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중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vergeneralization i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Rumination on Depression in Middle-ag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적 기억과 중년기 우울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자전적 기억의 처리 방식과 우울의 관계, 나아가 자전적 기억 중 긍정정서 기억 그리고 부정정서 기억과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반추의 두 측면인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반추와 숙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탐색하였다. 259명의 중년기 성인의 응답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고, 자료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부정정서 기억, 반추의 하위요인인 반추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 가능성을 유의하게 예측한 반면, 긍정정서 기억과 숙고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중년기 성인에게 있어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 그리고 부정적인 정보와 정서에 수동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반추적 사고 경향이 중년기 우울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중년기 우울 예방과 대처에 대한 인지적 개입의 측면에서 논의되었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중년기, 우울, 과일반화 기억, 긍정정서 기억, 부정정서 기억, 반추, overgeneralization memory, rumination, middle age, positive emotional memory, negative emotional memo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pression in middle-age individuals. This study addressed how the process of autobiographical memory is related to middle-age depress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memory. Based on previous findings indicating that rumination has differential effects on depression, two aspects of rumination, brooding and pondering, were explored for their effects on depression. Data were obtained from 259 middle-age individuals and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generalized autobiographical memory, negative emotional memory, and brooding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while positive emotional memory and pondering did not. This suggests that overgeneralized memory and rumination that focuses passively on negative information and emotions can worsen middle-age depres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evention and cognitive intervention for middle-age depression, and study limitations and addition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keywords
중년기, 우울, 과일반화 기억, 긍정정서 기억, 부정정서 기억, 반추, overgeneralization memory, rumination, middle age, positive emotional memory, negative emotional memory

참고문헌

1.

강민철, 조현주, 이종선 (2013). 우울, 불안, 수치심, 자살사고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73-896.

2.

권호인, 권정혜 (2012). 우울증의 인지적 취약성: 반추와 기억편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일반, 31(4), 975-1001.

3.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옥, 김경숙 (2016). 부부친밀감, 자기효능감, 심리적 위기감이 중년남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165-174.

5.

김병직, 오경자 (2009).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반추와 정서 억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3), 357-375.

6.

김소정, 김지혜, 윤세창 (2010).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19.

7.

김애순, 윤진 (1991). 중년기 위기감 척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73-87.

8.

김은정, 오경자 (1994). 우울증상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요인들: 3 개월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3(1), 1-19.

9.

김은지, 이은샘, 현명호 (2018). 거절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의 사회적 회피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1), 187-207.

10.

김은하, 김보라 (2018). 성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반추 하위유형의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335-354.

11.

김재순, 최외선 (2012).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19, 937- 961.

12.

김초희, 진영선, 장문선 (2014).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의 구체성 감소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1), 173-189.

13.

김현순, 김병석 (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801-818.

14.

도상금 (2000). 심리치료에서 기억의 문제. 심리과학, 9(1), 117-137.

15.

도상금, 최진영 (2003). 외상 경험 및 우울과 자서전적 기억의 일반화 경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21-341.

16.

민은실 (2017).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4), 199-207.

17.

박민주, 김은영 (2019). 모성수행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1), 325-344.

18.

손제희, 허만세 (2013).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과학연구, 29(2), 155-178.

19.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2013).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9(1), 47-56.

20.

엄미선, 조성호 (2016).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47-1071.

21.

엄현주, 전혜정 (2014). 중년기 남녀의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산업, 42(2), 35-62.

22.

예미숙, 오경자 (2012). 부정적 정서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 경험 회피와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검증. 인지행동치료, 12(1), 77-95.

23.

이 산, 오승택, 류소연, 전진용, 이건석, 이 은, 박진영, 이상욱, 최원정 (2016).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정신신체의학, 24(1), 83-93.

24.

이인혜 (2008).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633-651.

25.

이혜림, 최윤경 (2012).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2), 523-540.

26.

이희연, 하은혜 (2015). 청소년의 성별과 우울증상 간 관계에서 인지요인의 매개효과. 아시아여성연구, 54(1), 73-110.

27.

장혜경 (2018). 중년기 위기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30(1), 98-105.

28.

정해순, 김미경. (2019). 중년기의 반추적 사고가 생성감에 미치는 영향: 특성 메타기분의 매개효과와 기독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7(2), 223-255.

29.

조성연 (2019). 반추의 하위유형인 자책 및 숙고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긍정·부정 과거지향 사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조한로, 정남운 (2017).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2), 433-455.

31.

지현경 (2008).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 경향과 PTSD, 침습 및 회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최소양, 김정호, 김미리혜 (2019).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0(2), 35-54.

33.

통계청 (2107). 국가통계포털.

34.

한송이, 이봉건 (2018). 탈중심화 기법이 우울한 기분과 반추적․반성적 반응양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2), 327-344.

35.

허수진, 허재홍 (2017). 중년여성의 긍정정서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문화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2), 375- 391.

36.

Bagby, R. M., Rector, N. A., Bacchiochi, J. R., & McBride, C. (2004). The stability of the response styles questionnaire rumination scale in a sample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8(4), 527-538.

37.

Beck, A. T., Steer, R. A., Beck, J. S., & Newman, C. F. (1993).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23(2), 139-145.

38.

Bellani, M., Baiano, M., & Brambilla, P. (2011). Brain anatomy of major depression II. focus on amygdala.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20(1), 33-36.

39.

Bradley, B. P., & Mogg, K. (1994). Mood and Personality in recall of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2(1), 137-141.

