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신뢰감과 친밀감을 촉진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상담 프로그램들과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교류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들을 고찰하여 8회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북한이탈주민 25명과 남한주민 3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군은 26명, 대조군은 29명이었다. 종속 측정치는 상호 감정, 신뢰감, 거리감, 친밀감, 소외감이었고, 사전, 사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혼합설계에 따른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신뢰감, 친밀감 수준이 높았으며, 부정적인 감정과 거리감은 적었고,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유의했다. 프로그램 참여군 내에서 서로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친밀감, 거리감은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 신뢰감은 프로그램 초반에서 중반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중반 이후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계속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상담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to facilitate trust and intimac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ention programs as well as the results of needs studies on the contact experienc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were reviewed. The program was comprised of 8 sessions; levels of variable interests were compared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ree different intervals (pre, post-, and follow-up). Findings show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positive feelings, trust and intimacy and decreases negative and distant feeling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숙정, 이재창, 이장호 (2010).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73-706.
권태용 (2008). 신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단기사회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우울과대인관계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문수 (2004).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형성에 대한 실험연구: 사회적요망성과 맥락단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승현, 최빛내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PTSD 극복 프로그램 효과 검증: 탈북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김연희 (2009).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1(4), 191-215.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2010).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문제 유병률과 영향인: 2007년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2), 141-174.
김영만 (2003). 탈북자들의 소외감과 삶의 질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규, 이상하, 이린아, 김정한, 신지영, 이동훈 (2014).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하나원 거주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자아개념, 사회성, 충동성, 불안과 우울을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8(1), 89-103.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북한 사람 및 대북 정책에 대한 태도와의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6(1), 35-50.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김화순 (2004). 북한사람 남한에서 성공하기: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 3년간의 직업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경 (2016).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교류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529-562.
민성길, 전우택, 김동기 (2006). 탈북자의 남한에서의 삶의 질. 신경정신의학, 45(3), 269-275.
민 영 (2012). 이주 소수자의 미디어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적대적 지각: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탐색. 한국언론학보, 56(4), 414-481.
박광배 (2003).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서울: 학지사.
박은숙 (2014).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직의도를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법제처 (2014).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공포(제1268호). 법제처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 2013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4).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5a). 2014 탈북 청소년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5b). 2015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운석, 김명선 (201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지지가 남한 사회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9(1), 54-91.
신수아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소외감에영향을 미치는 변수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계민,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1), 97-115.
오수성, 김희경, 김석웅, 최영미 (2008).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극복 프로그램. 서울: 통일부.
유시연 (200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해숙, 이현숙 (2014).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인식 비교연구: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20, 325-365.
윤인진 (2010).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상호인식: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이경희, 배성우 (2006).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일정책연구, 15(2), 1-28.
이민지, 장혜인, 전진용 (2016).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59-481.
이수정, 양계민 (2013). 북한출신주민과의 지역사회 내 접촉수준에 따른 남한출신주민의태도의 차이: 인천 논현동 지역 거주자를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7(1), 395-421.
이재민, 황선영 (2008).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3(6), 61-84.
이종은 (2008). 남한사회에서의 북한이탈주민직장유지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2(1), 33-61.
임지영, 신현균, 김희경 (2010). 남한 사회에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과 전반적인 심리증상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631-638.
정윤경, 김희진 (2014).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적응의 관계: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 45(4), 143-167.
정윤경, 김희진, 최지현 (2015).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과 적응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31(2), 157-182.
정진경 (1998). 남북한 간 문화이해지의 제작. 통일연구, 2(2), 165-185.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조정아, 정진경 (2006). 새터민의 취업과 직장생활 갈등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논총, 15(2), 29-52.
조하나 (2013).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최미혜 (2016). 북한이탈 대학생의 적응 스트레스 및 대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교사회복지, 35(35), 85-112.
최현옥, 손정락 (2011).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469-482.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 현황. 통일부 홈페이지.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이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33-54.
Anderson, J. F. (1979). Teacher immediacy as a predictor of teaching effectiveness. In B. Ruben (Ed.). Communication Yearbook 3(pp. 543-559).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Books.
Bogardus, E. S. (1925). Measuring social distances. Journal of Applied Sociology, 9, 299-308.
Dean (1961). Alienation: Its meaning and measur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6(5), 753-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