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Roles of Mindfulness and Spiritua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광주 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부터 만 65세까지의 성인남녀 3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모형이 타당한가를 검증하여 최적의 모형을 도출해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인애착은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변인 간 경로를 설정한 연구모형이 마음챙김에서 영성을 설정하지 않은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불안의 경우 마음챙김과 영성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애착회피의 경우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영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영성의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keywords
성인애착, 애착불안, 애착회피,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Mindfulness, Spiritu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hood aff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relation model to examine validity, and optimum model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1) Mindfulness,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in adulthood (2)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af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ement model utilized as well as the research model used to configure 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3) Verification of the mediator effect between adulthood aff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both mindfulness and spirituality, while attachment avoidance positively mediating mindfulness, exclusively. (4)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spiritua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in adul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성인애착, 애착불안, 애착회피, 마음챙김, 영성, 심리적 안녕감,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Mindfulness, Spiritu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애착.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12-13. 8월21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2.

기현정 (2011).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고은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자기조절 그리고 유기적 세상가설.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10-11. 8월 21일. 서울: 육군사관학교.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병직, 오경자 (2013). 성인 애착 불안/회피차원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19-548.

7.

김성현 (2004).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솜이 (2017).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승옥, 정혜정 (2013). 기혼남녀의 마음챙김과 일치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2), 203-229.

10.

김은수 (2015). 마음챙김이 중년기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진 (2015b). 청소년기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분노, 스트레스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4), 239-266.

12.

김은진 (2017). 대학생 불안정애착과 정서,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9(1), 1-27.

13.

김정문 (2010). 불안정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자동적사고, 정서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정호 (2004a).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5.

김지숙 (2008).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5(2), 5-20.

16.

김지은, 이선영 (2011). 불안민감성이 다양한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1(2), 23-38.

17.

김찬양 (2015).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 마음챙김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태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역경을 통한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현주 (2012).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현주, 함경애, 천성문, 주동범 (2012).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445-466.

21.

김화정 (2016). 성인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정서 과민반응과 단절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노경이 (2009). 영성과 자아존중감 및 종교 간의 관계연구. 상담학연구, 10(4). 2591-2606.

23.

류승아, 김경미, 최인철 (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24.

박미경 (2016).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박붕수 (2014).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통합적 영성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성현 (2006). 마음척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박성현, 성승현 (2008).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20(4), 1127-1147.

28.

박성현, 성승연 (2011). 통제양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245-262.

29.

박윤환 (2014).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박지현, 이명조 (2012).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2), 1-19.

31.

박혜민 (2011).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박혜민, 채규만 (2012).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한국인지치료학회지, 12(3), 259-274.

33.

서경현, 전겸구 (2004).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33-350.

34.

석정민, 손정락 (2013).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이 몰두형 애착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627-642.

35.

안명희 (2010).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867-885.

36.

안진영, 유순화 (2016). 대학생의 수용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8(2), 173-197.

37.

안하얀, 서영석 (2010).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575-603.

38.

여영주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와 아동문제 행동의 관계: 영성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염정의 (2017).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반추, 정서억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유경자 (2005). 애착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윤 미, 김민희 (2013). 중년여성의 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 329-330. 8월 23일. 대전: 대전컨벤션센터.

42.

윤호균 (2006). 온마음 상담.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pp. 166-167. 8월 18일. 서울: 서울대학교 멀티미디어동.

43.

이경열, 김정희, 김동원 (2003). 한국인의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11-728.

44.

이유진 (2015). 중년여성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와 영성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이지윤, 김완일 (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3), 269-288.

46.

이창진 (2013). 성령세미나의 효과와 영성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장미애 (2014). 애착회피가 대학생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전은식, 서경현 (2012). 신앙인들의 종교지향, 종교적 원리주의, 영적 웰빙 및 주관적 웰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1067- 1086.

49.

정 민, 이미라, 노안영 (2006).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4). 1023-1038.

50.

조은영 (2014).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지은주 (2016). 중년기남녀의 삶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의미발견, 생성감, 영성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채영문, 곽수진 (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99-613.

