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초심 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A needs assessment of supervisors’ training for novice supervisors

초록

본 연구는 초심 수퍼바이저를 위한 교육내용을 도출하고,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판된 수퍼바이저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 및 관련 자료를 통해 교육내용 31개를 추출하였고, 10명의 숙련 수퍼바이저 전문가 패널의 합의 과정을 도출하기 위해 Lawshe의 내적타당도 공식을 활용하여 항목별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한 후 12개의 교육내용을 최종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90명의 초심 수퍼바이저들을 대상으로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가하여, 교육내용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숙련 수퍼바이저들은 ‘수퍼비전 관계’, ‘수퍼바이저의 성찰’, ‘수퍼바이지 발달 수준에 따른 교수법’, ‘수퍼비전 윤리 규정 이해’와 ‘수퍼바이저 역할’ 등을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보았다. 최종 우선순위 확인 결과, 초심 수퍼바이저들은 ‘수퍼바이지 발달 수준 이해 및 평가’, ‘수퍼바이저 역할’과 ‘수퍼비전 윤리 및 법적 이슈에 대한 대처’ 순으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novice supervisor, supervisor training, Borich needs assessment, The Locus for Focus model, 초심 수퍼바이저, 수퍼바이저 교육,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novice supervisors and educational factors impacting the effectiveness of supervisor training. To this end, we extracted the contents of supervisor education methods by reviewing relevant publications in Korea and abroad, and gathered input from expert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e review indicated that key educational content included: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supervisor’s self-reflection; teaching according to the supervisee’s development level; understanding of supervision ethics; and the supervisory role. Supervisors identified the need for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level of supervisory development; the supervisor’s role; and coping with supervisory ethics and legal issues. Implications for supervisory edu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keywords
novice supervisor, supervisor training, Borich needs assessment, The Locus for Focus model, 초심 수퍼바이저, 수퍼바이저 교육,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참고문헌

1.

김명화, 홍혜영 (2017).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573- 594.

2.

문성원 (2018). 상담 윤리와 관련 법규들과의 관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009-1034.

3.

방기연 (2002).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에 대한 고찰. 연세교육연구, 15(11), 119-131.

4.

소수연, 장성숙 (2014).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6(2), 193- 222.

5.

소수연, 장성숙 (2011).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연구. 상담학연구, 12(3), 1051-1067.

6.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2003). 상담자의 자기 성찰과 전문성 발달. 상담학연구, 4(3), 367-380.

7.

안하얀, 서영석, 박성화, 이정윤, 최유리 (2017).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상담 수퍼바이저의 윤리지침 이행.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9(4), 915-952.

8.

오승국, 전주성, 박용호 (2014). 교육요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 연구. 敎育問題硏究, 27 (4), 77-98.

9.

오효정, 최한나 (2015). 초보 수퍼바이저가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상담학연구, 16(5), 75-94.

10.

우홍련, 허난설, 이지향, 장유진 (2015). 한국상담자들이 경험한 윤리 문제와 대처 방법 및 상담 윤리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상담학연구. 16(2), 1-25.

11.

이소연, 최바울, 이정선, 서영석 (2014).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상담수련생의 전문적 역량의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245-270.

12.

이숙영, 김창대. (2002).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敎育學硏究, 40(2), 231-250.

13.

이홍숙, 최한나 (2013).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 및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상담학연구, 14(3), 1679-1698.

14.

장세미, 장성숙 (2016). 상담 수퍼바이저 교육과 훈련 요소 연구: 수퍼바이저 발달요인과 수퍼바이저 역량요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488-502.

15.

전정운, 한재희 (2012). 초심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13(6), 2670-2624.

16.

조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敎育問題硏究, 35, 165-187.

17.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http://krcpa.or.kr/sub01_5.asp?menuCategory=1 상담심리사 회원 및 윤리강령. 2018년 12월 29일 검색.

18.

한국상담학회 (2016). http://www.counselors.or.kr. 윤리강령. 2018년 12월 29일 검색.

