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수치심이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총 300명의 20대 성인(남자 50%, 평균 연령 26.2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치심이 정서인식을 저하시킨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대해 수치심의 영향보다 취약한 자기개념의 영향이 혼입된 결과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수치심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상황에 따른 수치심 척도를 이용하여 수치심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치심과 정서인식의 관계는 자기개념명확성에 의해 조절되었다. 자기개념명확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수치심이 증가할 때 정서인식 역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자기개념명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수치심과 정서인식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개념명확성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수치심, 내면화된 수치심, 심리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취약한 자기개념의 영향을 배제하면 수치심이 정서인식 능력을 저해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수치심이 병리적으로 과해석 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능적인 수치심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influence of vulnerable self-concept was compound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shame lowered emotional awareness. Shame was conceptually distinguished from internalized shame, and measured with shame-inducing situation scale. A total of 300 adults (50% men, average age 26.2 years) particip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SCC) on the relation between shame and emotional clarity were verified. While sha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otional clarity in the high SCC group,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motional clar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low SCC group. The group with low SCC had significantly higher shame,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an the high SCC group. This results confirms that shame does not impede the ability to recognize emotions if the influence of vulnerable self-concept is excluded. The authors discuss the possibility that shame has been interpreted as overly pathological in previous studies, and the need to distinguish functional shame from internalized shame.
강미옥 (2018).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인식명학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현석, 민경환, 김민희 (2012).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3-88.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 진단검사 실시요강(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ersion). 중앙적성연구소.
김대익 (1998). 한국인의 자아개념 명료성에 대한 연구: 성격, 자의식, 행동에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경 (1998). 정서주의력, 정서인식의 명확성,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가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경, 현명호 (2013).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및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61-176.
김혜경 (2010).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 및 자기개념 명확성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율, 김영근 (2018). 정신화, 고통 감내력 및 경험회피의 관계: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219-1238.
문경하 (2007).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은주, 최해연 (2015).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명료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1-16.
박윤선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수희 (2002). 자기존중감, 자기명확성과 타인의 평가에 따른 정서적 반응.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민수 (2014).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이버섹스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수진, 홍혜영 (2014).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정서인식명료성과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1(4), 95-116.
양윤경, 김정규 (2013). 수치심과 편집성향의 관계-자기개념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3(1), 19-31.
옥수정 (2001). 억압적 성격성향자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조절방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강연, 김정규 (2019).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5(2), 135- 153.
유경, 민경환 (2002).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수치심과 죄책감 Shame and Guilt. 심리과학, 11(1), 53-69.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과학연구소.
이경희, 김봉환 (2010).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69-384.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7.
이인숙 (2018). 수치심 상황 질문지의 개발과 타당화 및 수치심 경험 하위유형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1-670.
이인정, 최해경 (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출판.
이지연 (2008).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 373.
임전옥, 장성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의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 259- 275.
정소라, 현명호 (2015). SNS 이용자의 상향비교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703-717.
조소현 (2005). 정서 강도와 정서 인식의 명확성이 자기 파괴적 충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식 행동과 중독적 인터넷 사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유경 (2012). 초심상담자의 사적자의식,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역전이 활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은영 외 11인 (2014). 눈먼 자들의 국가. 서울: 문학동네.
차경림 (2002).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정서지능 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하나 (2018). 수치심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학상담적 연구: 유교사상의 인간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해연 (2013). 정서처리유형의 구분에 따른 정서경험과 대처방식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1), 1-15.
최해연, 민경환, 이동귀 (2008). 정서표현신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9(3), 1063-1080.
홍지선, 김수임 (2017). 국내 수치심 연구 동향: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6), 133-158.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 Newbury Park, CA: Sage.
Andrews, B. (1998). Methodological and definitional issues in shame research. In P. Gilbert, & B. Andrews (Eds.), Shame: Interpersonal behavior, psychopathology, and culture (pp 39-5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arrett, K. C. (1995). A fundmentalist approach to shame and guilt.” In J. P. Tangney, & K. C. Fisher(Eds.),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pp.25-63). New York: Guilford Press.
Bradshaw, J. (2002). 수치심의 치유 [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고영주, 김홍찬 역). 서울: 한국기독교상담연구원 (원전은 1988에 출간).
Brian L., Kostadin K., & Victoria S., Toni S. (2014). Shame and the Motivation to Change the Self Emo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6), 1049-1061.
Broucek, F. J. (1991). Shame and the Self. New York: The Guilford Press.
Campbell, J. D., Assanand, S., & Di Paula, A. (2003). The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and its relation to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71(1), 115-140.
