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다문화적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가운데 다문화접촉경험, 인지적 유연성, 편견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인지적 유연성과 다문화태도와의 관계에서 편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편견과 다문화적태도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접촉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광역시의 3개 중학교 학생 455명(남학생 85명, 여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인지적 유연성의 하위변인인 통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변인들이 각각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의 대안 요인과 다문화적태도와의 관계에서 편견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편견이 다문화적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문화접촉경험에 의해 조절되었다. 넷째, 인지적 유연성의 대안 요인이 편견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적태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다문화접촉경험은 편견과 다문화적태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 및 교육현장에 실제적인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through prejud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Data were obtained from 455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the A regio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with the exception of control, which is a subparameter of cognitive flexibility. Nex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prejud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ternative, which is a subparameter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Additionally,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Finally,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multicultural attitude through prejudic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presented.
금혜령 (2013).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근, 이기혜 (2016).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적 태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2(4), 311-335.
김수영 (2016).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사회연구, 9(2), 201-229.
김수진, 이정숙, 김보영, 최봉실, 권영란 (2010). 다문화이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 및 인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2(1), 211-225.
김영주 (2015). 문화적 다양성 경험이 외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태 (2011). 초등학생의 편견과 다문화적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2(12), 5639-5647.
김완일 (2008).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715-734.
김혜숙 (2001). 집단범주에 대한 신념과 호감도가 편견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16.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노경란, 방희정 (2009). 다문화시대 한국 초등학생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발달과 태도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49-79.
라종민, 정혜진 (2013). 학교 내 다문화교육 경험과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11(3), 165-184.
민무숙,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조영기, 류정아 (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연구. 사회통합위원회.
박여경 (2018).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에서 편견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선 (2015).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선곡유화 (2016). 청소년의 다문화 행동의도와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 효능감, 다문화 태도의 구조적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세계일보 (2018). 국가인권위 “우리나라에 심각한 인종차별이 존재한다.” 독립보고서 발표. 서울. 세계일보. http://m.segye.com/view/ 20181108002864 에서 검색.
안상수, 민무숙, 김이선, 이명진, 김금미 (2012).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9-79.
어흥선, 이종숙 (2018).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의 관계.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9, 181-199.
유선미 (2016). 초등학생의 다문화경험과 자아존중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성경, 유정이 (2000).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상담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9-32.
유힘찬 (2015). 초등학생의 인지적 유연성 향상을 위한 논변활동 수업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봉민 (2012). 상상 접촉이 다문화 외집단 대상에 대한 집단 괴롭힘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시민교육연구, 44(1), 109-134.
이재규, 황순택, 신소영 (2014). CU특질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인지적유연성을 중재변인으로. 사회과학연구, 53(2), 217-259.
이지영 (2013). 중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진옥 (2011).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택호, 이석영, 한윤선 (2016).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1), 65-85.
이하령 (2007). 인종에 대한 사회적 편견 연구: 고정관념, 감정과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예, 조현주 (2016). 대학생의 탄력성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47-168.
이혜진 (2009).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정하, 조은영, 오연경, 윤원영 (2016).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2), 93-120.
장한업 (2014).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파주. 교육과학사.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 282.
정이화 (2016). 접촉이 청소년의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2019).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통계자료.http://www.immigration.go.kr/immigration/ 1569/subview.do 에서 검색.
하경애 (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덕웅 (2002). 집단행동이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허심양 (2011).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현영권 (2018). 대학생의 미디어를 통한 다문화 간접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 독서치료연구, 10(1), 45-65.
Aiken, L. S., West, S. G.,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Allport, G. W.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Garden City, NY: Doubleday Anchor Books.
Banks, J. A. (1991). Teaching multicultural literacy to teachers. Teaching Education, 4(1), 133-1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ennett, C. I. (2007). Multiculr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Boston, MA: Pearson Allyn and Bacon.
Berscheid, E., & Reis, H. T. (1998). Attraction and close relationships.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193-281). New York, NY: McGraw-Hill.
Breugelmans, S. M., & Van De Vijver, F. J. (2004). Antecedents and components of majority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in the Netherlands. Applied Psychology, 53(3), 400-422.
Byrne, D. (1997). An overview (and underview) of research and theory within the attraction paradigm.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4(3), 417-431.