53.

최해연 (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패턴과 심리적응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1-21.

54.

한미영 (2012). 개인성장을 위한 사띠(Sati) 수행 프로그램이 마음챙김기술, 영성,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5.

홍은선, 민경화 (2016). 중년 여성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4), 587-611.

56.

황윤정 (2016).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r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2), 226-244.

58.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s.

59.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romantic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60.

Carroll, M. M. (1997). “Spirituality, Alcoholism, and Recovery: An exploratory study”.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15(4), 89-98.

61.

Collins, N. L., & Feeney, B. C. (2000). A safe haven: An attachment theory perspective on support seeking and caregiving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6), 1053-1073.

62.

Davis, T. J. Morris, M. & Drake, M. M. (2016). The moderation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6(2016), 115-121.

63.

Fonagy, P., Gergely, G., Jurist, E.,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elf. New York: Other Press.

64.

Fonagy, P., & Target, M. (2003). 정신분석의 이론들: 발달 정신병리학적 관점(Psychoanalytic theories: Perspectives from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Whurr publishers). (이효숙 역). 서울: 눈 출판그룹.

65.

Fraley, R. C., & Shaver, P. R. (1997). Adult attachment and the suppression of unwanted though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5), 1080.

66.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67.

Germer, C. K., Siegel, R. D., & Fulton, P. R. (2009). 마음챙김과 심리치료(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김재성 역). 서울: 무우수(원전은 2005년 출판).

68.

Goodall, K., Trejnowska, A. & Darling,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mindfulness, attachment security and emotion regul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5), 622-626.

69.

Hazan, C., & Shaver P. R.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3), 511-524.

70.

Kabat-Zinn, J. (1990). 명상과 자기치유(상, 하)(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장현갑, 김교헌 공역). 서울: 학지사.

71.

Kirkpatrick, L. A. (1997). A longitudinal study of changes in religious belief and behavior as a func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dult attachment style,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36(2), 207-217.

72.

Kobak, R. R., & Sceery, A (1988).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hild Development, 59(1), 135-146.

73.

Main, M. (1991). Metacognitive knowledge, metacognitive monitoring, and singular (coherent) vs. multiple(incoherent) models of attachment: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C. M. Parkes, J. Stevenson-Hinde, & P. Marris (eds.), Attachment Across the Lifecycle (pp. 127-159). New York: Routledge- Kegan Paul.

74.

McDowell, I., & Newell, C. (1990).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MA: Oxford Press.

75.

Mikulincer, M., & Shaver, P. R. (2003). The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in adulthood: Activation, psychodynamics, and interpersonal processes.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pp. 53-152). New York: Academic Press.

76.

Mikulincer, M., & Shaver, P. R. (2007). Attachment in adulthood: Structure, dynamics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77.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78.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79.

Schore, A. N. (2003). Affect dysregulation and disorders of the self. New York: W. W. Norton.

80.

Siegel, D. J. (2007). The mindful brain. New York: W. W. Norton.

81.

Sroufe, L. A., Egeland, B., Carlson, E., & Collins, W. A. (2015). 인간과 발달(The development of the person: The Minnesota study of risk and adaptation from birth to adulthood). (방희정 역). 서울: 학지사.

82.

Steiger, J. H. (1998). A note on multiple sample extensions of the RMSEA fit index.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5(4), 411-419.

83.

Ulman, K. (1989). Psychological stress and distress at menopause. Conference-Society For Menstrual Cycle Research, 8(1989), 331-338.

84.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7에 출판).

85.

Walsh, R. & Shapiro, S. (2006). The Meeting of Meditative Disciplines and Western Psychology: A mutually enriching dialogue. American Psychologist, 61(3), 227-239.

86.

Wei, M., Vogel, D. L., Ku, T. Y.,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4-24.

87.

Young, J. S., Cashwell, C. S., & Shcherbakova J. (2000). The Moderating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on Negative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Counseling and values, 45(1), 49-5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