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노인 내담자의 상담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Older Adults’ Experiences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초록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을 살아가는 노인들에게 심리치료로서의 상담이 어떤 의미였는지를 이해하고자 노인 내담자의 상담경험을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1년 사이에 전문상담자와 최소 5회기의 상담경험이 있는 65세 이상 참여자를 편의 표집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8명의 참여자들과 1~5회의 면담을 실시한 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여 귀납적이고 순환적인 방법으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면담자료 이외에도 연구주제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노인상담 현장 그리고 내담자들의 상담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 및 해석시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및 해석 결과, 노인 내담자의 상담경험은 “가릴 것 없이 드러내고 받아들여짐으로써 있는 존재로 나아가기”라는 핵심 주제 아래 “없는 채로 존재하다”, “버림받았던 내가 관심의 대상이 되다”, “나와 너의 경계를 무너뜨리다”, “수십 년을 돌아 나를 마주하다”, “죽음에 가려져 있던 미래를 되찾다”의 다섯 가지 본질적 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노인 내담자 이해와 노인상담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older adults counseling, experience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hermeneutic phenomenology, 노인상담, 상담경험, 해석학적 현상학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 of older adults us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To this end, the author recruited older adults age, 65 or over, who had experienced over five sessions of counseling from a professional counselor. Data were generated from between one and five interviews with eight participants. Analyses revealed the core theme of ‘Moving forward as being by revealed and accepted’. Additionally, five essential themes emerged, including (1) ‘To exist as you don’t exist,’ and (2) ‘Who was abandoned, becoming the center of attention,’ (3)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me and you,’ (4) ‘Facing themselves after decades,’ and (5) ‘Recovering the future that had been overshadowed by death.’ Thirteen sub-themes were derived as wel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older adults’ counseling experienc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older adults counseling, experience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hermeneutic phenomenology, 노인상담, 상담경험, 해석학적 현상학

참고문헌

1.

고정은 (2016).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들의 이야기치료 집단 상담. 한국가족치료학회, 24(1), 27-46.

2.

관계부처합동 (2016). 정신건강종합대책. 국가정책조정회의.

3.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표준어국어대사전 [데이터파일]. 2018. 12.11 http://stdweb2.korean.go.kr/

4.

권중돈 (2010).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5.

김경은 (2011). 상담전공대학원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상담의사. 석사학위논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6.

김계현,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521-542.

7.

김단비 (2018). 상담에 대한 노인들의 자각과 장벽에 관한 연구-노인들의 보고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8.

김영근 (2016). 치료적 관계 안에서의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 인간․환경․미래, 17, 111-142.

9.

김은주 (2010). 국내 노인상담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논의.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0(1), 506-507.

10.

김진택 (2008). 시선의 현상학적 경험과 봄의 나르시시즘. 프랑스문화연구, 16, 227-260.

11.

김창대, 권경희,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12.

김춘수 (1984).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부산: 열음사.

13.

김태원 (2010). 노인상담욕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14.

남기민 (1998). 노인상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8, 141-157.

15.

노인복지법 (2018). 노인복지법, 2018 [데이터파일]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16.

문보경, 장성숙 (2001).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불만 경험;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33-49.

17.

박영란, 손덕순, 박경순 (2017). 노인정신건강 정책 및 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입법과 정책, 19(2) 275-298.

18.

박찬국 (2013).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19.

보건복지부 (2016). 제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2020).

20.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014 노인실태조사.

21.

서혜경, 정순둘, 최광현 (2013). 노인상담 기본 기술과 과정. 서울: 학지사.

22.

송인주 (2013). 노인상담에서 이야기된 개인으로서 노인에 대한 이해: 누적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자아. 생명윤리, 27, 157-201.

2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10).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4.

신명희, 서은희, 송수지, 김은경, 원영실, 노원경, 김정민, 강소연, 임호용 (2013).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5.

오근재 (2014). 퇴적공간. 서울: 민음인.

26.

유경, 강연옥 (2009). 노년기 정서 경험과 대처 양식의 특성: 우울집단과 정상 집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893-910.

27.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8.

