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 이성애자의 동성애 및 동성애자에 대한 태도: 탐색적 질적 연구

Exploring South Korean Heterosexuals’ Attitudes Towards Same-Sex Relationships, Lesbians, and Gays: A Qualitative Study

초록

이 연구는 한국 20-40대 이성애자가 동성애와 동성애자(게이, 레즈비언)에게 가지는 다양한 범주의 정서․인지․행동 태도를 이해하고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세 이상 50세 미만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이성애자 12명(남 7, 여5)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02개의 의미진술문이 도출되었고, 이는 47개의 주제로 요약되었으며, 최종적으로 8개의 상위범주로 재정리되었다. 8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동성애 및 동성애자에 대해 알게 된 경로’, ‘동성애와 동성애자는 불편함’, ‘동성애를 하고 동성애자가 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음’, ‘이성 간 연애 및 결혼, 자녀출산이 당연함’, ‘동성애 차별은 없고, 나와는 관련 없음’, ‘동성애자를 이해하고 싶음’,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름’, ‘폭력과 혐오발언은 잘못된 것이지만, 노력은 동성애자가 해야 함’.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정의 맥락에서 성적 지향에 대한 다양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향후 연구 과제 및 관련 학계의 실천방향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이성애자 태도, 성적 지향, 동성애, 이성애 정상성, 성소수자, 질적 연구, 반복적 질적분석법, heterosexual-attitude, sexual-orientation, same-sex-relationship, heteronormativity, sexual-minority, qualitative-study, constant-comparison-metho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South Korean heterosexuals’ attitudes towards same-sex relationships(SSR), lesbians, and gays(LGs). The authors of the study interviewed 12 adults who identify as cis-gender heterosexuals. After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1) Paths to learning about SSR and LGs, 2) Feelings of discomfort with SSR and LGs, 3) Beliefs in the origins of same-sex attraction, and LGs identities, 4) Expectations of hetero-based relationships, marriages, and reproduction as the norm, 5) Belief that discrimination of sexual minorities does not even exist, and not wanting to be aware, 6) Willingness to better understand SSR, and LGs, 7) Beliefs that Korean-specific cultural norms must be maintained, and 8) Opposition against violence and hate speech to sexual minorities, but beliefs that sexual minorities need to take more action to advocate for themselv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social justice context.

keywords
이성애자 태도, 성적 지향, 동성애, 이성애 정상성, 성소수자, 질적 연구, 반복적 질적분석법, heterosexual-attitude, sexual-orientation, same-sex-relationship, heteronormativity, sexual-minority, qualitative-study, constant-comparison-method

참고문헌

1.

권혜진, 김경희, 함미영, 염순교, 조주연, 최미혜 (2006). 남자 중학생의 성허용성, 성태도 및 성정체성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5(1), 99-108.

2.

국가인권위원회 (2017.4.27.). 인권위, 차기정부 10대 인권과제 확정… 대선 후 대통령에 전달.

3.

김기환, 김지경 (2012).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8(2), 49-73.

4.

김용희, 반건호 (2005). 한국판 동성애 공포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27-336.

5.

김윤옥, 박성미, 박소영, 손미, 신경숙, 이은화, 황희숙 (2009). 질적연구 실천방법. 경기: 교육과학사.

6.

김은하, 신윤정 (2016). 중․고등학교 교사의 권위주의 성향, 전통적 성역할 태도 및 정서적 공감이 동성애공포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3), 431-453.

7.

김진이 (2017).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합의적 질적 연구(CQR).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3(4), 605-634.

8.

김철권 (2013). 게이와 레즈비언을 다룬 영화가 의과대학생의 동성애와 동성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화연구, 56, 103-128.

9.

김형지, 신정훈, 연규진, 김향숙 (2015). 동성애적 지향성을 지닌 대학생 남성의 사회불안 경험과 사회적 지지 특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4(4), 811-841.

10.

박도담, 유성경 (2019). 한국판 성적 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 (Korean version of the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 K-SOMS)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3), 899-927.

11.

박정은 (2013).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불편감이 상담자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동성애 내담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대학교.

12.

박정은, 남궁미, 정서진 (2019). 동성애자 내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여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4), 997-1021.

13.

서영석, 이정림, 강재희, 차주환 (2007).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13-237.

14.

서영석, 이정림, 차주환 (2006). 성역할태도, 종교성향, 권위주의 및 문화적 가치가 대학생의 동성애혐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77-199.

15.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2017). 2017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 의미와 쟁점. 서울: 서울대학교.

16.

신경희 (2017). 종교적 정체성에 따른 여성 예비교사들의 성소수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33(2), 245-279.

17.

신경희 (2019). 성소수자 예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분석 연구. 교육문화연구, 25(4), 485- 508.

18.

여기동, 이미형 (2006). 한국 남성의 동성애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15(3), 289-298.

19.

연합뉴스 (2018.3.17.) 한국 정부, 사형제 폐지․대체복무제 도입 유엔 권고 불수용.

20.

우사라, 유성경 (2015).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 유능감에 따른 임상적 판단 및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11-334.

21.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2.

