scores that decreased rapidly over time.

keywords
career counseling outcomes, Latent Growth Model, perfectionism, trait anxie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indecision, 진로상담 효과, 완벽주의, 특성불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참고문헌

1.

고향자 (1993). 한국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

김경은, 김승천 (2016).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심리내적 특성 차이: 완벽주의, 정서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37(1), 21-40.

3.

김령, 이지은, 양은주 (2012).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미결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

김미소 (2015).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과 특성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5.

김민선 (2014).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진로미결정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7(4), 145-166.

6.

김민정, 김봉환 (2007). 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1), 13-25.

7.

김봉환, 김계현 (1995). 진로 미결정에 관한 연구동향과 향후의 연구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1), 20-43.

8.

김영근, 강민철, 조아라, 이윤희 (2011). 대학생의 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과 우유부단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95-1016.

9.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0.

김창대, 윤정순, 박소은, 유성경, 손난희, 한영주, 윤정숙, 김경하, 이지영, 홍세희, 권경인 (2010). 한국 상담성과와 상담자 효과. 한국상담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

11.

서영석, 조화진, 조민아, 김민선, 최바울, 고은영, 안하얀, 백근영, 최영희, 석분옥, 이정선, 민경화, 김효주, 박준호 (2012). 상담자즉시성이 상담회기평가 및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회기-내담자-상담자 3수준 다층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4), 753-780.

12.

손애라, 유순화, 윤경미 (2015). 사회인지적 진로집단상담이 공과대학 여학생의 지각된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효과. 직업교육연구, 34(3), 151-170.

13.

송보라, 이지원, 최혜승, 허준경, 이기학 (2014). 성인의 전생애적 진로만족 연구: 생애주기별 사회인지진로변인과 삶의 만족에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5(5), 1791-1810.

14.

송지은, 이정윤 (2013).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상담학연구, 14(4), 2107-2123.

15.

어윤경 (2011). 특성불안이 대학생의 진로 미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 진로정체감의매개효과. 한국교육, 38(3), 163-182.

16.

오은주 (2014). 대학생의 특성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7(2), 85-107.

17.

유선영 (2014).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미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8.

유현실 (2009). 진로상담 성과준거에 관한 델파이 연구. 상담학 연구, 10(4), 2187-2206.

19.

윤정혜, 유영림 (2015). 대학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8, 479-504.

20.

윤초암, 유현실 (2017). 대학생의 방어적 과대자기와 지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부적응적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1), 59-78.

21.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22.

이보현, 두흔, 이은정,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2013).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 있어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2), 1383-1400.

23.

이영선, 김정희, 이영순 (1999). 진로 미결정에대한 심리적 독립, 애착 및 특성 불안의관계. 한국진로상담학회지, 4(1), 137-161.

24.

이영주 (2005). 완벽주의와 특성 불안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5.

이재창, 최인화 (2006). 완벽주의 및 역기능적진로사고와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53-872.

26.

이정애, 최웅용 (2008).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에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1), 129-146.

27.

이현정 (1995).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통제소재 및 불안에 따른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8.

이현주 (2011).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아핸디캡전략의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4(3). 21-39.

29.

이현주 (2012). 완벽주의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자아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중재효과. 진로교육연구, 25(4), 199-220.

30.

이현주, 손원숙 (2013). 고등학생의 자기지향과타인지향,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조절학습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219-239.

31.

이형국 (2010).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1(2), 701-720.

32.

임은미, 송미숙, 이수진 (2011).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전환 준비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4(4), 1-20.

33.

장진이, 이지연 (2016). 대학생의 부모진로지지, 특성불안, 계획된 우연역량에 따른 군집유형별 진로결정 수준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7(1), 47-65.

34.

전명임, 이희경 (2011). 다차원적 완벽주의와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사회적유대감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1), 67-83.

35.

조지영, 천성문 (1999).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연구. 한국진로상담학회지, 4(1), 101-136.

36.

주명진, 김정남 (2011). 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7, 157-174.

37.

최윤정, 이지은 (2014). 진로 개입 성과 연구의동향과 향후 과제. 상담학연구, 15(1), 321-341.

38.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9.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학생지도연구, 10(1), 214-222.

40.

한영숙 (2011).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4), 277-299.

41.

한효정 (2011).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내적통제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특성불안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2.

홍혜영, 안혜선 (2009).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불안과 진로미결정간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16(7), 149-175.

43.

Amir, T., & Gati, I. (2006). Facets of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34(4), 483-503.

44.

Amundson, N. E., Harris-Bowlsbey, J., & Niles, S. G. (2009).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Processes and techniques. New Jersey.

45.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46.

Brown, S, D., & Krane, N. E, R. (2000). Four(or five) sessions and a cloud of dust: Old assumptions and new observation about career counseling. In S. D. Brown & R. W. Lent(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3rd ed., pp. 740-766). New York: Wiley.

