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생의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 성별의 조절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무망감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632명을 대상으로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 자살생각, 자기자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3.0와 AMOS 23.0을 이용하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짐된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은 무망감, 자살생각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자비는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 자살생각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다.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짐된 느낌의 직접효과가 제일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좌절된 소속감은 무망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낸 반면, 짐된 느낌은 무망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자기자비는 좌절된 소속감과 무망감, 짐된 느낌과 자살생각, 무망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다른 경로에서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성별은 무망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있었으나, 다른 경로에서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uicidal ideatio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hopelessness, self-compassion, gender, 자살생각,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 자기자비, 성별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were 632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hopelessness, suicidal ideation, and self-compa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lessness and suicidal thoughts, while self-compa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ther variables. The fit of the study model was good.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and hopelessnes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warted belongingness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hopelessness, while perceived burdensomeness had no indirect effec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ender were partially confirm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suicidal ideation, perceived burdensomeness, thwarted belongingness, hopelessness, self-compassion, gender, 자살생각, 짐된 느낌, 좌절된 소속감, 무망감, 자기자비, 성별

참고문헌

1.

고은영, 최바올, 이소연, 이은지, 서영석 (2013).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63-81.

2.

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18. 1. 23).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 https://www.gov.kr/portal/ ntnaNews/1324 에서 검색.

3.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4.

김보미, 유성은 (2012).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들의 사회적 유대감, 정서 조절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31(3), 731-748.

5.

김성건, 이은호, 황순택, 홍상황, 이건석, 김지혜 (2015). 한국판 벡절망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 정신의학, 54(1), 84- 90.

6.

김성연 (2013).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으로 본 동성애자의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은경, 이정숙 (2008). 아동기 학대경험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 수치심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6), 123-134.

8.

김정호, 홍혜영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내적속박감과 외적속박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1), 391-413.

9.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 (2009). 가정내 자녀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119-144.

10.

김한솔 (2018). 청소년의 좌절된 소속감이 심리적 극통을 통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성 (2015). 폭력 피해 경험과 사회적지지 특성이 대학생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2), 157- 175.

12.

박선영 (2013).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심리적 디스트레스 및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및 남녀차이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선영, 김경미 (2013).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과의 관계: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4(6), 3691-3707.

14.

박수진, 김종남 (2018). 초기 성인의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지각된 짐스러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및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877-908.

15.

박세란 (2016). 기질적 특성이 자살생각 및 자해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125-150.

16.

박연수 (2016).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Needs in Predicting Current Suicide Ideation.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희 (2017). 대학 신입생의 자살위험요인 경험, 정신건강,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621-632.

18.

박혜림 (2013). 중학생 집단괴롭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와 심리적 극통의 매개효과 및 남녀 차이 검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희주 (2014).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소속감과 심리적 극통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배욱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27-34.

21.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2.

서지영 (2018). 중장년층의 인식된 짐스러움과 좌절된 소속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절망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감-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 1-19.

24.

안세영, 김종학, 최보영 (2015). 대학생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85-405.

25.

양선미, 박경 (2015). 대학생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8), 105-130.

26.

오충광 (2017). 대학생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수동적 태도, 우울, 무망감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청소년학연구, 24(11), 295-320.

27.

유계숙, 손현겸 (2015).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대인관계욕구와 삶의 이유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75-100

28.

유지연, 박창순 (201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데이터정보학회지, 26(1), 123-139.

29.

이동희 (2013). 청소년의 애착, 대인관계 특성, 자살생각과의 관계: Joiner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윤주, 한춘교 (2016). 대학생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16-R24, 1-132. http://www.nypi.re.kr/ brdrr/boardrrView.mdo?brd_id=BDIDX_PJk7xvf7L096m1g7Phd3YC&menu_nix=d35o34AE&cont_idx=542&edomweivgp=R 에서 검색.

32.

이희연, 하은혜 (2015). 청소년의 성별과 우울증상 간 관계에서 인지요인의 매개효과. 아시아여성연구, 54(1), 73-110.

33.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7). 전국 대학생 정신건강 실태조사. 2017학년도 동계학술대회자료집, pp.1-19. 12월 18일. 전남, 신안: 엘도라도 리조트 우전비치홀. 미간행. http://www.ccus.kr/ 에서 검색.

34.

