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경험이 자기 개념과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The Effect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on Self-Concept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 경험(가해 경험, 피해 경험)이 자기 개념(자기지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대인관계 능력, 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학생 1,151명을 대상으로 6개월 단위로 총 3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1, 2, 3차 시기의 가해 경험은 해당 시기의 자기지각,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적 웰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1차 시기의 가해 경험이 2차 시기의 자기지각, 대인관계 능력, 사회적 웰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1, 2, 3차 시기의 피해 경험은 해당 시기의 자기지각, 대인관계 능력, 사회적 웰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1, 2차 시기의 피해 경험은 2, 3차 시기의 자기지각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1차 시기의 피해 경험은 2, 3차 시기의 대인관계 능력과 사회적 웰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해 경험보다 피해 경험이 자기지각과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지속적이며, 학년 초의 또래 괴롭힘 경험은 지속적으로 자기 개념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bullying, victimizati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social relationship, LGM,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가해 경험, 피해 경험, 중학생, 자기 개념, 사회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단기종단연구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on self-concept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included 1,151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every six months, at 3 time poi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bullying experiences at time points 1, 2, and 3 influenced self-perception, interpersonal abilities, and social well-being at those same time points, and that bullying experience at time 1 influenced self-perception, interpersonal abilities, and social well-being at time 2. Additionally, victimization at times 1, 2, and 3 influenced self-perception, interpersonal abilities, and social well-being at those same time points. Finally, victimization at time 1 and 2 influenced self-perception at time 2 and time 3, and victimization at time 1 influenced interpersonal abilities and social well-being at times 2 and 3.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bullying, victimizati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social relationship, LGM,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가해 경험, 피해 경험, 중학생, 자기 개념, 사회적 관계, 잠재성장모형, 단기종단연구

참고문헌

1.

강승호, 민미자 (2002).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과 주도하는 학생 및 일반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비교연구. 교육학연구, 40(2), 143-168.

2.

강진령, 유형근 (2000). 집단 괴롭힘. 서울: 학지사.

3.

권재기 (2011). 집단따돌림피해경험의 발달양상과 내면화․외현화문제행동의 변화. 한국아동복지학, 34(4), 95-126.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웰빙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5.

김미경 (2007). 사회적 지지와 귀인성향이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민정 (2016). 자존감 2요인 모델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3), 411-434.

7.

김수정 (2005). 집단 따돌림의 가해 피해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 한국상담학연구, 6(2), 359-371.

8.

김은석, 장미수(2019). 학교폭력 사안처리 유형화 및 영향요인: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 20(1), 47-70.

9.

김정원, 김관웅 (2003). 집단따돌림 가해-피해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성향. 인간발달연구, 10(1), 21-35.

10.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재엽, 장용언, 민지아 (2011).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18(7), 209-234.

12.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 367.

13.

김희화 (2001). 청소년의 집단괴롭힘과 학교생활 특성에 관한 연구. 일반집단, 가해집단, 피해집단 및 가해-피해집단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8(2), 119-141.

14.

도현심, 김선미 (2006). 남녀 아동의 또래괴롭힘과 관련된 변인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7-126.

15.

박종효 (2007). 집단따돌림(왕따)에 대한 이해: 발달경향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한국청소년연구, 18(1), 247-272.

16.

박창남, 김희진, 김선업 (2001). 청소년패널조사 기초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반재천, 김수구, 전상국 (2010). 2010 초․중등학교 주요공시정보 분석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8.

서경현, 양승애 (2010a).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18(4), 371- 378.

19.

서경현, 양승애 (2010b).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한 자기애와 자존감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53-671.

20.

송인섭 (1982). 자아개념 진단 검사. 한국심리적성연구소.

21.

신희영 (2019). 학교 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의 행동발달, 또래 상호작용 및 사회적 영향의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 (2), 1-21.

22.

오영창, 박은식, 윤경희 (2017).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청소년들의 안녕감에 대한 분석. 조사연구, 18(4), 87-103.

23.

오효정, 심혜미 (2019).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1), 101-128.

24.

이경아 (2008). 사회기술 및 또래 관계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자기 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1), 61-80.

25.

이귀숙, 정현희 (2005). 여자 중학생의 집단따돌림과 심리 사회적 적응: 2년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1), 1-17.

26.

이근배 (2014). 현장중심의 학교 폭력 상담 전략 및 실제. 한국인간발달학회, 추계학술대회, 10(4), 61-76.