이장호 (2005). 상담심리학. 서울: 박영사.

29.

이장호, 김영경 (2014). 노인상담: 경험적 접근. 서울: 시그마프레스.

30.

이해인 (2014). 이해인 시전집 1. 서울: 문학사상.

31.

이호선 (2013).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32.

이희승 (2013). 국어대사전. 경기: 민중서림.

33.

장성숙 (2010). 상담자의 어른역할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야기 방식’에기초한 보고 형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6(3), 311-329.

34.

장재홍, 권희경 (2002). 상담자 개입의 적절성과 상담자 태도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487-509.

35.

정관용 (2016). 고령사회의 노인상담이 우울 감소와 자살예방에 미치는 효과예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36.

정미경 (2017). 행복한 노년의 삶을 위한 노인상담. 서울: 시그마프레스.

37.

정순둘, 임정숙, 박나리 (2015).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상담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5(3), 609-625.

38.

정영미, 박정숙, 김명애 (2010). 노인과 노인 관련 실무자의 상담요구 비교. 노인간호학회지, 12(3), 256-264.

39.

정옥분 (2015). 인간발달Ⅱ-청년기, 성인기, 노년기-. 서울: 교육과학사.

40.

조영언 (2004). 한국어 어원사전. 부산: 다솜출판사.

41.

주은선, 신설애 (2013). 노인의 꿈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 장면에서의 꿈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3). 549-570.

42.

철학사전편찬위원회 (2012). 철학사전. 서울: 도서출판 중원문화

43.

최명균 (2012). 노인상담에서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44.

최순자 (2014).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인의 생활 만족도와 상담욕구.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45.

치매관리법 (2015). 치매관리법, 2015 [데이터파일]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46.

통계청 (2017). 2017 고령자 통계.

47.

홍영철 (1999). 여는시-그 많던 내일은 다 어디 갔을까?, 갈라진 시대의 기쁜 소식, 396, 1.

48.

홍주연, 김경은 (2013). 상담대학원생의 노인상담의지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2). 1247-1264.

49.

Buber, M. (1977). 나와 너 [Ich und Du]. (표재명 역). 서울: 문예출판사.(원전은 1923에 출판)

50.

Cicero, M. T. (2010). 노년에 관하여 [Cato maior de senectute]. (김성숙 역). 서울: 동서문화사.(원전은 1839에 출판)

51.

De Beauvoir, S. (1994). 노년: 나이듦의 의미와 그 위대함 [La vieillesse]. (홍상희, 박혜영 역). 서울: 책세상.(원전은 1970에 출판)

52.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197-203.

53.

Freud, S. (1905). On psychotherapy (J. Strachey, trans.). In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6. London: Hogarth Press.

54.

Goudie, F. (2010). Psychological therapy with older adults. In R. Woolfe, S. Strawbridge, B. Douglas & W. Dryden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3rd ed..), 373-390. London: SAGE.

55.

Heidegger, M. (1998). 존재와 시간 17판. [Sein und Zeit]. (이기상 역). 서울: 까치글방.(원전은 1926에 출판)

56.

Hill, C. E. (2012). 상담의 기술 [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9에 출판)

57.

Howard, K. I., Orlinsky, D. E., & Trattner, J. H. (1970). Therapist orientation and patient experience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7(3), 263-270.

58.

Hunter, W. M. (2011). A Qualitative study of older adults’ experiences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cGill University.

59.

Husserl, E. (2010). 경험과 판단 [Erfahrung und urteil: Untersuchungen zur genealogie der logik](이종훈 역). 서울: (주)민음사.(원전은 1939에 출판)

60.

Hyer, L. (2014). Psychological treatment of older adults.: A holistic model.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61.

Kessler, E. M., Agines, S., & Bowen, C. E. (2015). Attitudes towards seeking mental health services among older adults: personal and contextual correlates. Aging & Mental Health, 19(2), 182-191.

62.

Knight, B. G., & Pachana, N. A. (2015). Psychological assessment & Therapy with older adults. UK: Oxford University Press.

63.

