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목표와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대 및 방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내재적,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5차년도 중1 패널 2,08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내재적, 외재적 목표, 진로정체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재적, 외재적 목표와 진로정체감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내재적 목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내재적 목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외재적 목표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학대, 방임, 진로정체감, 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 abuse, neglect, career identity, intrinsic goal, extrinsic go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neglect and career ident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2,088 10th graders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 longitudinal study with survey data obtained from 7th graders in 2014.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with AMOS23.0.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rinsic goals, extrinsic goals, and career identity. Moreover,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 Second, intrinsic goals completely mediated parental abuse and career identity, and partially mediated parental neglect and career identity. In each model, extrinsic goals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These outcomes can be applied by counselors to enhance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abuse and neglect.

keywords
학대, 방임, 진로정체감, 내재적 목표, 외재적 목표, abuse, neglect, career identity, intrinsic goal, extrinsic goal

참고문헌

1.

강원덕, 안귀여루 (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739-764.

2.

공인규 (2008).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진로성숙도, 진로효능감, 진로정체감 및 진로장애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구승신, 박성현 (2007).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5(1), 119-131.

4.

김광혁 (2009).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총론, 24(2), 27-45.

5.

김동욱,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적 목표와 진로성숙도 및 교과 성취도의 관계: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7(3), 1-26.

6.

김민주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표 불안정성 및 생애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보경 (2017). 청소년의 삶의 목표, 삶의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성수 (2015). 기본심리욕구, 생애목표,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9(1), 1-25.

9.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엽, 최권호 (2012). 중복학대 피해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신체학대와 방임의 중복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3), 193-213.

11.

김충기 (2001).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12.

박미려, 양은주 (2017). 부모방임,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1), 263-284.

13.

박수원, 신종호 (201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급에 따른 목표설정의 자율성과 목표몰입-목표내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4), 25-54.

14.

박원경, 김자경, 안성우, 강혜진 (2006). 학습장애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불안, 우울과 학교적응 정도. 정서·행동장애연구, 22(3), 301-323.

15.

박종은 (2007). 여중․고등학생의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양육태도 및 애착관계가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지영, 정현숙 (2016). 남녀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6(1), 21-37.

17.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5). 2015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18.

선관수, 나동석 (2016).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1), 29-52.

19.

선우진희 (2017).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의 주의집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심리적, 사회적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소현옥 (2017). 중학생의 삶의 목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손연아, 신수지, 손은령 (2014).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연구. 진로교육연구, 27(1), 109-125.

22.

송순만 (2016).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송유정 (2006). 중학생의 부모애착과 자아정체감, 진로성숙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송진영, 정영민 (2015).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GRI연구논총, 17(1), 107-131.

25.

신종호, 서은진, 이유경 (2011). 생애목표검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2), 255-276.

26.

신종호, 조은별, 윤 영 (2014). 대학생의 생애목표 유형 분석과 진로의식 및 대학생활과의 관계 탐색. 제8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자료집.

27.

신종호, 진성조 (2013). 생애목표유형이 학업적 자기개념, 학업노력,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 교육심리연구, 27(1), 161-180.

28.

신종호, 진성조, 조은별 (2012). 지각된 부모의 양육특성이 물질적, 사회적 목표를 매개로 학업자기개념 및 입시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제6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자료집.

29.

안지연, 손영은, 남석인 (2014).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261-284.

30.

양혜린, 이재은, 한기주 (2014).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8(2), 41-62.

31.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32.

윤초희 (2015).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6(4), 129-154.

33.

윤 현 (2011).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8, 97-124.

34.

이상인 (2001).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아영, 유서구 (2011). 부부간 폭력의 노출정도와 아동학대 피해경험이 자녀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패널자료(KYPS)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25-245.

36.

이의정, 이상균 (2009). 빈곤가족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아동의 내재화문제에 미치는 영향 - 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리뷰, 14, 113-138.

37.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8.

이창선 (2012). 생활적응과 부모의 진로지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유학준비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호택 (2012).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한국교육논단, 11(1), 25-52.

40.

이화순 (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학업성적 차이 연구. 아동교육, 12(2), 137-150.

41.

이희선, 선우현정 (2015).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청소년학연구, 22(6), 57-73.

42.

인효연, 길혜지 (2017). 청소년들의 삶의 목표 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삶의 만족도 차이. 미래청소년학회지, 14(1), 25-49.

43.

임경용 (2016). 생애목표유형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 연구: 특성화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장지선 (200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장희선, 윤정이 (2016).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직업체험활동, 생애목표가 진로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271-292.

46.

정미나, 노자은 (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47.

정익중 (2011). 아동방임의 재조명: 방임의 사회적 방임을 넘어서. 동광, 107, 1-33.

48.

조한나 (2015). 시간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생애목표, 목표불안정성의 매개효과 및 시간관 프로파일별 특성.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조한익, 김영숙 (2016). 청소년의 미래지향목표와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및 진로정체감의 종단적 구조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30(4), 783-810.

50.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6). 2015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서울: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51.

최수찬, 원경림 (2013). 청소년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44, 35-62.