유엔 시민정치 권리규약 위원회 (2015). 최종 권고문. 제네바: 유엔 시민정치 권리규약 위원회.

23.

이경민 (2015.6.17.) 조계종, 부처님 자비로 성소수자(LGBT) 보듬다. 불교신문.

24.

이봉재 (2006). 동성애에 대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태도 관련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22(2), 1-19.

25.

이지하, 심다연, 양민옥, 김혜선 (2014). 성행동과 자아존중감이 대학생의 동성애 혐오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543-553.

26.

이호림 (2015).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대학교.

27.

일 다 (2016). 청소년전화 1388 “동성애는 치료를…” 황당한 상담. http://m.ildaro.com/7626

28.

임은미 (2016).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문제 옹호 척도의 타당성 검증. 상담학연구, 17(4), 51-70.

29.

장지윤, 안현의 (2018). 한국판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73-295.

30.

정애경, 김태선 (2016). 다문화 상담심리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게재 논문 내용분석(1988-2015). 학교교육연구, 1(2), 1-24.

31.

조대훈 (2011). 동성애에 대한 교수적 태도의 영향 변인 연구. 시민교육연구, 43(1), 205- 237.

32.

최가희 (2018).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49-271.

33.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벌 및 윤리위원회 (2019. 02. 14.). [상벌 및 윤리위원회] 준회원 제명 기사에 대한 학회의 입장.

34.

한국성소수자연구회(준) (2016).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성소수자에 대한 12가지 질문. 서울. (ISBN 979-11-952856-2-4)

35.

한국행정연구원 (2018). 2018년 사회통합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36.

Alden, H., & Parker, K. (2005). Gender role ideology, homophobia and hate crime. Deviant Behavior, 26, 321-343.

37.

Asta, E. L., & Vacha-Haase, T. (2013). Heterosexual ally development in counseling psychologist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1(4), 493-529.

38.

Barritt, L., Beekman, T., Bleeker, H., & Mulderij, K. (1985). Researching educational practice. Grand Forks: University of North Dakota.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39.

Boeije, H. (2002). A purposeful approach to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s. Quality and quantity, 36(4), 391-409.

40.

Britton, D. (1990). Homophobia and homosociality. The Sociological Quarterly, 31(3), 423-439.

41.

Cachia, M., & Millward, L. (2011). The telephone medium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 complementary fit. Qualitative Research in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6(3), 265-277.

42.

Christopher, A. N., & Mull, M. S. (2006). Conservative ideology and ambivalent sexism,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0(2), 223-230.

43.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에 출판).

44.

Drabble, L., Trocki, K. F., Salcedo, B., Walker, P. C., & Korcha, R. A. (2016). Conducting qualitative interviews by telephone: Lessons learned from a study of alcohol use among sexual minority and heterosexual women. Qualitative Social Work, 15(1), 118-133.

45.

Fassinger, R. E. (1991). The hidden minority: Issues and challenges in working with lesbian women and gay me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9(2), 157-176.

46.

Glaser, B. (1965).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Social Problems, 12(4), 436-445.

47.

Gonsiorek, J. C. (1991). The empirical basis for the demise of the illness model of homosexuality. In J. C. Gonsiorek & J. D. Weinrich (Eds.), Homosexuality: Research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pp. 115-136). Thousand Oaks, CA, US: Sage.

48.

Haslam, N., & Levy, S. R. (2006). Essentialist beliefs about homosexuality: Structure and implications for prejudi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2(4), 471-485.

49.

Herek, G. M. (1990). The context of anti-gay violence: Notes on cultural and psychological heterosexism.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5(3), 316-333.

50.

Ji, P., & Fujimoto, K. (2013). Measuring heterosexual LGBT ally development: A Rasch analysis. Journal of Homosexuality, 60(12), 1695-1725.

51.

Levina, M., Waldo, C. R., & Fitzgerald, L. F. (2000). We’re here, we’re queer, we’re on TV.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0(4), 738-758.

52.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Newbury Park, CA: Sage.

53.

Nadal, K., Whitman, C., Davis, L., Erazo, T., & Davidoff, K. (2016). Microaggressions toward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and genderqueer peop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Journal of Sex Research, 53(4-5), 488-508.

54.

OECD, 2017. Evolution of the acceptance of homosexuality in OECD countries between 1981-2000 and 2001-2014. https://twitter.com/OECD_Social/status/877877401916592129

55.

Platt, L. F., & Lenzen, A. L. (2013).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and the experience of sexual minorities. Journal of Homosexuality, 60(7), 1011-1034.

56.

Rich, T. S. (2017). Religion and public perceptions of gays and lesbians in South Korea. Journal of homosexuality, 64(5), 606-621.

57.

Roets, A., Van Hiel, A., & Cornelis, I. (2006). Does materialism predict racism?.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0(2), 155-168.

58.

Smith, L., Shin, R., & Officer, L. (2012). Moving counseling forward on LGB and transgender issues speaking queerly on discourses and microaggress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0(3), 385-408.

59.

Worthington, R. L., Dillon, F. R., & Becker-Schutte, A. M. (2005).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Scale for Heterosexuals (LGB-KAS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04-11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