27.

이명숙 (1994). 기질 및 또래 지지가 청소년의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적 패널 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문희, 이영순 (2013). 성격강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13-831.

29.

이수진, 홍세희, 박중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연관성. 교육심리연구, 19(4), 1179-1197.

30.

이은주 (2004). 집단괴롭힘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1(1), 141-165.

31.

이춘아 (2001). 청소년의 또래공격성과 피공격성.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 개념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33.

이해경, 연은경, 김혜원 (2014). 낙관성향상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대인관계능력,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1), 379-400.

34.

이형득, 문선모 (1979).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19, 195-204, 경상대학교 연구소.

35.

임영진 (2012).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13-730.

36.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37.

장귀옥 (2002). 무용수들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정신건강 프로파일.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장안식 (2013). 학교 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발달적 변화. 한국범죄학, 7(1), 61-82.

39.

전명순 (2012). 청소년 대인관계 역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연세대학교대학원.

41.

정기옥 (1993).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정영숙, 신민섭, 이승연 (2003). 청소년 심리학. 서울: 시그마 프레스.

43.

정화식 (2014). 청소년의 대인관계 특성과 SNS 이용동기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서울: 집문당.

45.

차경호 (2001).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 9(1), 7-26.

46.

천경민 (2010).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대인관계기술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4(1), 47-65.

47.

최은숙 (1999).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일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한유경, 이희숙, 김성식, 이윤희 (2016). 학교폭력 경험 양상의 변동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아시아교육, 17(1), 145-168.

49.

한종철, 김인경 (2000). 또래따돌림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103-113.

50.

한종철, 이민아, 이기학 (1999). 초등학생의 집단 괴롭힘 개입 유형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1), 95-108.

51.

허성호, 박준성, 정태연 (2009). 집단 따돌림이 피해청소년의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0(4), 279- 299.

52.

현미열 (2016). 아동청소년기 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25(2), 147-154.

53.

Bellmore, A. D., & Cillessen, A. H. N. (2006). Reciprocal influences of victimization, perceived social preference, and self-concept in adolescence. Self and Identity, 5(3), 209-229.

54.

Berger, K. S. (2007). Update on bullying at school: Science forgotten? Developmental Review, 27(1), 90-126.

55.

Boulton, M. J., & Smith, P. K. (1994). Bully/victim problems in middle‐school children: Stability, self‐perceived competence, peer perceptions and peer accepta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2(3), 315-329.

56.

Boulton, M. J., Smith, P. K., & Cowie, H. (2010). Short-term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er victimization/bullying experiences and self-perception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3), 296-311.

57.

Cillessen, A. H. N., & Bellmore, A. D. (1999). Accuracy of social self-perception and peer competence in middle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45(4), 650-676.

58.

Cohen, A. R. (1959). Situational structure, self-esteem, and threat-oriented reactions to power. In Crtwiright, D. (Ed), Studies in social power (pp. 35-52).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9.

Coleman, P. K., & Byrd, C. P. (2003). Interpersonal correlates of peer victimization among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4), 301-314.

60.

Coopersmith (1967). The antecedents of self -esteem. San Francisco: Freeman.

61.

DeRosier, M. E., Kupersmidt, J. B., & Patterson, C. J. (1994). Children’s academic and behavioral adjustment as a function of the chronicity and proximity of peer rejection. Child Development, 65(6), 1799-1813.

62.

Didkovskaya, Ya. V., & Trynov, D. V. (2019). Social well-being and expectations of the youth in the industrial region. Economic and Social Changes: Facts, Trends, Forecast, 12(1), 202-214.

63.

Esbensen, F., & Carson, D. C. (2009). Consequences of being bullied: Result from longitudinal assessment of bullying victimization in a multisite sample of American student. Youth & Society, 41(2), 209-233.

64.

Eastman, M., Foshee, V., Ennett, S., Sotres-Alvarez, D., Reyes, H. L. M., Faris, R., & North, K. (2018). Profil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associated with bullying victimization. Journal of Adolescence, 65, 101-110.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 2018.03.007.

65.

Hetts, J. J., Sakuma, M., & Pelham, B. W. (1999). Two-roads to positive regard: Implicit and explicit self evaluation and cultur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5(6), 512-559.

66.

Hong, S. H., & Ho, H. Z. (2005). Direct and indirect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 achievement: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cross ethnic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1), 32-42.