Knight, B. G., & Laildlaw, K. (2009).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In L. V. Bengtso. (Eds.). Wise-based model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nhance well-being in later life. 693-706.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64.

Knight, B. G., & Lee, L. O. (2008). Contextual adult life span theory for adapting psychotherapy. Handbook of emotional disorders in late life: Assessment and treatment, 59-88. UK: Oxford university Press.

65.

Knight, B. G., & Satre, D. D. (1999). Cognitive behavioral psychotherapy with older adult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6(2), 188-203.

66.

Koder, D., & Helmes, E. (2008). Predictors of working with older adults in an Australian psychologist sample: Revisiting the influence of contact.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9(3), 276-282.

67.

Kübler-Ross, E. (2018). 죽음과 죽어감 [On death and dying] (이진 역). 서울: 청미.(원전은 1969에 출판)

68.

Laganà, L., & Shanks, S. (2002). Mutual biases underlying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and mental health providers: Any solution in sigh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5(3), 271-295.

69.

Mathews, M. (2016).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among a singaporean elderly population: A qualitative account of what clients report as beneficial.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31(3), 277-291.

70.

McDonald, P. A., & Haney, M. (2003). 노인상담연습 [Counseling the older adult]. (현외송, 하정미 역). 서울: 양서원.(원전은 1988에 출판)

71.

McIntosh, M. (2013). A Older adults’s experience of psychological 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London.

72.

Michel Eyquem De Montaigne, M. E. (2016). 나이듦과 죽음에 대하여: 몽테뉴 수상록 선집 [Les Essais](고봉만 역). 서울: 책세상.(원전은 1580에 출판)

73.

Mogle, J., & Sliwinski, M. (2013). Perspective on cognitive aging. In J. M. Wilmoth & K. F. Ferraro (Eds.), Gerontology: Perspectives and issues(4th ed.), 49-66.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74.

Olivera, J., Braun, M., Gómez Penedo, J. M., & Roussos, A. (2013).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former clients’ perception of change, reasons for consultation,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ermination. Psychotherapy, 50(4), 505-516.

75.

Qualls, S., Segal, D., Norman, S., Niederehe, G., & Gallagher-Thompson, D. (2002). Psychologists in practice with older adults: Current patterns, sources of training, and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3(5), 435-442.

76.

Ricœur, P. (2006).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Soi-même comme un autre] (김웅권 역). 서울: 東文選.(원전은 1990에 출판)

77.

Rizopoulos, L. (2015). Older adults’ experiences of psychotherapy.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London.

78.

Rogers, C. R. (1980). Growing old-or older and growing.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4), 5-16.

79.

Scogin, F. (2008). 노인상담의 첫 걸음 [The fitst session with seniors: A step-by-step guide] (김영경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0에 출판)

80.

Smith, J. A., Flowers, P., & Larkin, M. (2015). 해석 현상학적 분석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Theory, method and research. (김미경, 이광석 역). 서울: ᄒᆞ누리.(원전은 2009에 출판)

81.

Tournier, P. (2015). 노년의 의미 [Apprendre a vieillir] (강주헌 역). 서울: 포이에마.(원전은 1973에 출판)

82.

van Manen, M. (2000). 체험연구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1990에 출판)

83.

Whitbourne, S. K. (1996). Psychosocial perspectives on emotions: The role of identity in the aging process. In K. W. Schaie, S. L. Willis (Ed.), Handbook of Emotion, Adult Development, and Aging, 83-98. London: Academic Press.

84.

Wolcott, H.(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ondon: Sage.

85.

Woodhead, E. L., Ivan, I. I., & Emery, E. E. (2013). Impact of older adults’ experience with psychotherapy on treatment engagement. Clinical Gerontologist, 36(3), 260-273.

86.

Woods, B. T. (2003). What’s so different about older people?.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 Practice, 10(3), 129-132.

87.

Yalom, I. D. (2006). 니체가 눈물 흘릴 때 [When Nietzsche wept] (임옥희 역). 서울: 리디스북.(원전은 1992에 출판)

88.

Yalom, I. D. (2008). 보다 냉정하게 보다 용기 있게 [Starting at the sun] (이혜성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8에 출판)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