전민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성진, 조현주 (2013). 학생상담센터 내방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pp.265-265. 8월 24일. 대전: 대전컨벤션센터. 미간행.

36.

정희정 (2015). 대인관계심리모형을 통한 성인의 자살경로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조민호 (2009).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을 통해서 본 한국군의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영일, 김지현, 한우리, 조유정 (2015). 임상 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개념 정의 및 통계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113-1131.

39.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40.

중앙심리부검센터 (2018). 2017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 서울: 중앙심리부검센터. http://www.psyauto.or.kr에서 검색.

41.

최우경, 김진숙 (2014). 대학생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1-25.

42.

편여울강 (2015).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자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존감안정성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통계청 보도자료 (2018. 9. 18). 2017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https://kostat.go.kr/portal/korea/ 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 370710&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0 에서 검색.

4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보도자료 (2018, 4. 30). 대학생 정신건강 지원 시급하다. http:// www.kcue.or.kr/bbs/view.php?gb=news&idx= 615 에서 검색.

45.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6.

홍영근 (2018).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공포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4(2), 195-212.

47.

Abramson, L. Y., Seligman, M. E., & Teasdale, J. D.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1), 49-74.

48.

Alford, B. A., & Beck, A. T. (1997). The integrative power of cognitive therapy.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49.

Batterham, P. J., Walker, J., Leach, L. S., Ma, J., Calear, A. L., & Christensen, H. (2018). A longitudinal test of the prediction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for passive and active suicidal ideation in a large community-based cohor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27, 97-102.

50.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51.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 thier life 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52.

Beck, A. T., Brown, G., Berchick, R. J., Stewart, B. L., & Steer, R. A. (2006).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ultimate suicide: A replication with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in Psychiatry, 4(2), 291-296.

53.

Beck, A. T., Brown, G. K., & Steer, R. A. (1997).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with psychiatric outpatient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5(11), 1039-1046.

54.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55.

Beck, A. T., Weissman, A., Lester, D., & Trexler, L. (1974).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6), 861-865.

56.

Berman, A. L., Jobes, D., & Silverman, M. M. (2006). Adolescent suici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7.

Blatt, S. J., & Maroudas, C. (1992). Convergences among psychoanalytic and cognitive behavioral theories of depression. Psychoanalytic Psychology, 9(2), 157-190.

58.

Brown, G. K. (2009). A review of suicide assessment measures for intervention research with adults and older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A.

59.

Buitron, V. H., Ryan M., & Pettit, J. W. (2017). Mindfulness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dults With elevated depressive symptoms.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47(5), 580-588.

60.

Byrne, B. M.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New York, NY: Routledge.

61.

Carol, C., Stanley, I. H., Greenberg, J. H., Walker, K, L., Hirsch, J. K., Rudd, M. D., & Joiner, T. E., Jr. (2018). Perceived problem-solving deficits and suicidal ideation: Evidence for the explanatory roles of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in five Sampl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115(1), 137-160.

62.

Cukrowicz, K. C., Jahn, D. R., Graham, R. D., Poindexter, E. K. , & Williams, R. B. (2013). Suicide risk in older adults: Evaluating models of risk and predicting excess zeros in a primary care sampl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22(4), 1021-1030.

63.

Cyranowsky, J. M., Frank, E., Young, E., & Shear, M. K. (2000). Adolescent onset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lifetime prevalence rates of major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7(1), 21-27.

64.

Gautam, A., & Nagle, Y. K. (2016).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as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11(2), 459-467.

65.

Gilligan, C. (1990). Remapping the moral domain: New images of the self in relationship. New York,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66.

Guisinger, S., & Blatt, S. J. (1994).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Evolution of a fundamental dialectic. American Psychologist, 49(2), 104-111.

67.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University Press.

68.

Hewitt, P. L., Flett, G. L., & Weber, C. (1994).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suicide ide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8(5), 439-460.

69.

Hill, R. M., Rey, Y. M., Carla, E. S., Green, K. L., & Pettit, J. W. (2015). Evaluating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Factor Structure, and Predictive Validity across Five Versions. Suicide & Life-Threatening Behavior, 45(3), 302-314.

70.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4), 636-654.

71.

Játiva, R., & Cerezo, M. A. (2014). The mediating role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a sample of adolescents. Child Abuse & Neglect, 38(7), 1180-1190.

