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공공기관 청소년상담자들의 윤리적 딜레마 체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심층면담(평균 90분)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Wee센터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상담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담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9개의 주제와 8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8가지 중심의미는 ‘기관 체제 안에서 무력한 상담자일 뿐임’, ‘동료상담자에 의해 상담윤리가 흔들리는 현장을 마주함’, ‘상담윤리가 간과되는 현실에서 상담자의 신념은 손상당함’, ‘보호막 없이 내던져짐’, ‘상담윤리와 기관의 요구 사이에서 외줄 타기를 함’, ‘안쓰러움으로 내담자 편에 섰지만 불안함’, ‘안전을 확보할 자구책을 실행함’, ‘윤리적 딜레마를 껴안고 전문성을 키우며 안정을 꾀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공공기관 청소년상담자가 맞닥뜨리는 윤리적 딜레마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기관의 요구와 상담윤리 사이를 위태롭게 넘나들며 윤리적 딜레마를 껴안고 전문성을 키워나감’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공기관 청소년상담자들이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상담윤리, 청소년 내담자, 보호자 또는 의뢰자, 동료상담자, 연계기관, 소속기관 등 삶의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윤리적 딜레마를 최소화할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hical dilemma experiences of youth counselors in public institu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youth counselors working in the public counseling cente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study to derive 29 themes and 8 core meanings. The 8 core meanings were ‘being a helpless counselor within an organization's system,’ ‘facing sites where peer counselors shake counseling ethics,’ ‘counselor's beliefs being damaged in the reality that counseling ethics are overlooked,’ ‘being thrown out without protection,’ ‘walking a tightrope between counseling ethics and institution demands,’ ‘standing on the side of clients with compassion, but feeling insecurity,’ ‘carrying out self-help measures to ensure safety,’ and ‘seeking stability with by embracing ethical dilemmas and developing expertise.’ Practical interventions to minimize ethical dilemmas for youth counselors in public institutions are presented, followed b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강진령, 이종연, 손현동 (2007a). 학교상담자들이 직면하는 윤리적 갈등과 대처방법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5(1), 17-27.
강진령, 이종연, 유형근, 손현동 (2007b). 학교상담자 윤리교육 및 인지 실태분석. 상담학 연구, 8(2), 751-768.
공윤정 (2008). 상담자윤리. 서울: 학지사.
곽미용, 이영순 (2010). 상담자 자격의 윤리적 문제. 인문학논총, 15(1), 235-253.
권 승, 정재우 (2014). 청소년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청소년상담자 역할의 재조명: 거시적 시각을 기반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2), 201-228.
김두현 (2009). 아동․청소년 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 2009(1), 5-21.
김세일 (2013). 청소년상담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승천, 김동민 (2018). 청소년상담복지센터상담자 직무스트레스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 연구, 26(1), 321-341.
김인규, 정보인, 최현아 (2017). 대학상담센터 상담윤리 가이드북. 용인: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김은지, 강민희, 장재홍 (2016). 청소년상담의 초기에서 치료동맹을 촉진하는 상담자 개입. 청소년학연구, 23(3), 215-238.
김지민, 임영식 (2018).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청소년상담사의 부정정서전염, 직무환경특성 및 공감피로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9(2), 155-183.
김하영 (2014).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과 윤리적 가치관,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미, 최인화, 권현용 (2010). 청소년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 논총, 15(2), 173-194.
김현진, 김 민 (2017). 청소년상담사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전문가 윤리에 대한 논의. 청소년상담연구, 25(2), 163-183.
남순임 (2018).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대한 도덕적 주의력이 지각된 스트레스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1447-1464.
박순우, 박연실, 백욱현 (2018). Wee프로젝트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0(58), 95-121.
박진희, 김소아 (2018). 학교상담업무에서 발생하는 전문상담교사의 갈등분석 연구. 한국교육, 45(3), 93-119.
박한샘, 공윤정 (2011). 청소년동반자의 윤리적 갈등경험과 대처방안 연구. 상담학 연구, 12(3), 771-791.
서영석, 최영희, 이소연 (2009). 상담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15-842.
손현동, 진명식, 유형근 (2008).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개념화 차이 분석. 상담학연구, 9(4), 1801-1817.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2017).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양명주, 김가희, 김봉환 (2016). 대학 진로․취업상담자가 지각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 연구, 17(2), 101- 119.
양미진, 이영희 (2006).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20.
오송희, 이정아, 김은하 (2016). 상담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267-289.
우홍련, 허난설, 이지향, 장유진 (2015). 한국 상담자들이 경험한 윤리 문제와 대처방법 및 상담윤리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상담학연구, 16(2), 1-25.
유재령 (2006). 아동상담자의 윤리적 실천행동 관련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재령, 김광웅 (2006). 내용분석을 통한 아동상담자의 주요 윤리적 딜레마 상황과 대처 행위. 아동학회지, 27(2), 127-151.
유정이, 홍지영, 김진희 (2015). 학교상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효과요인. 아시아교육연구, 16(3), 57-85.
이주연, 정제영, 박주형, 주현준, 정성수 (2013). 학교폭력 예방 교육 및 치료 기관으로서 Wee센터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2), 67-89.
최 선, 고유림, 박정은, 신예지, 강민철 (2012). 학교상담자 윤리강령에 대한 고찰-학교상담학회 윤리강령 개정에 대한 제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505-524.
최해림 (2002). 한국 상담자의 상담윤리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05 -828.
