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대상화 이론을 바탕으로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성적 대상화 경험과 내면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228명의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조절된 매개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된 매개효과는 일부가 지지되었다. 첫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재한 중국 여자 유학생의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이 내면화, 신체감시, 신체수치심을 매개하여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은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만을 조절하였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차별감이 조절하는 성적 대상화 경험과 신체감시의 관계가 신체감시와 신체수치심을 매개로 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했고, 후속 연구를 제언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eating behavior through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mong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Results from 228 femal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ndir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mediation by internalization,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Additio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body surveillance. Finally, perceived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 on negative eating behavior through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y practices are discussed.
국가교육통계 (2019). 간추린 교육통계-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 (2019). 2019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정보. 서울: 교육부.
권양이 (2008).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초기 적응에 관한 질적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14(1), 301-333.
김동수, 김도환, 정태연 (2011). 외국인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인식-6개 외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1-23.
김명선 (2014). 재한 중국인 노동자의 지각된 차별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아, 김태호 (2011).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정체감 발달단계에 따른 차별지각과 차별대처방식. 다문화교육연구, 4(1), 1-17.
김시연, 백근영, 서영석 (2010). 대인관계에서의 성적 대상화 경험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가 섭식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무용 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13-634.
김시연, 서영석 (2011). 음악방송 노출을 통한 성적 대상화 경험이 여자고등학생의 부정적 섭식행동, 수행불안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1137-1160.
김영란 (2017). 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6(1), 43-95.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2007).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329-349.
김재우 (2005). 재한 중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차별과 대처방식이 문화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영, 최훈석 (2011). 결혼이주여성의 인권침해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1), 1-4.
김현숙 (2019).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불안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연, 신리나, 황하성 (2019). 중국인 유학생의 차별경험이 유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1), 81-96.
나임순 (2006).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연구, 5(2), 159-197.
노수정 (2019. 9. 12). 한국어 교재 성 역할 고정관념 지적에 국립국어원 “절판 계획”. 노컷뉴스.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269423
대한비만학회 (2019). 비만의 진단과 평가. 서울: 대한비만학회
류애리, 송원영 (2013).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2), 345-365.
류한수 (2016).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345-356.
박은영 (2012).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선, 천지은 (2017).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우울, 음주습관 간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33(4), 97-120.
변지철 (2015. 5. 19). 중국 여성 유학생 성폭행한 20대 ‘증거 부족’ 무죄.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519085300056
배병렬 (2011). Amos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석명도, 김도연, 김종원 (2012). 중국 유학생들의 BMI에 따른 식습관, 운동습관 및 체형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3(1), 31-42.
석향란 (2017). 재한중국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우울의 관계: 문화 정체성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 명 (2013). 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은정 (2007). 공적 자기의식, 신체에 대한 감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35-750.
송민애 (2007). 다문화사회에서 이주여성의 몸 경험-유목적 체현을 위한 목회상담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엄재희 (2020. 1. 2). 편견․고정관념 갇힌 EBS 이주민 프로그램, 변화 필요. 미디어 오늘. https://n.news.naver.com/article/006/0000100437
여수수 (2019). 중국대학(원)생과 중국유학생의 한국기초화장품 사용실태와 만족도 비교.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왕 멍 (2012). 대경 중국 유학생의 외모관리행동분석. 경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 양 (2018). 중국 대학생의 신체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 연 (2016). 한국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 시청이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신체상불만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 연, 남인용 (2018). 한국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 시청이 중국인 유학생들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상불만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2(4), 132-163.
이민규, 이영호, 백세현, 손창현, 정영조, 홍성국, 장필립, 윤애리 (1998). 한국판 식사 태도 검사 표준화 연구: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 6(2), 155-175.
이상선, 오경자 (2003).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13-926.
이수자 (2004). 이주여성 디아스포라: 국제성별분업, 문화혼성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학, 38(2), 299-339.
이승종 (1996).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상란, 이지안 (2017).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12), 189-199.
전소라, 손정락 (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폭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841-859.
전지현, 이미숙 (2014). 미디어 관여도가 외모평가, 외모스트레스,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8(4), 518-527.
전지현, 이미숙 (2015). 미디어 접촉반응에 따른 외모지향과 외모평가, 외모 관련 상품 구매행동 차이 연구-국내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9(4), 576- 585.
정진경, 김재우 (2005). 차별지각, 차별에 대한 대처전략과 문화적응유형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22(2), 295-321.
제빙석, 김빛여울, 조경숙, 강진령 (2018).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3), 43-63.
주희정 (2010).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대학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교육문제연구, 3(36), 135-159.
진 나 (2013). 재한 중국유학생이 “지각된 차별감”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진사선 (2019). 캠퍼스 내 중국인 유학생들의 차별경험: 개념도방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상원 (2014. 7. 9). 창원대 교수, 중국인 유학생 성추행 의혹. 한겨레.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646299.html
최정 (2016).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통제소재와 지각된 차별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정희 (2008).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73-496.
홍수남 (2013). 한국거주 중국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Kor J Aesthet Cosmetol, 11(3), 585-591.
Aslan, S. M. (2018). Latinx Women’s Disordered Eating: Considering Culturally Relevant Variables in the Objectification Theory Frame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Aubrey, J. S. (2007). The Impact of Sexually Objectifying Media Exposure on Negative Body Emotions and Sexual Self-Perception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Body Self-Consciousnes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10, 1-23.
Augustus-Horvath, C. L., & Tylka, T. L. (2009).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as it predicts disordered eating: Does women’s age matte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6, 253-265.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46.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Bentler, P. M., & Chou, C.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6(1), 78-117.