72.

Jennifer, M., Philip, J. B., Alison, L. C., & Jin, H. (2016).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dictions of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Clinical Psychology Review, 46, 34-45.

73.

Joiner, T. E., Jr.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4.

Klibert, J. J., Langhinrichsen-Rohling, J., & Saito, M. (2005). Adaptive and maladaptive aspects of self-oriented versu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6(2), 141-156.

75.

Kuo, W. H., Gallo, J. J., & Eaton, W. W. (2004). Hopelessness, depression, substance disorder, and suicidality: A 13-year community-based study. Social Psychiatry & Psychiatric Epidemiology, 39(6), 497-501.

76.

Lamis, D. A., & Leater, D. (2013). Gender differences i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27(1), 62-77.

77.

MacCallum, R. C., Zhang, S., Preacher, K. J., & Rucker, D. D. (2002) On the practice of dichotomization of quantitative variables. Psychological Methods, 7(1), 19-40.

78.

McAuliffe, C. M. (2002). Suicidal ideation as an articulation of intent: A focus for suicide prevention?.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6(4), 325-338.

79.

Miller, W. R., & Seligman, M. E. (1975). Depression and learned helplessness in ma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4(3), 228-238.

80.

Miranda, R., Scott, M., Hicks, R., Wilcox, H. C., Harris Munfakh, J. L., & Shaffer, D. (2008). Suicide attempt characteristics, diagnoses, and future attempts: Comparing multiple attempters to single attempters and ideato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7(1), 32-40.

81.

Motto, J. A. & Bostrom, A. (1990). Empirical indicators of near-term suicide risk.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 Prevention, 11(1), 52-59.

82.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2.

83.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 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84.

Neff, K. D. (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and Personality Compass, 5(1), 1-12.

85.

Neff, K. D., & Vonk, R. (2009).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Two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oneself. Journal of Personality, 77(1), 23-50.

86.

O’Reilly, R. L., Truant, G. S., & Donaldson, L. (1990). Psychiatrists’ experience of suicide in their patients. Psychiatric Journal of the University of Ottawa, 15(3), 173-176.

87.

Pederson, E. L., & Vogel, D. L. (2007).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willingness to seek counseling: Testing a mediation model on college-age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4), 373-384.

88.

Pisetsky, E. M., Crow, S. J., & Peterson, C. B. (2017). An empirical test of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in a heterogeneous eating disorder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50(2), 162-165.

89.

Rosenberg, M., Schooler, C., & Schoenbach, C. (1989). Self-esteem and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7(3), 279-291.

90.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8-29.

91.

Shiang, J. (2000). Considering cultural beliefs and behaviors in the study of suicide. In R. W. Maris, S. S. Canetto, J. L. McIntosh, & M. M. Silverman (Eds.), Review of suicidology (pp. 226-241). New York, NY: Guilford Press.

92.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93.

Spirito, A., Valeri, S., Boergers, J., & Donaldson, D. (2003). Predictors of continue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following a suicide attempt.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2(2), 284-289.

94.

Trout, D. L. (1980). The role of social isolation in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10(1), 10-23.

95.

Twenge, J. M., Baumeister, R. F., Tice, D. M., & Stucke, T. S. (2001). If you can’t join them, beat them: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6), 1058-1069.

96.

Twenge, J. M., Catanese, K. R., & Baumeister, R. F. (2002). Social exclusion causes self-defeat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3), 606-615.

97.

Van Orden, K. A., Cukrowicz, K. C., Witte, T. K., & Joiner, T. E., Jr. (2012).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Construct valid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24(1), 197-215.

98.

Van Orden, K. A., Witte, T. K., Cukrowicz, K. C., Braithwaite, S. R., Selby, E. A., & Joiner, T. E., Jr. (2010).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Psychological Review, 117(2), 575-600.

99.

Wilcox, H. C., Arria, A. M., Caldeira, K. M., Vincent, K. B., Pinchevsky, G. M., & O’Grady, K. E. (2010).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ersistent suicide ideation, plans, and attempts during colleg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7(1-3), 287-294.

100.

Zeller, M., Yuval, K., Nitzan-Assayag, Y., & Bernstein, A. (2015). Self-Compassion in Recovery Following Potentially Traumatic Stress: Longitudinal Study of At-Risk Youth.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3(4), 645-65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