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정신화, 고통 감내력 및 경험회피의 관계: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Mentalization,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Clarity of Emotion Recogni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관계를 고통 감내력이 매개하며, 이 과정을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하는지 확인함으로써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445명(남 218명, 여 227명)을 대상으로 정신화, 정서인식 명확성, 고통 감내력, 경험회피를 측정하였으며,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신화, 정서인식 명확성, 고통 감내력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경험회피는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정신화가 경험회피에 영향을 미치고, 고통 감내력은 정신화와 경험회피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정신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이 상호작용을 통해 고통 감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PSS Macro를 통한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결과, 정신화가 경험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고통 감내력이 이를 매개하며, 정신화와 고통 감내력의 관계가 정서인식 명확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 및 심리치료 연구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keywords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distress tolerance,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moderating effect, 정신화, 정서인식 명확성, 고통 감내력, 경험회피, 매개된 조절효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motional clarity and distress tolerance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For this purpose, 445 adul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irst,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and distress toler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partially mediated by distress tolerance.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effect of mentalization on distress tolerance. Emotional clarity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ization on experiential avoidance distress toleranc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mentalization, emotional clarity, distress tolerance,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moderating effect, 정신화, 정서인식 명확성, 고통 감내력, 경험회피, 매개된 조절효과

참고문헌

1.

김수안, 민경환 (2006).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3), 45-66.

2.

김영근 (2015). 인간의 고통스러운 경험과 치유에 관하여. 인간․환경․미래, (15), 37- 66.

3.

김영근 (2016). 치료적 관계 안에서의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 인간․환경․미래, (17), 111-142.

4.

김재형 (2014).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태사, 안명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53-871.

6.

박모란, 유성은 (2014).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4(3), 435-453.

7.

박성아 (2010).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세미 (2016).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영례 (2016).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우리 (2016). 부정 정서조급성과 고통 감내력이 섭식통제 상실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반건호 (2013). 애착이론으로부터 정신화까지: 배경과 임상적 의의. 한국정신분석학회, 24(1), 9-20.

12.

서장원, 권석만 (2015a). 고통 감내력과 심리장애: 경험적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397-427.

13.

서장원, 권석만 (2015b). 고통을 견디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정동적 판단 모델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641- 666.

14.

손진희 (2015). 고통 감내력의 예측요인: 마음챙김, 반추, 정신화.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계훈 (2014). 정서적 고통 감내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희, 김봉환 (2010).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69-384.

17.

이서정, 현명호 (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87-905.

18.

이수림, 이문희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 요인: 정신화(mentalizing)의 이해와 적용. 인간연구, (27), 95-139.

19.

이수림, 이문희 (2016). 부모의 비정신화가 자녀와의 관계 및 자녀의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42(1), 147-175.

20.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21.

이하나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표현 및 갈등과 대인불안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현주, 안명희 (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부정적 정서 및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23.

장선경 (2016).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지현 (2015). 고통 감내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주관적․행동적 고통 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최해연 (2008).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2009).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2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27.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 Newbury Park, CA: Sage.

28.

Allen, J. G., & Fonagy, P. (Eds.). (2006). The handbook of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England: John Wiley & Sons Press.

29.

Allen, J. G., Fonagy, P., & Bateman, A. W. (2008). Mentalizing in Clinical Practice.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

30.

Bateman, A., Bolton, R., & Fonagy, P. (2013).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 mentalizing framework. Th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in Psychiatry, 11(2), 178-186.

31.

Bateman, A., & Fonagy, P. (2010). Mentalization 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World Psychiatry, 9(1), 11-15.

32.

Bateman, A., & Fonagy, P. (2012).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 A. Bateman & P. Fonagy (Eds.), Handbook of mentalizing in mental health practice (pp. 273-28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4.

Bion, W. R. (1959). Attacks on lin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0, 308-315.

35.

