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이버 불링 주변인으로서의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실제 사이버 불링 상황의 피해를 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로 기능하는 주변인의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7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 방어행동 척도, 도덕적 이탈 척도, 죄책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도덕적 이탈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죄책감 및 방어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도덕적 이탈은 죄책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죄책감은 방어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은 모두 유의미한 개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도덕적 이탈과 죄책감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도덕적 이탈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높은 죄책감을 유발하여 방어행동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집단 내에서 사이버 불링의 심각성을 완화하는 중요한 기능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defending behavior of bystanders in cyberbully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were 477 university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uilt and defending behavior,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ral disengagement. Moral disengage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uilt, and guil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efending behavior,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Additionally, moral disengagement and guilt had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inform our understanding of ways to reduc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yberbully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via the defending behavior of bystander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경찰청사이버안전국 (2019). 2019 사이버 범죄 통계 자료.
고아라, 최새은 (2016). 사이버 불링을 목격한 중학생 주변인의 실태 및 영향 변인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8(4), 79-95.
곽금주 (1998). 자기효능감과 도덕적 이탈 (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1), 1-11.
국립국어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김경연, 하영희 (2003). 죄책감, 도덕적 이탈, 및 친구의 규칙위반성향과 청소년의 규칙위반행동.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2), 39-52.
김민지 (2013). 정서적 공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책임감이 또래 괴롭힘 방어 행동에 미치는 효과: 지각된 인기도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김수영, 이지현 (2016).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김신아, 방은혜, 한윤선 (2017).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측요인 탐색을 위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18-33.
김은아, 이승연 (2011). 남녀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과 공감, 자기효능감, 학급규준에 대한 믿음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1), 59-77.
남미애, 홍봉선 (2015). 학교폭력 주변인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50(2), 109-144.
류설영 (1998). 대인관계 상황에서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 연구: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06).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2), 45-76.
박완경, 윤명숙 (2015). 대학생의 사이버 폭력경험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4), 5-30.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서미정 (2008). 방관자의 집단 특성에 따른 또래 괴롭힘 참여 역할행동. 아동학회지, 29(5), 79-96.
서미정 (2013). 도덕적 이탈 및 도덕적 정서가 또래 괴롭힘에 대한 가해동조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6), 123-138.
서미정, 김경연 (2006).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또래 유형의 판별변인 분석. 아동학회지, 27(6), 35-51.
송경희, 이승연 (2010). 청소년의 마음읽기 능력과 또래괴롭힘의 관계: 도덕적 이탈, 도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3), 105-124.
송수민 (2008).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심리적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5-144.
송지연 (2016). 전통적,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서란 (2014). 중학생의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도덕적 이탈과 또래 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하위논문.
신종국, 문민경 (2017). 자기애와 자기 효능감이 도덕적 책임감과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2, 411-430.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유 경, 민경환 (2002).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수치심과 죄책감. 심리과학, 11(1), 53-69.
유현욱, 홍혜영 (2015).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77-999.
이수경, 오인수 (2012). 사이버 괴롭힘과 오프라인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3(2), 137-161.
이숙정, 윤은희 (2013). 폭력적 온라인 게임의 도덕적 이탈 단서. 한국청소년연구, 24(1), 219-241.
이승연 (2014). 중학생의 공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규준과 또래 괴롭힘 방어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89-112.
이영기 (2016).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아 방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연구논총, 37(1), 255-277.
임상수 (2015). 반사이버불링 교육을 위한 체계적 접근. 윤리연구, 100, 95-130.
전대성, 김동욱 (2015).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사이버 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 불링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9(3), 157-180.
정아혜 (2014).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영은 (2017). 사이버 불링 상황에서 대학생의 주변인 행동 의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 411.
최기원 (2012). 남녀 중학생의 도덕적 정서와 또래괴롭힘 방어 및 방관행동의 관계: 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유진, 전승우, 박준우 (2018). 부정적 정서와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담뱃갑 경고그림 평가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2(1), 199-232.