47.

Brown, S. D., & McPartland, E. B. (2005). Career intervention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3rd ed.. ,pp 195-226). Mahwah, N.J.: Erlbaum.

48.

Burka, J., & Yuen, L. (1990). Procrastinaiion: Why you do it, what to do about it. Upper Saddle River, NJ: Addison-Wesley.

49.

Burns,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ember, 34-52.

50.

Flett, G. L., Hewitt, P. L., Blankstein, K. R., & O'Brien, S. (1991). Perfectionism and learned resourcefulnes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1), 61-68.

51.

Fretz, B. R. (1981).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interven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8, 77-90.

52.

Fuqua, D. R., Newman, J. L., & Seaworth, T. B. (1988). Relation of state and trait anxiety to different component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2), 154-158.

53.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510-526.

54.

Greenhaus, J. H., & Sklarew, N. (1981). Som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1), 1-12.

55.

Guerra, A. L., & Braungart-Rieker, J. M. (1999). Predicting career indecision in college students:The roles of identity formation and parental relationship factor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7(3), 256-266.

56.

Hains, M. E., Norris, M. P., & Kashy, D. A. (1996). The effects of depressed mood on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37, 519-526.

57.

Halaszr, T. J., & Kemptom, C. B. (2000). Career planning courses and workshops. In D. A. Luzzo (Ed.),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An empirical guide to strategies that work (pp. 157-17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

Healy, C. C. (2001). A follow-up of adult career counseling clients of a university extension center.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9, 363-373.

59.

Heppner, M. J., & Heppner, P. P. (2003). Identifying process variables in career counseling: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429-452.

6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

61.

Holland, J. L., Magoon, T. M., & Spokane, A. R. (1981). Career interventions, research and theory. Animal Review of Psychology, 32, 279-305.

62.

Lambert, M. J., & Cattani-Thompson, K. (1996). Current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 601-608.

63.

Lehmann, I. S., & Konstam, V. (2011). Growing up perfect: Perfectionism,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career indecision in emerging adul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9, 155-162.

64.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65.

Lent, R. W., & Brown, S. D.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ntext of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6-21.

66.

Leong, F. T. L., & Chervinko, S. (1996). Construct validity of career indecision: Negative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315-329.

67.

Li, L. C., & Kim, B. S. K. (2004). Effects of counseling style and client adherence to Asian cultural values on counseling process with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 156-167.

68.

Lipshitz. R., & Strauss, O. (1997). Coping with uncertainty: A naturalistic decision-making 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69(2), 149-163.

69.

Norman, E. A., JoAnn, H, B., & Spencer, G. N., (2009).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Processes and techniques. NJ: Pearson/Merrill.

70.

Osborn, D. S. (1998).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and career indecision.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71.

Osipow, S. H., Carney, G. C., Winer, J. L., Yanico, B. J., & Kosschier, M. (1976). Career decision scale (3rd rev.). Columbus, OH:Marathon Consulting and Press.

72.

Page. J., Bruch. M, A., & Haase, R. F. (2008). Role of perfectionism and five- factor model traits in career indeci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811-815.

73.

Phillips, S. D. (1992). Career counseling: Choice and implementa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2nd ed., pp. 513-547). New York: Wiley.

74.

Rice, K. G., Richardson, C. M. E., & Clark, D. (2012). Perfectionism, procrast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9, 288-302.

75.

Saka, N., & Gati, I. (2007).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aspects of persistent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1(3), 340-358.

76.

Santos, P. J. (2001). Predictors of generalized indecision among Portugu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9(4), 381-396.

77.

Shin, T. (2007). Comparison of three growth modeling techniques in the multilevel analysis of longitudinal academic achievement scores:Latent growth model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d longitudinal 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2), 262-275.

78.

Smith, H. M., & Betz, N. E. (2002). An Examination of efficacy and esteem pathways to depression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 438-448

79.

Spokane, A. R., & Oliver, L. W. (1983). The outcomes of vocational interventions.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1st ed., pp. 99-116). Hillsdale, NJ: Erlbaum.

80.

Sullivan, K. R., & Mahalik, J. R. (2000). Increasing career self-efficacy for women:Evaluating a group interven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 54-62.

81.

Swanson, J. L. (1995). The process and outcome of career counseling. In W. B. 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2nd ed., pp. 217-259). Mahwah, NJ:Erlbaum.

82.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83.

Tram, J. M., & Cole, D. A. (2000).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ce: Mediator or moderat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753-760.

84.

Whiston, S. C. (2001). Selecting career outcome assessments: an organizational schem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9(3), 215-228.

85.

Whiston, S. C., Sexton, T. L., & Lasoff, D. L. (1998). Career intervention outcom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50-165.

86.

Willett, J. B., Singer, J. D., & Martin, N. C. (1998). The design and 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of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in context: Statistical models and methodological recommendation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0, 395-42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