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관계상실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Relationship Los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관계상실 경험이 어떠한지, 어떻게 관계 상실의 경험을 극복하고 성장에 이르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시간성, 사회성, 장소를 의미하는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을 염두에 두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로는 관계상실의 경험이 외상 후 성장과정에 있어 자신의 삶에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보고하는 40대 중반∼50대 초반의 중년기 여성 3명을 선정하였다. 관계상실을 경험한 중년여성들은 상실의 비탄을 경험하면서도 남은 자로서의 삶에 대해 책임을 다하는 존재로 변화되어 갔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및 정체성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이 도출한 관계상실로 인한 외상 후 성장경험의 의미는 ‘뿌리 채 흔들려 무너져 내림’, ‘이전의 원가족 경험이 고통의 불씨가 됨’,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시도들’, ‘고통을 장대 삼아 뛰어넘기’, ‘책임을 다하는 존재로 살아냄’, ‘상실의 고통이 삶에게 주는 선물’, ‘자기 자신이 되어가는 여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상실로 인한 외상 후 성장 경험의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lationship loss, middle-aged women, posttraumatic growth, narrative inquiry, 관계상실, 중년여성, 외상 후 성장, 내러티브 탐구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middle-aged women overcome relationship loss and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Data were analyzed in a 3-dimensional narrative space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using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narrative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 middle-aged women in their mid-40s to early 50s who reported that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 loss was an important event in their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The nar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transformed into responsible beings through grieving relationship loss, and that positive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identity were integrated. The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relationship loss included: ‘roots shakes,’ ‘family experience becomes pain,’ ‘attempts to find a solution,’ ‘jump over pain,’ ‘surviving as a responsible person,’ ‘the gift of suffering,’ and ‘the journey to be yourself.’ The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s following relationships loss are discussed.

keywords
relationship loss, middle-aged women, posttraumatic growth, narrative inquiry, 관계상실, 중년여성, 외상 후 성장,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1.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삶의 인식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75- 516.

2.

김보라, 신희천 (2010). 자아탄력성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17- 136.

3.

김수진 (2016).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과 중단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4.

김아라 (2015). 관계상실 경험 중년기 성인의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5.

김영애, 최윤경 (2017).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199-228.

6.

김옥희, 김연경 (2016).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507-517.

7.

김지원 (2016). 정서인식 명확성이 관계상실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8.

김태사, 안명희 (2013).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853- 871.

9.

김현정, 함경애, 이동훈 (2014).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87-806.

10.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11.

노치경, 홍혜영 (2016).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6), 1-20.

12.

류태호, 이규일 (2009). 좋은 체육수업을 지향하는 세 교사의 수업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2(2), 45-69.

13.

박민정 (2006).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아시아교육연구소, 7(4), 27-47.

14.

박선정 (2015). 관계 상실 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0, 71-94.

15.

박 신, 서 정, 현명호 (2012). 내재적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 및 감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449-460.

16.

박정애 (2017).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후 성장 과정. 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대학원.

17.

박지은, 정남운 (2016).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7(2), 167-185.

18.

박철옥 (2015). 복합외상경험자의 상담을 통한 자기의 회복과정: 근거이론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

배상정, 양난미 (2014).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597-618.

20.

백미영 (2017). 중년여성의 가족 사별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외상후 성장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21.

손연지, 김진숙 (2015). 중학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6), 425-445.

22.

송현, 이영순 (2013).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753-3767.

23.

송현심, 성승연 (2017). 대학생과 중년성인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843-870.

24.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25.

심미영 (2015). 중년기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26.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1.

27.

안현의, 주혜선 (2011).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 의 증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869-887.

28.

양난미, 이은경, 송미경, 이동훈 (2015).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75-197.

29.

염지숙 (2001).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그 방법과 적용. 질적연구학회, 12, 37-45.

30.

오은아, 박기환 (2011). 사후가정사고와 사고통제방략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77-593.

31.

유영모 (2006). 다석강의. 현암사.

32.

유혜령 (2015).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가족과 상담, 5, 1-20.

33.

유희정 (2014).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1), 59-85.

34.

이동훈, 이수연, 윤기원, 김시형, 최수정 (2017).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이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227-253.

35.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36.

이유리, 장현아 (2016). 관계 상실 경험 여고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65-80.

37.

임선영 (2013).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38.

