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정서적 외상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on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포함한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 고통감내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을 측정하여 23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매개 및 조절효과가 포함된 통합모형에서 첫째, 정서적 외상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외상은 학교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고통감내력에도 영향을 미쳐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외상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고통감내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완전 매개된 조절효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경우 고통감내력은 정서적 외상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고통감내력이 낮은 경우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정서적 외상, 고통감내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매개된 조절효과, Career, Emotional Trauma, Distress Tolerance, Perceived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trauma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230 adolesc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Childhood Trauma, Distress Tolerance, School Adjustment, Percieved Socisal Suppor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Macro. The result of an integrated model wi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indicated that distress tolerance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trauma and school adjustment. Additionally in the effects of emotional trauma on school adjustment, distress toler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fully mediated moderation effect. When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was high, distress toler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trauma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necessity of active intervention to enhance social support of youth was discussed.

keywords
정서적 외상, 고통감내력,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매개된 조절효과, Career, Emotional Trauma, Distress Tolerance, Perceived Social Support, School Adjustment

참고문헌

1.

강화정, 이지연 (2016). 여고생의 부정적 정서와 대인불안과의 관계: 자기위로능력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4(2), 69-81.

2.

고유나 (2016).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8(1), 105-132.

3.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희, 이윤주 (2017). 학급 단위의 중학생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7), 613-641.

5.

김미경 (2015).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슬애, 하 정 (2014). 청소년의 대상관계 수준과 공감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기 위로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503-526.

7.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 학술진흥 재단 선도 연구자 지원사업 결과보고용 상세보고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6.

8.

김아영, 이명희 (2008).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구조와 학교급간 차이. 교육심리연구, 22(2), 423-441.

9.

김연희, 박경자 (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10.

김은정, 김진숙 (2008). 상담일반: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과 우울수준 간의 관계에서 정서 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9(4), 1505-1520.

11.

김종범 (2009).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6(2), 25-48.

12.

김혜성, 김혜련, 박수경 (2006).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로부터의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집단비교를 통하여. 한국아동복지학, (21), 207-232.

13.

문상희, 서수균 (2015).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6(6), 485-504.

14.

박성아 (2010).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정서에 대한 고통감내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진아 (2016). 청소년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가족치료연구, 14, 65-80.

16.

박현주 (2007). 사회적 지지와 자기 결정성이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배병렬 (2015).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분석. 서울: 청람.

18.

보건복지부 (2006). 정서적 방임 매뉴얼.http://www.mohw.go.kr.

19.

서인균, 이연실 (2016). 청소년기 학대 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4, 45-68.

20.

서한나 (2011). 초기 청소년기의 자살 생각에 관한 종단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629-646.

21.

손승희 (2018).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고통 감내력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9(1), 107-119.

22.

송현심, 성승연 (2015).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자기 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29-157.

23.

신준섭, 이영분 (1999).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7, 241-269.

24.

안동현, 장화정, 이영애, 홍강의, 이재연, 이양희, 조흥식, 곽 영 (2003). 신고된 사례의 아동학대 실태와 후유증 연구. 아동권리연구, 7, 121-139.

25.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7(1), 217-231.

26.

이나영, 하수홍, 장문선 (2017).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전위공격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2), 203-222.

27.

이동훈, 김시형, 이수연, 최수정 (2018).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정서적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371-395.

28.

이동훈, 양미진, 김수리 (2010). 청소년 자해의 이해 및 특성에 대한 고찰. 청소년 상담 연구, 18(1), 1-24.

29.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인정 (2011).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1(4), 34-62.

31.

이지영, 김은하 (2018). 긍정 정서강도와 부정 정서강도의 차이: 성격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3), 411-439.

32.

이지영, 정지현 (2016). 부정 정서강도와 적응적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21(4), 719-740.

33.

이현정, 장희순 (2014).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1), 39-59.

34.

임경란 (2019).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5), 254-276.

35.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 282.

36.

정지현, 권석만 (2013).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탈중심화와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2(3), 627- 647.

37.

정지현, 권석만 (2015). 고통 감내력의 두 측면: 주관적 인식과 행동적 반응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34(1), 227-248.

38.

조가영, 조민아 (2018).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과 분노 표현양식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597-620.

39.

최미경 (2014). 사회적지지가 남녀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가족과 환경연구, 52(6), 651-668.

40.

최성열 (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 정체감간의 관계. 아동교육, 10(1), 119-132.

41.

최정미, 우희정, 이 숙 (2006).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 관련 변인과의 인과모형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79(3), 29-41.

42.

추이현 (2002).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중학생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2003). 청소년기 우울 및 불안증상 공존 집단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27- 144.

44.

Allen, J. G. (2010). 트라우마의 치유 (권정혜 외 5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45.

Anestis, M. D., Selby, E. A., & Joiner, T. E. (2007). The role of urgency in maladaptive behavio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5(12), 3018-3029.

46.

Anka, A. V., Ashely, S. H., Carrie, M. P., Erin, C. B., Barbara, N., & Amit, B. (2013).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in relation to PTSD symptoms among trauma-exposed adults.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5(2), 235-243.

47.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48.

Banducci, A. N., Bujarski, S. J., Bonn-Miller, M. O., Patel, A., & Connolly, K. M. (2016). The impact of intolerance of emotional distress and uncertainty on veterans with co-occurring PTSD and substance use disorder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41, 73-81.

49.

Banducci, A. N., Lejuez, C. W., Dougherty, L. R., & MacPherson, L. (2017).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anxiety: Moderation by distress tolerance. Prevention science, 18(1), 20-30.

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51.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A retrospectiveself- reportmanual. SanAntonio, TX: HarcourtBrace.