40.

Brittlebank, A. D., Scott, J., Mark, J., Williams, G., & Ferrier, I. N. (1993). Autobiographical memory in depression: State or trait mark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2(1), 118-121.

41.

Connolly, C. G., Simmons, A. N., & Yang, T. T. (2017).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amygdala and treatment response in depresse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56(10), S197-S197.

42.

Conway, M. A., & Pleydell-Pearce, C. W. (2000). The construction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self-memory system. Psychological Review, 107(2), 261-288.

43.

Disner, S. G., Beevers, C. G., Haigh, E. A., & Beck, A. T. (2011). Neural mechanisms of the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2(8), 467-477.

44.

Dobson, K., & Shaw, B. (1987). Specificity and stability of self-referent encoding in clinical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6(1), 34-40.

45.

Fivush, R., Bohanek, J. G., & Zaman, W. (2011). Personal and intergenerational narratives in relation to adolescents' well‐being.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11(131), 45-57.

46.

Freeman, A. T., Santini, Z. I., Tyrovolas, S., Rummel-Kluge, C., Haro, J. M., & Koyanagi, A. (2016). Negative perceptions of ageing predict the onset and persist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Findings from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irish longitudinal study on ageing (TILD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99, 132-138.

47.

Gotlib, I. H., & McCann, C. D. (1984). Construct accessibility and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2), 427-439.

48.

Hamilton, J. P., Siemer, M., & Gotlib, I. H. (2008). Amygdala volum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 meta-analysi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Molecular psychiatry, 13(11), 993-1000.

49.

Holland, J. M., Chong, G., Currier, J. M., O’Hara, R., & Gallagher-Thompson, D. (2015). Do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mote meaning-making? A preliminary test in the context of geriatric depression.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88(1), 120-124.

50.

Hyland, M. E. (1987).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of psychological mechanisms of depression: Comparison and integration of several theories. Psychological Bulletin, 102(1), 109-121.

51.

John, W. Santrock. (2016). 전생애발달의 이론. (이지연, 임춘희, 김수정 역). 서울: 교육과학사.

52.

Joormann, J., Dkane, M., & Gotlib, I. H. (2006). Adaptive and maladaptive components of rumination? Diagnostic specificity and relation to depressive biases. Behavior Therapy, 37(3), 269-280.

53.

Keisari, S., & Palgi, Y. (2017). Life-crossroads on stage: Integrating life review and drama therapy for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1(10), 1079-1089.

54.

Kuehn, B. M. (2014). Rate of suicide increases in middle age: Primary care key to suicide prevention. Jama, 312(17), 1727-1728.

55.

Lyubomirsky, S., & Nolen-Hoeksema, S. (1995).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on negative think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1), 176-190.

56.

Lyubomirsky, S., Caldwell, N. D., & Nolen-Hoeksema, S. (1998). Effects of ruminative and distracting responses to depressed mood on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166-177.

57.

Mathews, A., & MacLeod, C. (2005). Cognitive vulnerability to emotional disorder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 167-195.

58.

McFarland, C., & Buehler, R. (1998). The impact of negative affect on autobiographical memory: The role of self-focused attention to moo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6), 1424-1440.

59.

McLaughlin, K. A., & Nolen-Hoeksema, S. (2011). Rumination as a transdiagnostic factor in depression and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9(3), 186-193.

60.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61.

Oyama, H., & Sakashita, T. (2017). Community-based screening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ffects suicide rates among middle-aged japanese adults - ERRATUM. Psychological Medicine, 47(8), 1514-1514.

62.

Seidel, E., Satterthwaite, T. D., Eickhoff, S. B., Schneider, F., Gur, R. C., Wolf, D. H., & Derntl, B. (2012). Neural correlates of depressive realism - an fMRI study on causal attribution in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8(3), 268-276.

63.

Spitzer, R. L., Kroenke, K., Williams, J. B., &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rimary Care Study Group. (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Jama, 282(18), 1737-1744.

64.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65.

Suslow, T. et al. (2010). Automatic mood-congruent amygdala responses to masked facial expressions in major depression. Biol. Psychiatry 67, 155-160.

66.

Teasdale, J. D., Segal, Z., & Williams, J. M. G. (1995). How does cognitive therapy prevent depressive relapse and why should attentional control (mindfulness) training help?.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3(1), 25-39.

67.

Watkins, E. (2004). Appraisals and strategies associated with rumination and wor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4), 679-694.

68.

Watkins, E. (2008). Constructive and unconstructive repetitive thought. Psychological Bulletin, 134(2), 163-206.

69.

Watkins, E. D., & Moulds, M. (2005). Distinct modes of ruminative self-focus: impact of abstract versus concrete rumination on problem solving in depression. Emotion, 5(3), 319-328.

70.

Watkins, E., & Teasdale, J. D. (2001). Rumination and overgeneral memory in depression: Effects of self-focus and analytic thinking.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2), 353-357.

71.

Whitmer, A. J., & Gotlib, I. H. (2013). An attentional scope model of rumin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39(5), 1036-1061.

72.

Williams, J. M. G., & Broadbent, K. (1986). Autobiographical memory in suicide attemp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2), 144-149.

73.

Williams, J. M. G., & Dritschel, B. H. (1988). Emotional disturbance and the specificity of autobiographical memory. Cognition & Emotion, 2(3), 221-234.

74.

Williams, J. M. G., & Scott, J. (1988). Autobiographical memory in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18(3), 689-69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