19.

Baker, S. B., Exum, H. A., & Tyler, R. E. (2002). The developmental progress of clinical supervisors in training: An investigation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42, 15-30.

20.

Bernard, J. M., & Goodyear, R. K. (2004).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Boston: Allyn & Bacon.

21.

Borders, L. D., Bernard, J. M., Dye, H. A., Fong, M. L., Henderson, P., & Nance, D. W. (1991). Curriculum guide for training counseling supervisiors : rational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1(1), 58-80.

22.

Borders, L. D., & Fong, M. L. (1994). Cognitions of supervisors-in-training : An exploratory study.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33(4), 280-294.

23.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24.

Falender, C. A., & Shafranske, E. P. (2014). 임상 슈퍼비전: 단계별 효과적인 수퍼비전이란 무엇인가? (유미숙, 전성희, 정윤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4에 출판).

25.

Frick, M. H., & Glosoff, H., L. (2014). Becoming a supervisor : Qualitive findings on self- efficacy belifs of doctoral student supervisors- in-training. The Professional Counselor, 4(1), 35-48.

26.

Gray, L. A., Ladany, N., Walker, J. A., & Ancis, J. R. (2001). Psychotherapy trainees’ experience of counterproductive events in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4), 371-383.

27.

Goodyear, R. K., Lichtenberg, J. W., Bang, K., & Gragg, J. B. (2014). Ten changes psychotherapists typically makes as they mature into the role of supervis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70(11), 1042-1050.

28.

Gazzola, N., Stefano, J. D., Thériault, A., & Audet, C. (2011). Professional identity among counselling psychology doctoral student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24, 257-275.

29.

Gazzola, N., Stefano, J. D., Thériault, A., & Audet, C. (2014). Positive experiences of doctoral-level supervisors-in-training conducting group-format supervision: a qualitative investigation. British Jounal of Guidance & Counseling, 42(1), 26-42.

30.

Hess, A. K. (1986). Growth in supervision: Stage of supervisee and supervisor development. Clinical Supervisor, 4(1-2), 51-67.

31.

Hill, C. E., Sullivan, C., Knox, S., & Schlosser, L. Z. (2007). Becoming psychotherapist: experience of novice trainees in a beginning graduate class. Education Faculty Research and Publications, 12(1), 1-34.

32.

Holloway, E. L. (1995). Clinical Supervision: A system approa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3.

Ladany, N., Morotta, S., & Muse-Burke, J. L. (2006). Counselor experience related to complexity of case conceptualization and supervision preference.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40, 203-219.

3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35.

Majcher, J., & Daniluk, J. C. (2009). The process of becoming a supervisor for students in doctoral supervision training course.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3(2), 63-71.

36.

Miars, R. D., Tracey, T. J., Ray, P. B., Cornfield, J. L., O’Farrell, M., & Celso, C. J. (1983). Variation in supervision process across trainee experience leve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403-412.

37.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38.

Neufeldt, S. A. (1994). Use of a manual to train supervisors.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33(4), 327-337.

39.

Nelson, K. W., Oliver, M., & Capps, F. (2006). Becoming a supervisor: Doctoral student perceptions of the training experience. Coundelor Education & Supervision, 46, 17-31.

40.

O’Donovan, A. Clough, B., & Petch, J. (2017). Is supervisor training effective? A pilot investigation of clinical supervisor training program. Australian Psychology, 52, 149-154.

41.

Shechter, R. A. (1990). Becoming a supervisor: A phas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sycho- analysis and Psychology, 8, 23-28.

42.

Ward, C. C., & House, R. M. (1998). Counseling supervision: A reflective mode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8(1), 23-34.

43.

Watkins, C. E., Jr. (1993). Development of the psychotherapy supervisor: Concepts, assumptions and hypotheses of the supervisor complexity model.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49, 568-581.

44.

Watkins, C. E., Jr. (2012). Education psychotherapy supervi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66(3), 279-3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