Bond, F. W., Hayes, S. C., Baer, R. A., Carpenter, K. M., Guenole, N., Orcutt, H. K., & Zettle, R. D. (2011).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Ⅱ: A revised measure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havior therapy, 42(4), 676-688.

36.

Daughters, S. B., Sargeant, M. N., Bornovalova, M. A., Gratz, K. L., & Lejuez, C. W.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mong male inner-city treatment seeking substance users.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22(5), 509-524.

37.

Dolan, M., & Fullam, R. (2004). Theory of mind and mentalizing ability in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with and without psychopathy. Psychological medicine, 34(6), 1093-1102.

38.

Fonagy, P. (1991). Thinking about think: Some clin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 borderline pati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2(4), 639-656.

39.

Fonagy, P., Gergely, G., Jurist, E., &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Other Press.

40.

Fonagy, P., & Target, M. (2005). Bridging the transmission gap: An end to an important mystery of attachment research?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7(3), 333-343.

41.

Gergely, G., & Watson, J. (1996). The social biofeedback model of parental affect-mirro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7(6), 1181-1212.

42.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594-607.

43.

Gratz, K. L., & Tull, M. T. (201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44.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White paper]. Retrieved from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

45.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1st ed.]. (이형권 역). 경기: 신영사(원전은 2013에 출판).

46.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47.

Hughes, C., & Leekam, S. (2004). What are the links between theory of mind and social relations? Review, reflections and new directions for studies of typical and atypic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13(4), 590- 619.

48.

Leyro, T. M., Zvolensky, M. J., & Bernstein, A. (2010).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nd disorder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mong adults. Psychological bulletin, 136(4), 576.

49.

Linehan, M. M. (1993). Skii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50.

Magidson, J. F., Listhaus, A. R., Seitz-Brown, C. J., Adnerson, K. E., Lindberg, B., Wilson, A., & Daughters, S. B. (2013).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ubstance us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3), 1-10.

51.

McHugh, R. K., Reynolds, E. K., Leyro, T. M., & Otto, M. W. (2013). An examination of the association of distress intolerance and emotion regulation with avoid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2), 363-367.

52.

Mearns, D. (2006). Person-centered therapy: A leading edge. Master class presentation, London and elsewhere.

53.

Mearns, D., Thorne, B. (2012). 인간중심 상담의 임상적 적용 [Person-centered counseling in action].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7에 출판).

54.

Muller, D., Judd, C. M., & Yzerbyt, V. Y. (2005).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6), 852-863.

55.

Newton, P., Reddy, V., & Bull, R. (2000). Children's everyday deception and performance on false belief task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297-317.

56.

Preacher, K. J., Hayes, A. F. (2004).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6(4), 717- 731.

57.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58.

Rutherford, H. J., Booth, C. R., Luyten, P., Bridgett, D. J., & Mayes, L. C. (2015).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reflective functioning and distress tolerance in motherhood.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40, 54-63.

59.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 health, 14, 125-154.

60.

Salovey, P., Stroud, L. R., Woolery, A., & Epel, E. S. (2002).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reactivity, and symptom reports: Further explorations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sychology & Health, 17(5), 611-627.

61.

Schmeichel, B. J., & Baumeister, R. F. (2004). Self-regulatory strength. New York: Guilford Press.

62.

Sharp, C., Venta, A., Vanwoerden, S., Schramm, A., Ha, C., Newlin, E., & Fonagy, P. (2016). First empirical evaluation of the link between attachment, social cognition and borderline features in adolescents. Comprehensive psychiatry, 64, 4-11.

63.

Simons, J. S., & Gaher, R. M. (2005).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9(2), 83-102.

64.

Vujanovic, A. A., Bonn-Miller, M. O., Bernstein, A., McKee, L. G., & Zvolensky, M. J. (2010). Incremental validity of mindfulness skills in relation to emotional dysregulation among a young adult community sample. Cognitive Behaviour Therapy, 39(3), 203-21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