풍일척 (2018). 사이버 불링이 학습성과와 정서조절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5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통계 자료.
홍명기 (2018).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사이버 불링에 대한 연구: 현실친구와 가상친구의 영향력에 대한 비교.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솔지 (2014). 공감, 공정성, 도움행동의도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2), 39-60.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lbiero, P., Benelli, B., & Altoè. (2008). Determinants of adolescents’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Journal of Adolescence, 31(1), 93-105.
Albouza, Y., d’Arripe-Longueville, F., & Corrion, K. (2017). Role of resistiv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aggressiveness in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Research and Psychology, 5(1), 209-217.
Bandura, A.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in cultural context. Applied Psychology, 51(2), 269-290.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 Pastorelli, C. (1996).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2), 364-374.
Barchia, K., & Bussey, K. (2011). Predictors of student defenders of peer aggression victims: Empathy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5(4), 289-297.
Basil, D., Ridgway, N. M., & Basil, M. (2008). Guilt and giving: A process model of empathy and efficacy. Psychology & Marketing, 25(1), 1-23.
Beran, T., & Li, Q.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bullying and school bullying. The Journal of Student Wellbeing, 1(2), 16-33.
Bonanno, R. A., & Hymel, S. (2013). Cyber bullying and internalizing difficulties: Above and beyond the impact of traditional forms of bully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2(5), 685-697.
Brody, N., & Vangelisti, A. L. (2016). Bystander intervention in cyber bullying. Communication Monographs, 83(1), 94-119.
Fida, R., Tramontano, C., Paciello, M., Ghezzi, V., & Barbaranelli, C. (2018). Understanding the interplay among regulatory self-efficacy, moral disengagement, and academic cheating behaviour during vocational education: a three- wave study. Journal of Business Ethics, 153(3), 725-740.
Floyd, D. L., Prentice-Dunn, S., & Rogers, R. W. (2000).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0(2), 407-429.
Gini, G. (2006). Social cognition and moral cognition in bullying: What’s wrong?. Aggressive Behavior: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of Aggression, 32(6), 528-539.
Hawkins, D., Pepler, D. J., & Craig, W. M. (2001).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peer interventions in bullying. Social Development, 10(4), 512-527.
Johnson, J. F., & Connelly, S. (2016). Moral disengagement and ethical decision-making: The moderating role of trait guilt and shame.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15(4), 184-189.
Lancaster, B. P. (1999). Defining and interpreting suppressor effects: Advantages and limitations. In B. Thompson (Ed.), Advances in social science methodology (pp. 139-148). Stamford, CT: JAI Press.
Lei, M., & Lomax, R. G. (2005). The effect of varying degrees of nonnormality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2(1), 1-27.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Menesini, E., & Camodeca, M. (2008). Shame and guilt as behaviour regulators: Relationship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and prosocial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2), 183-196.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 K., Osterman, K., & Kaukiainen, A.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 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1), 1-15.
Salmivalli, C., Voeten, M., & Poskiparta, E. (2011). Bystanders matter: Associations 158 between reinforcing, defending, and the frequency of bullying behavior in classroom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0(5), 668-676.
Schenk, A. M., & Fremouw, W. J. (2012). Prevalence, psychological impact, and coping of cyberbully victim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chool Violence, 11(1), 21-37.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angney, J. P. (1998). How does guilt differ from shame?. In Guilt and children (pp. 1-17). Boston: Academic Press.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GuilfordPublications (pp.46-48). New York: Guilford Press.
Tangney, J. P., Wagner, P. E., & Gramzow, R. (1989).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 Fairfax, VA: George Mason University.
Thornberg, R., & Jungert, T. (2013). Bystander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Basic moral sensitivity, moral disengagement and defender self-efficacy. Journal of Adolescence, 36(3), 475-483.
Witte, K. (1992).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Communication Monographs, 59(4), 329-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