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원 상담전공 준비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담관련 대학원 석사과정을 전공할 준비가 얼마나 되어있는지를 측정하는 ‘대학원 상담전공 준비도 척도(Scale of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SRMC)’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개방형 질문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구성개념을 정하고 2급 자격증을 소지한 석사학위자와 상담전공 교수진의 내용타당도 평정을 거쳐 21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상담관련 대학원 석사과정 진학 희망자 6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300명의 설문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요인, 15문항 구조의 측정 모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나머지 340명의 설문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요인, 15문항이 적합함을 재확인하였다. SRMC의 3요인은 ‘진로준비’, ‘대학원 진학준비’, ‘개인적 자질’로 명명하였다. SRMC 내적 합치도는 .801로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후, SRMC와 진로준비행동검사, 학습역량검사-인지, 진정성 척도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SRMC의 수렴 및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인지적 학습역량과 진정성에 대해 진로준비행동검사와 SRMC를 예언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증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majoring in counseling,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Scale of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Validation, 상담전공, 상담전공 준비도, 대학원 상담전공 준비도 척도, 타당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SRMC). A literature review,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develop 21 items for the SRMC.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aster-level counselors counseling psychology faculty. Next, an online survey with 640 individuals interested in pursing master’s degrees in counseling-related field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 sample of 300 participants revealed a 3–factor structure with 15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 a separate sample of 340 participants reconfirmed the model. The three factors of the SRMC were labeled as “career preparedness”, “preparedness for graduate school”,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RMC was .801.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examined via correlations with measur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arning competence on cognition, and authenticity while controlling social desirabilit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majoring in counseling,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Scale of Readiness for Majoring in Counseling, Validation, 상담전공, 상담전공 준비도, 대학원 상담전공 준비도 척도, 타당화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