Corrigan, J. D., & Schmidt, L. D.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visions in the Counselor Rating For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1), 64-75.
Dennis, J. P., & Vander Wal, J. S. (2010).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3), 241-253.
Eller, A., & Abrams, D. (2003). ‘Gringos’ in mexico: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ffects of Language School-Promoted Contact on Intergroup Bias. Group Processes and Intergroup Relations, 6(1), 55-75.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11). Connection strategies: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Facebook-enabled communication practices. New Media and Society, 13(6), 873-892.
Goldsmith, E. B. (2013). Resource management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5th edition. London, UK: Pearson.
Gough, H. G. (1987). California psycho;ogical inventory administrator's guid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He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Hollonger, D. (1995). Postethnic identity: Beyond multiculturalism. NY: Basic Books.
James, L. R., & Brett, J. M. (1984). Mediators, moderators, and tests for medi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2), 307-321.
Katz, I., & Hass, R. G. (1988). Racial ambivalence and American value conflict: Correlational and priming studies of dual cognitive struc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893-905.
Kymlicka, W. (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Clarendon Press.
Masso, A. (2009). A readiness to accept immigrants in Europe? Individual and country-level characteristics.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5(2), 251-270.
Matejskova, T., & Leitner, H. (2011). Urban encounters with difference: the contact hypothesis and immigrant integration projects in eastern Berlin.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12(7), 717-741.
McLaren, L. M. (2003). Anti-immigrant prejudice in Europe: Contact, threat perception, and preferences for the exclusion of migrants. Social Forces, 81(3), 909-936.
Munroe, A., & Pearson, C. (2006).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5), 819-834.
Myers, D. G., & Jeeves, M. A. (1987). Psychology through the eyes of faith. New York, NY: Harper & Row Publishers.
Paolini, S., Harwood, J., & Rubin, M. (2010). Negative intergroup contact makes group memberships salient: Explaining why intergroup conflict endur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6(12), 1723-1738.
Pettigrew, T. F., & Tropp, L. R. (2008). How does intergroup contact reduce prejudice? Meta‐analytic tests of three mediator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8(6), 922-934.
Plant, E. A., & Devine, P. G. (2003). Th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of interracial anxie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6), 790-801.
Sensoy, Ő., & DiAngelo, R. (2012). Is everyone really equal?: An introduction to key concepts in social justice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admor, C. T., Galinsky, A. D., & Maddux, W. W. (2012). Getting the most out of living abroad: Biculturalism and integrative complexity as key drivers of creative and professi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3(3), 520-542.
Tropp, L. R. (2007).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interracial contact: Predicting interracial closeness among Black and White American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0(1), 70-81.
Tropp, L. R., & Pettigrew, T. F. (2005). Relationships between intergroup contact and prejudice among minority and majority status groups. Psychological Science, 16(12), 951-957.
Turner, J. C., Hogg, M. A., Oakes, P. J., Reicher, S. D., & Wetherell, M. S. (1987). Rediscovering the social group: A self-categorization theory. Cambridge, MA, US: Basil Blackwell.
Vassallo, B. (2012). Am I culturally competent? A study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ies among school teachers in Malta. The Journal of Multiculturalism in Education, 8(1), 1-43.
Verberk, G., Scheepers, P., & Felling, A. (2002).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towards ethnic minorities: An empirical test of several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Dutch case.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28(2), 197-219.
Wagner, U., Christ, O., Pettigrew, T. F., Stellmacher, J., & Wolf, C. (2006). Prejudice and minority proportion: Contact instead of threat effect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9(4), 380-390.
Ward, C., & Masgoret, A. M. (2008). Attitudes toward immigrants,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New Zealand: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1.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2(1), 227-248.
Ward, J. Martin (1996).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teacher's cross-caltural experiences with their belief about teaching divers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Westie, F. R. (1953).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race attitud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8(1), 73-78.
Wilder, D. A. (1986). Social categorization: Implications for creation and reduction of intergroup bias. In L. Berkowitz (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9, pp. 293-355). New York: Academic Press.
Wright, S. C., & Lubensky, M. (2009). The struggle for social equality: Collective action vs. prejudice reduction. In S. Demoulin, J. P. Leyens & J. F. Dovidio (Eds.), Intergroup misunderstandings: Impact of divergent social realities. New York: Psycholog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