Campbell, J. D., & Di Paula, A. (2002). Perfectionistic self-beliefs: Their relation to personality and goal pursuit. In G. L. Gordon,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p. 181-19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ampbell, J. D., Trapnell, P. D., Heine, S. J., Katz, L. M., Lavalle, L. F., & Lehman, D. R. (1996).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1), 141-156.
Clair, M. S. (2015).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 [Object Relations and Self Psychology: An Introduction]. (안석모 역). Seoul: Cengage Learning. (원전은 2003에 출판).
Cook, D. R. (1987).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2), 197-215.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Derogatis, L. R., & Melisaratos, N. (1983). The brief symptom inventory: An introductory report. Psychological medicine, 13(3), 595-605.
Epstein, N., & Falconier, M. (2011). Shame in couple therapy: Helping to heal the intimacy bond.” In J. P. Tangney, & R. L. Dearing (Eds.), Shame in the therapy hour (pp. 167-193).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Eric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p. 168.
Ferguson, T. J., & Stegge, H. (1995). Emotional states and traits in children: The case of guilt and shame. In J. P. Tangney, & K. Fischer(Eds.),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pp. 174-197). New York: Guilford Press.
Fischer, K. W., & Tangney, J. P. (1995). Self-conscious emotions and the affect revolution: Framework and overview.” In J. P. Tangney, & K. W. Fischer (Eds), Self-conscious emotions: The psychology of shame, guilt, embarrassment, and pride (pp. 3-24). New York: Guilford.
Gilbert, P., Allan, S., & Goss, K. (1996). Parental representations, shame, interpersonal problems, and vulnerability to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3(1), 23-34.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feeling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49(1), 49-59.
Greenberg, L. S., & Johnson, S. M. (1988). Emotionally focused therapy for couples. New York: Guilford Press.
Guerrettaz, J., Chang, L., von Hippel, W., Carroll, P. J., & Arkin, R. M. (2014). Self-Concept Clarity: Buffering the Impact of Self-Evaluative Information. Individual Differences Research, 12(4), 180-190.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Kohut, H. (1971). Analysis of the self: systematic approach to treatmen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s. Madis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Krosnick, J., & A. Chang, L. (2001). The representativeness of national samples: comparisons of an RDD telephone survey with matched Internet surveys by Harris Interactive and Knowledge Network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Public Opinion Research. Available at: http://www.psy.ohio-state.edu/social/krosnick.htm.
Lansky, M. R. (1999). Shame and the idea of a central affect. Psychoanalytic Inquiry, 19, 347-361.
Lee-Flynn, S. C., Pomaki, G., DeLongis, A., Biesanz, J. C., & Puterman, E. (2011). Daily Cognitive Appraisals, Daily Affect, and Long-Term Depressive Symptoms: The Role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Stress Proc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7(2), 255-268.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Lopez, M. A., & Heffer, R. W. (1998).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 victims of childhood physical abuse. Child Abuse, & Neglect, 22(3), 183-195.
Lutwak, N., Panish, J., & Ferrari, J. (2003). Shame and guilt: characterological vs. behavioral self-blame and their relationship to fear of intimac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4), 909-916.
Michelle N. S., & James W. K. (2015). 정서심리학 2판 [Emotion (2th)]. (민경환, 이옥경, 이주일, 김민희, 장승민, 김명철 역). 서울: Cengage Learning. (원전은 2005년에 출판)
Nathanson, D. L. (1992). Shame and pride: Affect, sex, and the birth of the self. New York: Norton.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Monitoring and labeling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9), 934-949.
Tangney, J. P. (1996).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34, 741-754.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Teyber, E., & McClure, F. H. (2011).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6판. [Interpersonal process in therapy: an integrative model (6th)]. (장미경, 김동민, 김인규, 유정이, 장춘미 역). 서울: Cengage Learning. (원전은 2010에 출판).
Van Dijk, M. P., Branje, S., Keijsers, L., Hawk, S. T., Hale, W. W., & Meeus, W. (2014). Self-concept clarity across adolescence: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nalizing symptom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3(11), 1861-1876.
Williams, B. (1993). Shame and Neces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Wilson, M. (2000). Creativity and shame reduction in sex addiction treatment.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7, 229-248.
Yontef, G. M. (1991). Recent trends in Gestalt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and what we need to learn from them. British Gestalt Journal 1(1), 5-20.
Yontef, G. (2008). 알아차림, 대화 그리고 과정 [Awareness, Dialogue and Process: Essays on Gestalt Therapy]. (김정규, 김영주, 심정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3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