임선영, 권석만 (2013).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방략과 신념체계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3), 567-588.

39.

정소희 (2017). 북한이탈주민의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40.

정연자, 이인수 (2017). 사고사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경험. 가족과 가족치료, 25, 471-495.

41.

조진희, 정문경 (2017).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 문제중심 대처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2(4), 343-357.

42.

주소희 (2015). 이혼가정자녀의 부모이혼경험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9, 97-131.

43.

주정흔 (2010). 즐거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3(3), 71-102.

44.

최선재, 안현의 (2013).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323-341.

45.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46.

최재인, 성승연 (2016). 외상후 성장과 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의미의 매개효과: 중년기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29-854.

47.

홍영숙 (2015).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3(1), 5-21.

48.

Allen, J. G. (2010). 트라우마의 치유[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권정혜 등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5년 출판)

49.

Armour, M. (2003). Meaning making in the aftermath of homicide. Death Studies, 27(6), 519-540.

50.

Anderson, H., & Mitchell, K. R. (1983). All our losses, all our griefs: resources for pastoral care.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51.

Aneshensel, C. S., & Stone, J. D. (1982).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12), 1392-1396.

52.

Astin, M. C., Lawrence, K. J., & Foy, D. W.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battered women: Risk and resiliency factors. Violence and victims, 8(1), 17.

53.

Atwool, N. (2006). Attachment and resilience: Implications for children in care. Child Care in Practice, 12(4), 315-330.

54.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1(1), 1-34.

55.

Boelen, P. A., & Reijntjes, A. (2009). Negative cognitions in emotional problems following romantic relationship break ups.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Investigation of Stress, 25(1), 11-19.

56.

Bryan, C. J., Ray-Sannerud, B., & Heron, E. A. (2015).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 dimension of resilience for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risk for suicidal ideation among Air Force personnel. Journal of Contextual Behavioral Science, 4(4), 263-268.

57.

Calhoun, L. G., & Tedeschi, R. G. (Eds.).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Routledge.

58.

Calhoun, L. G., & Tedeschi, R. G. (2015).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강연신 등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3년 출판).

59.

Carlson, C. (1978). Behavioral concepts and nursing interventon ‘Loss’ in chapter 4. 2nd ed. New York, J. B.; Lippincott. 72-112.

60.

Clandinin, D. J. (2015). 내러티브탐구의 이해와 실천[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염지숙 등 역). 서울: 교육과학사(원전은 2013년 출판).

61.

Clandinin, D. J., Caine, V., & Lessard, S. (2018). The relational ethics of narrative inquiry. Routledge.

62.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3.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64.

Collins, R. L., Taylor, S. E., & Skokan, L. A. (1990). A better world or a shattered vision? Changes in life perspectives following victimization. Social cognition, 8(3), 263-285.

65.

Cordova, M. J., Cunningham, L. L., Carlson, C. R., & Andrykowski, M. A. (2001).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20(3), 176.

66.

Danforth, J. Conrad Glass Jr, M. (2001).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s. Death studies, 25(6), 513-529.

67.

Davis, C. G., & Nolen-Hoeksema, S. (2001). Loss and meaning: How do people make sense of los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4(5), 726-741.

68.

Derrida, J. (2003). 아듀 레비나스 [The work of mourning]. (문성원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전은 2003년 출판)

69.

Downey, G., Silver, R. C., & Wortman, C. B. (1990). Reconsidering the attribution- adjustment relation following a major negative event: Coping with the loss of a chil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925.

70.

Fabry, J. B. (1980). The pursuit of meaning (Rev. ed.). New York: Harper & Row.

71.

Frazier, P., Tennen, H., Gavian, M., Park, C., Tomich, P., & Tashiro, T. (2009). Does self-reported posttraumatic growth reflect genuine positive change?. Psychological Science, 20(7), 912-919.

72.

Gilbert, K. R. (2002). Taking a narrative approach to grief research: Finding meaning in stories. Death studies, 26(3), 223-239.

73.

Gillies, J., & Neimeyer, R. A. (2006). Loss, grief, and the search for significance: Toward a model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bereavement.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9(1), 31-65.

74.

Gilligan, C. (1982). Ina different voice. Cambridge: Harvard UP.

75.

Goldstein, S., & Brooks, R. B. (2013). Why study resilience?. In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pp. 3-14). Springer, Boston, MA.

76.