52.

한호종 (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생애목표의 매개효과.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4.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55.

허 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모형: 기초편.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56.

홍 미, 김효진 (2007). 아동학대 및 방임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28, 47-59.

57.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58.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59.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60.

Dyk, P. H. (1990). Family relations factor that facilitate or inhibit middle adolescent identity development. Doctoral dissertation, Utah State University.

61.

Eigner,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ng the environment” as a dominant life goal and subjective well-being. In Schmuck, P., & Sheldon, K. (Eds.), Life Goals and Well-being. Gottingen: Hogrefe.

62.

Emmons, R. A. (1986). Personal strivings: An approach to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5), 1058-1068.

63.

Emmons, R. A. (2005). Striving for the sacred: Personal goals, life meaning, and religion, Journal of Social Issues, 61(4), 731-745.

64.

Eri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65.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W. W. Norton.

66.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67.

Havighurst, R. (1948).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3rd ed.). New York: Mckay.

68.

Headey, B. W. (2008). Life goals matter to happiness: A revision of set-point theory. Social Indicators Research, 86(2), 213-231.

69.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Distributions of personalities within occupations and fields of study.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5(3), 226-231.

70.

Jackson, T., Mackenzie, J., & Hobfoll, S. E. (2000). Communal aspects of self-regulation.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275-30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71.

Kasser, T., & Ahuvia, A. (2002). Materialistic values and well-being in business student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2(1), 137-146.

72.

Kasser, T., & Ryan, R. M. (1993).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410-422.

73.

Kasser, T., & Ryan, R. M.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3), 280-287.

74.

Kasser, T., & Ryan, R. M. (2001). Be careful what you wish for: Optimal functioning and the relative attainment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In P. Schmuck, & K. M. Sheldon (Eds.), Life goals and well-being: Towards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pp. 116-131). Ashland, OH: Hogrefe & Huber.

75.

Kroger, J. (2007). Identity development: Adolescence through adulthood. Thousand Oaks, CA: Sage.

76.

La Guardia, J. G. (2009). Developing who I am: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to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identities. Educational Psychologist, 44(2), 90-104.

77.

Lekes, N., Gingras, I., Philippe, F. L., Koestner, R., & Fang, J. (2010). Parental autonomysupport, intrinsic life goals, and well-being among adolescents in China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8), 858-869.

78.

Little, T. D., Rhemtulla, M., Gibson, K., & Schoemann, A. M. (2013). Why the items versus parcels controversy needn’t be one. Psychological Methods, 18(3), 285-300.

79.

Matsunaga, M. (2008).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primer. Communication Methods and Measures, 2(4), 260-293.

80.

Meijers, F. (1998). The development of a career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ing, 20(3), 191-207.

81.

Palfai, T. P., Ralston, T. E., & Wright, L. L. (2011). Understanding university student drinking in the context of life goal pursuits: The mediational role of enhancement motiv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2), 169-174.

82.

Ryan, R. M., Sheldon, K. M., Kasser, T., & Deci, E. L. (1996). All goals are not created equal: An organismic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goals and their regulation. In P. M. Gollwitzer, & J. A. Bargh (Eds.), The psychology of action: Linking cognition and motivation to behavior (pp. 7-26). New York: Guilford Press.

83.

Sameroff, A. J. (1987). The social context of development. In N. Eisenberg (Ed.), Contemporary topic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pp. 273-291). New York: Wiley.

84.

Sameroff, A. J., & Fiese, B. H. (1990). Transactional regulation and early intervention. In S. J. Meisels, & J. P. Shonkoff (Ed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119-14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Savickas, M. L. (1985). Identity in voc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7(3), 329-337.

86.

Schmuck, P., & Sheldon, K. M. (2001). Life goals and well-being.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Human Striving. Seattle: Hogrefe.

87.

Schwartz, S. H. (1990). Individualism-collectivism: Critique and proposed refinem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1(2), 139-157.

88.

Sheldon, K. M., Ryan, R. M., Deci, E. L., & Kasser, T. (2004). The independent effects of goal contents and motives on well-being: It’s both what pursue and why you pursue i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logy Bulletin, 30(4), 475-486.

89.

Skorikov, V. B., & Vondracek, F. W. (2011). Occupational identity. In S. J. Schwatz, K. Luychx, & V. L. Vignoles (Eds.), Handbook of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 692-714). New York: Springer.

90.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5), 185-190.

91.

U.S. Department of Education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2).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ighth grade questionnaire. Chicago: A Social Scienc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92.

Vansteenkiste, M., Matos, L., Lens, W., & Soenens, B. (2007).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on exercise performance: The conflicting role of task and ego involvemen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5), 771-794.

93.

Vansteenkiste, M., Niemiec, C. P., & Soenens, B. (2010). The development of the five mini-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historical overview, emerg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T. C. Urban, & S. A. Karabenick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16, 105-166. Bingley: Emerald Group Publishing.

94.

Wright, S. L., & Perrone, K. M. (2008). The impact of attachment on career-related variabl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future research.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5(2), 87-10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