황순길, 손재환, 김다희, 김화연 (2016).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대내외 환경 및 발전과제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4(1), 197-219.
홍지영, 유정이, 김진희 (2018). 청소년상담자의 상담기록 생성, 관리, 폐기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9(1), 61-92.
한국상담학회 (2016). 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http://www.counselors.or.kr/ 에서 검색.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상담심리사윤리강령. http://krcpa.or.kr/sub01_5.asp?menuCategory=1 에서 검색.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사윤리강령. http://www.youthcounselor.or.kr/ new/sub01_6.h tml 에서 검색.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4). 2014 ACA code of ethics: as approved by the ACA governing council.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7). Ethical principles of psychologists and code of conduct. https://www.apa.org/ethics/code/ 에서 검색.
Almeida, L. S. (2016). A study of the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school psychologists in Portugal. Ethics & Behavior, 26(5), 395-414.
Barnet, J. E., & Johnson. W. B. (2010). Ethics desk reference for counselors. Alexandria, VA: Amecrian Counseling Association.
Bebeau, M., Rest, J., & Narvaez, D. (1999). Beyond the promise: a perspective on research in moral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28(4), 18-26.
Bodenhorn, N. (2006). Exploratory study of common and challenging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0(2), 195-202.
Brown, T., Armstrong, S. A., Bore, S., & Simpson, C. (2017). Using an ethical decision-making model to address ethical dilemmas in school counseling. Journal of School Counseling, 15(13). https://eric.ed.gov/?id=EJ1158281 에서 검색.
Cartwright, B. Y., & Hartley, M. T. (2015). Ethics consultation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A content analysis of CRCC advisory opinions, 1996-2013.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59(2), 1-10.
Corey, G. (2014). 제럴드 코리에게서 배우는 성장하는 상담전문가의 길. (김인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0에 출판).
Corey, G., Corey, M. S., & Callanan, P.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 (서경현, 정성진 역). 서울: Cengage Learning. (원전은 2011에 출판).
Corey, M. S., & Corey, G. (2017). 좋은 상담자 되기. (이지연. 김아름 역).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원전은 2016에 출판).
Cottone. R. R. (2004). Displacing the psychology of the individual in ethical decision-making: The social constructivism model. Canadian Journal of Counselling/Revue canadienne de counseling, 38(1), 5-13.
Cottone, R. R., & Tarvydas, V. M. (2007). Counseling ethics and decision making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Hall.
Dorre, A., & Kinnier, R. T. (2006). The ethics of bias in counselor terminology. Counseling and Values, 51(1), 66-80.
Foster, D., & Black, T. G. (2007). An integral approach to counseling ethics. Counseling and Values, 51(3), 221-234.
Giorgi, A.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85에 출판).
Haas, L. J., Malouf, J. L., & Mayerson, N. H. (1986). Ethical dilemmas in psychological practic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7(4), 316-321.
Hayman, P. M., & Covert, J. A. (1986). Ethical dilemma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4(5), 318-320.
Herlihy, B., & Dufrene, R. L. (2011). Current and emerging ethical issues in counseling: A delphi study of expert opinions. Counseling and Values, 56(1/2), 10-24.
Jackson, Y. (1998). Applying APA ethical guidelines to individual play therapy with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7(2), 1-15.
Kitchener, K. S. (1984). Intuition, critical evaluation and ethical principles: The foundation for ethical decisions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2(3/4), 43-55.
Kitchener, K, S. (2000). Foundations of ethical practice, research and teaching in psychology. Mahwah, NJ: Lawrence Erlbaum.
Knapp, S. J., & VandeCreek, L. D. (2006). Practical ethics for psychologists: a positive approac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ambie, G., Ieva, K., Mullen, P., & Hayes, B. (2011). Ego development, ethical decision- making, and legal and ethical knowledge in school counselors.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8(1), 50-59.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Luke, M., Goodrich, K. M., & Gilbride, D. D. (2012). Intercultural model of ethical decision making: addressing worldview dilemmas in school counseling. Counseling and Values, 58(2), 177-194.
Mullen, P. R., Morris, C., & Lord, M. (2017). The experience of ethical dilemmas, burnout, and stress among practicing counselors. Counseling and Values, 62(1), 37-56.
McLennan, V., Ryan, K., & Randall, C. (2018). Ethical dilemmas experienced by Australian rehabilitation counsellors. Online Journal of Health Ethics, 14(1), http://dx.doi.org/ 10.18785/ojhe.1401.07 에서 검색.
Pope, K. S., & Vasquez, M, J, T. (2010). 심리치료와 상담의 윤리학. (박균열 외 역). 서울: 철학과 현실사. (원전은 2007에 출판).
Remley, T. P. Jr. (2002). Special issue: legal and ethical issues in school counseli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6(1), 1-2.
Seligman, L., & Reichenberg, L. W. (2014).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 (김영혜, 박기완, 서경현, 신희천, 정남운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10에 출판).
Sivis-Centinkay, R. (2014). Ethical dilemmas of Turkish counselors: A critical incidents study.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43(4), 476-491.
Sperry, L. (2007). The ethical and professional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MA: Allyn and Bacon.
Stone, C. B., & Zirkel, P. A. (2010). School counselor advocacy: When law and ethics may collide.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3(4), 244-247.
Tarvydas, V. M., & Cottone, R. R. (2000). The code of ethics for profess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What we have and what we need.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3(4), 188-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