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활용률이 가장 높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순차적으로 자기자비와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자기자비가 외로움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를 위해 자기자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로움을 측정하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08명(남학생 122명, 여학생 186명)의 자료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자비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외로움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자비와 외로움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자기자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외로움을 통한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시사점,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자기자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로움, 조절된 매개효과, self-compassi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social self-efficacy, moderated mediating effect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rially.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se smartphone usage was highest compared to others in their age group.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elf-compassi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and social self-efficacy scales. Data from 308 students (122 men and 186 women)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Proc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mpassion predicte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loneliness. In addition, social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loneliness and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자기자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로움, 조절된 매개효과, self-compassi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social self-efficacy, moderated mediating effect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2018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국문 요약보고서.https://www.kisa.or.kr/public/library/etc_View.jsp?regno=0011990 에서 검색.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2019년 스마트폰과의존 실태조사 결과.https://msit.go.kr/cms/www/policyCom/report/__icsFiles/afieldfile/2020/02/20/(%EB%B6%99%EC%9E%84)%202019%EB%85%84%20%EC%8A%A4%EB%A7%88%ED%8A%B8%ED%8F%B0%20%EA%B3%BC%EC%9D%98%EC%A1%B4%20%EC%8B%A4%ED%83%9C%EC%A1%B0%EC%82%AC%20%EA%B2%B0%EA%B3%BC.pdf 에서 검색.

3.

김경의, 이 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4), 1023- 1044.

4.

김경진 (2019, 2, 18). 한국, 스마트폰 보유율 세계 1위…세대 간 격차도 최저.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377911 에서 검색.

5.

김병년 (2013).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39, 49-81.

6.

김은영, 김정기, 최승애, 남태현 (2016).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97-118.

7.

김인경, 박상욱, 최혜미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637-648.

8.

김혜영, 이영애. (2018).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6(2), 229-247.

9.

김형지, 김성태 (2018).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관한 연구-인지 행동 모델의 논의 확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1), 131-161.

10.

김효정, 김은하 (2016). 불안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2), 157- 179.

11.

박선영, 도현심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12.

박세란, 이훈진 (2015).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583-611.

13.

박순아, 박근우 (2017). 가족의 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4), 325- 333.

14.

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51-159.

15.

변희숙, 권순용 (2014).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3(4), 303-317.

16.

서원진, 김정호, 조인성 (2014). 사회불안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 231-231. 8월 28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ECC.

17.

성승연 (2013). 성인애착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18.

송주석, 박기산, 김예인, 최희락, 신성만 (2018).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 (3), 537-557.

19.

신하나, 정세훈 (2018).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사회환경적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3), 5-50.

20.

신호경, 이민석, 김흥국 (2011).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스마트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8(3), 50-68.

21.

안은미, 이병관 (2016). 소비자의 자기자비성향이 동조소비, 과잉소비 및 중독소비에 미치는 영향: 자비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pp. 326-326. 8월 18일. 군산: GSCO.

22.

안혜림 (2019).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3.

양승민, 임진섭 (2019). 노인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지행동모델(cognitive-behavioral model)을 기반으로 한 탐색연구. 공공정책연구, 36(1), 207-231.

24.

여종일 (2016). 남녀중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증상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3(1), 129-152.

25.

이인숙 (2019).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로 조절된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6.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2016).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425-443.

27.

이지은, 조인효, 김은영 (2019). 대학생들의 성인 불안정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1), 229-237.

28.

임숙희, 신현지 (2020).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1), 273-286.

29.

전호선,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 (8), 103-129.

30.

정형희, 김현숙 (2018).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10), 123-144.

31.

조선희, 전경숙 (2016).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스트레스硏究, 24(1), 13-22.

32.

진미령, 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Escape Theory)’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31-53.

33.

최다혜, 이혜진 (2017).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7(1), 87-103.

34.

최동원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429-437.

35.

최윤영, 서영석 (2015). 불안전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749-772.

36.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4). 게임환경 변화에 따른 게임몰입(중독)의 추세와 의미. 서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3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38.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2). 청소년들의 일상을 점령하는 스마트폰, 어떻게 풀어나가야 하는가?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39.

한상규 (2019).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6 (1), 7-22.

40.

황다래, 권혁철 (2016).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3(3), 585-598.

41.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2.

황중원, 김진숙 (2017). 아동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현상에 미치는 영향-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8(4), 693-706.

43.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44.

Akin, A. (2010). Self-compassion and loneliness. International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2(3), 702-718.

45.

Akın, A., & Akın, Ü. (2015). Investigating predictive role of self-compassion on social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 Instructional Studies in the World, 5(3), 11-19.

46.

Chiu, S. I.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aiwanese university student: A mediation model of learning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4, 49-57.

47.

DeVellis, R. F. (1991).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48.

Dussault, M., & Deaudelin, C. (2001). Loneliness and self-efficacy in education majors. Psychological Reports, 89(2), 285-289.

49.

Goodman, A. (1990). Addiction: Definition and implications.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5(11), 1403-1408.

50.

Iskender, M., & Akin, A. (2011). Self-compassion and internet addiction.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TOJET, 10(3), 215- 221.

51.

Jones, W. H., & Carver, M. D. (1991). Adjustment and coping implications of loneliness. In C. R. Snyder & D. R., Forsyth (Eds.), Handbook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The health perspective (pp. 395-415). New York: Pergamon.

52.

Kim, E., Cho, I., & Kim, E. J.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adult attachment theory: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nd depression. Asian Nursing Research, 11(2), 92-97.

53.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54.

Kotera, Y., & Rhodes, C. (2019). Pathways to sex addiction: Relationships wit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ttachment,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motivation in a gender-balanced sample.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26(1-2), 54-76.

55.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56.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 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57.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58.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3), 225-240.

59.

Oulasvirta, A., Rattenbury, T. Ma, L., & Raita, E. (2012). Habits make smartphone use more pervasive.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16(1), 105-114.

60.

Padesky, C., & Greenberger, D. (1995). Mind over mood: Cognitive treatment therapy manual for clients. New York: Guilford Press.

61.

Perlman, D., & Peplau, L. A. (1981).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loneliness. Personal Relationships, 3, 31-56.

62.

Phelps, C. L., Paniagua, S. M., Willcockson, I. U., & Potter, J. S.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the risk for substance use disorder.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83, 78-81.

63.

Rainey, J. C., Furman, C. R., & Gearhardt, A. N. (2018). Food addiction among sexual minorities. Appetite, 120, 16-22.

64.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65.

Sherer, M., & Adams, C. (1983). Construct validations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53(3), 899-902.

66.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67.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8.

Tsai, W., Wang, K. T., & Wei, M. (2017).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social self-efficacy and lonelines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sia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8(2), 94-102.

69.

Wang, P., Zhao, M., Wang, X., Xie, X., Wang, Y., & Lei, L. (2017). Peer relationship and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role of the need to belong.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6(4), 708-71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