Heidegger, M. (1998). 존재와 시간 [SEIN UND ZEIT]. (이기상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전은 1927년 출판).

77.

Helson, R., Stewart, A. J., & Ostrove, J. (1995). Identity in three cohorts of midlife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3), 544.

78.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79.

Joseph, S. (2018). “역경을 삶의 지혜로 바꾸는 안내서” 외상 후 성장의 과학 [What doesn’t kill us The new psychology of posttraumatic growth].(임선영 등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3년 출판).

80.

Kelly, G. (2003).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Volume two: Clinical diagnosis and psychotherapy. Routledge.

81.

Kendler, K. S., Hettema, J. M., Butera, F., Gardner, C. O., & Prescott, C. A. (2003). Life event dimensions of loss, humiliation, entrapment, and danger in the prediction of onsets of major depression and generalized anxiet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0(8), 789-796.

82.

Levinson, D. J. (2004).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A Fascinating Exploration of the Events, Thoughts, and Life Experiences That All Women Share]. (김애순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원전은 1996년 출판).

83.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17(1), 11-21.

84.

Lippert, L. (1997). Women at midlife: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women's adult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6(1), 16- 22.

85.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a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1), 41-48.

86.

McAdams, D. P. (2001). The psychology of life stori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2), 100.

87.

Michael, S. T., & Snyder, C. R. (2005). Getting unstuck: The roles of hope, finding meaning, and rumination in the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Death studies, 29(5), 435-458.

88.

Neimeyer, R. A. (1998). Death anxiety research: The state of the art.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36(2), 97-120.

89.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Moral Education.

90.

Park, C. L., & Ai, A. L. (2006). Meaning making and growth: New directions for research on survivors of trauma. Journal of Loss and Trauma, 11, 389-407.

91.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 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92.

Park, C. L., & Folkman, S. (1997).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15.

93.

Pleux, D. (2010). Un enfant heureux. Odile Jacob.

94.

Polkinghorne, 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Suny Press.

95.

Prati, G., & Pietrantoni, L. (2009). Optimism,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as factors contributing to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4(5), 364-388.

96.

Riessman, C. K., & Speedy, J. (2007). Narrative inquiry in the psychotherapy professions.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426-456.

97.

Rosenblatt, P. C. (2016). Parent grief: Narratives of loss and relationship. Routledge.

98.

Rothschild, B. (2003). The body remembers casebook: Unifying methods and models in the treatment of trauma and PTSD. WW Norton & Company.

99.

Rubin, L. B. (1979). Women of a certain age: The midlife search for self. New York: Harper & Row.

100.

Ryff, C. D., & Singer, B. (2003). Flourishing under fire: Resilience as a prototype of challenged thriving.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15-36.

101.

Sears, S. R., Stanton, A. L., & Danoff-Burg, S. (2003). The yellow brick road and the emerald city: benefit finding, positive reappraisal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2(5), 487.

102.

Sofka, C, J. (1997). Loss History Checklist. In J. D. Maanino (Ed.), Grieving days, healing days, (p.20). Boston: Allyn & Bacon.

103.

Taku, K., Calhoun, L. G., Cann, A., & Tedeschi, R. G. (2008).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eath Studies, 32(5), 428-444.

104.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105.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106.

Urcuyo, K. R., Boyers, A. E., Carver, C. S., & Antoni, M. H. (2005). Finding benefit in breast cancer: Relations with personality, coping, and concurrent well-being. Psychology & Health, 20(2), 175-192.

107.

Van der Kolk, B. (2016). 몸은 기억한다: 트라우마가 남긴 흔적들 [The body keeps the score]. (제효영 역, 김현수 감수). 서울: 을유문화사(원전은 2014년 출판).

108.

Van der Kolk, B. A., Van der Hart, O., & Burbridge, J. (1995).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PTSD. Trauma Clinic.

109.

Weiss, T. (2002).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2), 65-80.

110.

Werner, E. E. (1989).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A longitudinal perspective. Children at risk: Assessment, longitudinal research, and intervention, 158-172.

111.

Williams, M. B., & Poijula, S. (200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워크북[The PTSD workbook: Simple, effective techniques for overcoming traumatic stress symptoms]. (오수성 등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2년 출판).

112.

Wolynn, M. (2017). It didn't start with you: how inherited family trauma shapes who we are and how to end the cycle. Pengui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