52.

Bornovalova, M. A., Gratz, K. L., Daughters, S. B., Hunt, E. D., & Lejuez, C. W. (2012). Initial RCT of a distress tolerance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substance use disorde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22(1-2), 70-76.

53.

Bower, G. H. (1970). Imagery as a relational organizer in associative learn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9(5), 529-533.

54.

Browen, A., & Finkelhor, D. (1986).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 review of the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99(1), 66-77.

55.

Buchanan, A., Ten Brinke, J., & Flouri, E. (2000). Parental background, social disadvantage, public “care,”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adolescence and adult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9(11), 1415-1423.

56.

Buchanan, R. & Bowen, G. L. (2008). In the context of adult support: The influence of peer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school studenr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5(5), 397-407.

57.

Chen, X., Rubin, K. H., & Li, B. S. (1995). Depressed mood in Chinese children: Relations with school performance and family environ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6), 938-947.

58.

Clen, S. L., Mennin, D. S., & Fresco, D. M. (2011).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M. J. Zvolensky, A. Bernstein, & A. A. Vujanovic (Eds.),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 149-170). The Guilford Press.

5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 314.

60.

Cohen, S., & Syme, S. L. (1985).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and health, 3, 3-22.

61.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62.

Daughter, S. B., Lejuez, C, W., Bornovalova, M. A., Kahler, C. W., strong, D. R., & Brown, R. A. (2005). Distress tolerance as a predictor of early treatment dropout in a residential substance abuse treatment facili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4(4), 729-734.

63.

Felner, R. D., Ginter, M., & Primavera, J. (1982).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s: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0(3), 277-290.

64.

Gaher, R. M., Hofman, N. L., Simons, J. S., & Hunsaker, R. (2013). Emotion regulation deficits as mediator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borderlin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3), 466-475.

65.

Gratz, K. L., Tull, M. T., Baruch, D. E., Bornovalova, M. A., & Lejuez, C. W.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co-occurr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mong inner-city substance users: The roles of childhood maltreatment, negative affect intensity/reactiv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Comprehensive psychiatry, 49(6), 603-615.

66.

Grossman, M., & Wood, W. (1993). Sex differences in intensity of emotional experience: A social role interpre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5), 1010-1022.

67.

Harris, T., & Molock, S. D. (2000). Cultural orient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support i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among African American collegestud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4), 341-353.

68.

Herman, J. L. (1992). Trauma and recovery. New York: Basic Books.

69.

Hirsch, J. K., & Barton, A. L. (2011). Positive social support, negative social exchanges,and suicidal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9(5), 393-398.

70.

Howell, A. N., Leyro, T. M., Hogan, J., Buckner, J. D., & Zvolensky, M. J. (2010). Anxiety sensitivity, distress tolerance, and discomfort intolerance in relation to coping and conformity motives for alcohol use and alcohol use problems among young adult drinkers. Addictive behaviors, 35(12), 1144-1147.

71.

Kraemer, K. M., Luberto, C. M., & McLeish, A. C. (2013). The moderating role of distress toler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anxiety sensitivity physical concerns and panic and PTSD-related re-experiencing symptoms. Anxiety, Stress & Coping, 26(3), 330-342.

72.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73.

Loeber, R., & Farrington, D. P. (2000). Young child who commicrime: Episoemiology, developmental origins, risk, factors, early in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4), 737-762.

74.

MacKinnon, D. P., Lockwood, C. M., & Williams, J. (2004). Confidence limits for the indirect effect: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nd resampling method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1), 99-128.

75.

Muller, D., Judd, C. M., & Yzerbyt, V. Y. (2005).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6), 852-863.

76.

Muller, R. T., Fitzgerald, H. E., Sullivan, L. A., & Zucker, R. A. (1994). Social support and stress factors in child maltreatment among alcoholic familie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26(3), 438-461.

77.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78.

Schoon, I., Parsons, S., & Sacker, A. (2004). Socioeconomic adversity, educational resilience, and subsequent levels of adult adaptation.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9(4), 383-404.

79.

Selye, H. (195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Mac Graw Hill.

80.

Shaffer, A., Yates, T. M., & Egeland, B, R.(2009). The relation of emotionalmal treatment to early adolescent competence: Developmental processes in a prospective study. Child Abuse & Neglect, 33(1), 36-44.

81.

Shapiro, F & Maxfield, L, (2003). EMDR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psychotherapy treatmation. In Solomon M, F. & Siegel D, J.(Eds.). Healing Trauma’ Attactment, Mind, Body, and Brain(pp, 196-220). NY: Norton.

82.

Simmons, C. A. (2007). Speculation as to Why Women “get” PTSD More Often Than Men. Women & Therapy, 30(1), 85-98.

83.

Simons, J. S., & Gaher, R. M. (2005).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9(2), 83-102.

84.

Spear, L. P. (2000). The adolescent brain and age-related behavioral manifestations.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24(4), 417- 463.

85.

Spertus IL, Yehuda R, Wong CM, Halligan S, Seremetis SV. (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and Neglect 27(11), 1247-1258.

86.

Taylor, S., Asmundson, G. J. G., & Carleton, R. N. (2006). Simple versus complex PTSD: A cluster 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 20(4), 459-472.

87.

Thomas, A. L., & Brausch, A. M. (2020). Family and peer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icide risk in black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1-8.

88.

Vujanovic, A. A., Bonn-Miller, M. O., Potter, C. M., Marshall, E. C., & Zvolensky, M. J. (2011). An evalu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posttraumatic stress within a trauma-exposed samp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33(1), 129-135.

89.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90.

Zvolensky, M. J., Bernstein, A., & Vujanovic, A. A. (Eds.). (2011).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