67.

Jantzer, A. M., & Cashel, M. L. (2017). Bullying victimization, college adjustment, and the role of coping.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8(2), 283-289.

68.

Jantzer, A. M., Hoover, J. H., & Narloch, R.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ged bullying and trust, shyness, and quality of friendship in young adulthood: A preliminary research note.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7(2), 146-156.

69.

Karatzias, A., Power, K. G., & Swanson. V. (2002).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scottish secondary school: Same or separate entities?. Aggressive Behavior, 28(1), 45-61.

70.

Karnik, N. S., & Winiarski D. A.(2019). Bullying and suicide risk: Restructuring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to address a global mental health crisi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8(9), 851-852.

71.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72.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3), 539-548.

73.

Keyes, C. L. M. (2008).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 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5(3), 181-192.

74.

Koyanagi, A., Oh, H., Carvalho, A. F., Smith, L., Haro, J. M., Vancampfort, D., Stubbs, B., & DeVylder, J. E. (2019). Bullying victimization and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aged 12-15years from 48 countri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58(9), 907-918.

75.

Kwan, V. S. Y., Bond, M. H., & Singelis, T. M. (1997). Pancultural explanations for life satisfaction: Adding relationship harmony to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5), 1308-1051.

76.

Lam, S., Law, W., Chan, C., Wong, B., & Zhang, X. (2015). A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of school bullying and its social context: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30(1), 75-90.

77.

Markus, H., & Nuious, P. (1986). Possible selves. American Psychologist, 41(9), 954-969.

78.

Mruk, C. (2006). Self-Esteem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self-esteem (3rd ed.). New York: Springer.

79.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UK: Blackwell.

80.

Olweus, D. (2010).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bullying: Some critical issues. In S. R. Jimerson, S. M. Swearer, & D. L. Espelage (Eds.), Handbook of bullying in school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p. 9-33). New York, NY: Routledge.

81.

Pellegrini, A. D., & Bartini, M. (2000).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er affili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o middle schoo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3), 699-725.

82.

Piers, E., & Harris, D. (1969). The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Nashiville, TN: Counselor Recording and Tests.

83.

Prinstein, M. J., & Giletta, M. (2016). Peer rela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E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3rd ed.). Hoboken, NJ: Wiley.

84.

Rodkin, P. C., Espelage, D. L., & Hanish, L. D. (2015). A relation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bullying: Developmental antecedents and outcomes. American Psychologist, 70(4), 311-321.

85.

Rohmann, E., Hanke, S., & Bierhoff, H.-W. (2019).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in relation to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elf-construal.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1-10. https://doi.org/10.1027/1614-0001/a000292.

8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87.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88.

Rudolph, K. D., Lansford, J. E., & Rodkin, P. C. (2016). Interpersonal theories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E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maladaptation and psychopathology (pp. 312-385). Hoboken: Wiley.

89.

Rueger, S. Y., & Jenkins, L. N. (2014).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on psychological academic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9(1), 77-88.

90.

Schlein, S., & Guerney, B. G. (1971). The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client anger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6(8), 361-365.

91.

Shavelson, R. M., Hubner, J. J., & Stanton, G. D. (1976). Validation of construct interpret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3), 407-441.

92.

Smith, P. K., Talamelli, L., Cowie, H., Naylor, P., & Chauhan, P. (2004). Profiles of non-victims, escaped victims, continuing victims and new victims of school bully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4), 565-581.

93.

Smokowski, P. R., & Kopasz, H. K. (2005). Bullying in school: Correlates, consequenc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chool social workers. Children & Schools, 27(2), 101-110.

94.

Tafarodi, R. W., & Ho, C. (2006). Moral value, agency, and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In M. H. Kernis (Ed.),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 (pp. 110-118). New York: Psychology Press.

95.

Takizawa, R., Maughan, B., & Arseneault, L. (2014). Adult health outcomes of childhood bullying victimization: Evidence from a five-decade longitudinal British birth cohort.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1(4), 777-784.

96.

Taylor, K. A., Sullivan, T. N., & Kliewer, W. (2013). A longitudinal path analysis of peer victimization, treat appraisals to the self, and aggressio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urba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42(2), 178-267.

97.

Young-Jones, A., Fursa, S., Byrket, J. S., & Sly, J. S. (2015). Bullying affects more than feelings: The long-term implications of victimization on academic motivatio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Education, 18(1), 185-20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