Brewster, M. E., Velez, B. L., Breslow, A. S., & Geiger, E. F. (2019). Unpacking body image concerns and disordered eating for transgender women: the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minority stress.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66, 131-142.
Buchanan, T. S., Fischer, A. R., Tokar, D. M., & Yoder, J. D. (2008). Testing a culture-specific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regarding African American women’s body image.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6, 699-718.
Buchanan, N. T., Settles, I. H., Wu, H. C., & Hayashino, D. S. (2018). Sexual harassment, racial harassment, and well-being among Asian American women: An intersectional approach. Women & Therapy, 1-20.
Cheng, H.-L., Tran, A. G. T. T., Miyake, E. R., & Kim, H. Y. (2017). Disordered eating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women: A racially expanded model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4(2), 179-191.
Danial, S. & Bridges, S. K. (2010). The drive for muscularity in men: Media influences and objectification theory. Body Image, 7(1), 32-38.
Fredrickson, B. L., & Roberts, T.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173- 206.
Garner, D. M., & Garfinkel, P. E. (1979). The Eating Attitudes Test: An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ogical Medicine, 9(02), 273-279.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r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17, 81-89.
Holmes, S. C. & Johnson, D. M. (2017). Applying Objectification Theor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Victimization and Disordered Eat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5(8), 1091-1114.
Kessler, R. C., Mickelson, K. D., & Williams, D. R. (1999). The Prevalence, distribution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in United Stat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3), 208-230.
Kim, S. Y., Seo, Y. S., & Baek, K. Y. (2014). Face consciousness among South Korean women: A culture-specific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1), 24-36.
Koleoso, O. N., Akanni, O. O., & James, J. O. (2018). Body Image Objectification and Disordered Eating Attitude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of South-West Nig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School Health, 5(2), 1-5.
Kozee, H. B., & Tylka, T. L. (2006). A test of objectification theory with lesbian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0, 348-357.
Kozee, H. B., Tylka, T. L., Augustus-Horvath, C. L., & Denchik, A.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1, 176-189.
Kwan, M. Y., Gordon, K. H., & Minnich, A. M. (2018).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among ethnic minority college students. Eating behaviors, 28, 25-31.
Lei, M., & Lomax, R. G. (2005).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2(1), 1-27.
Luo, Y. J., Niu, G. F., Kong, F. C., & Chen, H. (2019). Online interpersonal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Chinese adolescent girls’ intuitive eating: The role of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and body appreciation. Eating Behaviors, 33, 55-60.
Martens, M. P. (2005). Future direc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3, 375-382.
Mckinley, N. M., & Hy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 181-215.
Mitchell, K. S., & Mazzeo, S. E. (2009). Evaluation of a structural model of objectification theory and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mong European American and African American undergraduate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3, 384-395.
Moradi, B. (2010). Addressing gender and cultural diversity in body image: Objectification theory a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heories and grounding research. Sex Roles, 63, 138-148.
Moradi, B., Dirks, D., & Matteson, A. (2005).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experiences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in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An examination and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420-428.
Moradi, B., & Rottenstein, A. (2007). Objectification theory and deaf cultural identity attitudes: Roles in deaf women’s eating disorder symptomat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 178-188.
Moradi, B., & Subich, L. M. (2003). A concomitan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of perceived racist and the sexist events to psychological distress for African American wome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1, 451-469.
Morry, M. M., & Staska, S. L. (2001). Magazine exposure: internalization, self-objectification, eating attitudes, and body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4, 269-279.
Nielson, H. E., Reel, J. J., Galli, N. A., Crookston, B. T., & Miyairi, M. (2013). Body Image and Westernization Trends among Japanese Adolescents. Health Educator, 45(1), 4-10.
Phan, T., & Tylka, T. L. (2006). Exploring a model and moderators of disordered eating with asian american college women. J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36-47.
Ping, R. A. (1996a). Estimating latent variable interactions and quadratics: The state of this art. Journal of Management, 22, 163-183.
Ping, R. A. (1996b).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A two-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9, 166-175.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ss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 185-227.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Szymanski, D. M., Carr, E. R., & Moffitt, L. B. (2011).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Clinical implications and training consider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9, 107-126.
Szymanski, D. M., Henrichs-Beck, C. (2014). Exploring sexual minority women’s experiences of external and internalized heterosexism and sexism and their links to coping and distress. Sex Roles, 70, 28-42.
Tolaymat, L. D., & Moradi, B. (2011). U.S. Muslim women and body image: Links among objectification theory constructs and the hijab.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 383-392.
Velez, B. L., Campos, I. D., & Moradi, B. (2015). Relations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racist discrimination with Latina women’s body image and mental healt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3(6), 906-935.
Williams, D. R., Yu. Y., Jackson, J., & Anderson. N. (1997). Racial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status, stress, and discrimina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3), 335-351.
Williams, D. R., Spencer, M. S., & Jackson, J. S. (1999). Race, stress, and physical health: The role of group identity, In R. J. Contrada & R. D. Asmore(Eds.), Self, social identity, and physical health: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pp.71-100).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iseman, M., & Moradi, B. (2010). Body image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in sexual minority men: A test and extension of objectification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7, 154-166.
Wu, A. D., & Zumbo, B. D. (2007). Understanding and Using Mediators and Moder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7(3), 367-392.
Zheng, Y. & Sun, Q. (2017). Testing Objectification Theory with Chinese Undergraduate Women and Me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5(4), 62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