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윤희윤(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계의 새로운 경영기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아웃소싱을 비판적 시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도서관계가 아웃소싱의 적실성과 기대효과를 냉정하게 분석하지 않으면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경제논리와 정보문화를 천대하는 행정논리에 대항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종국에는 위탁관리나 명칭변경에 버금가는 밀레니엄 버그로 둔갑할 수 있다. 이에 정부의 아웃소싱 정책, 공공부문 및 도서관의 도입현황을 개관한다음. 그 본질과 변종, 제반여건, 명분과 기대효과, 대상과 영역, 사서직의 전문성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급하였다. 아웃소싱이 불가피할 경우에는 대상업무를 비핵심영역으로 제한해야 하며, 장서개발 및 정보 봉사력의 저하, 사서직의 전문성 및 정체성의 훼손 등을 초래할 개연성이 많은 영역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고수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Outsourcing has been around a long time in libraries. Card catalogs of LC, and approvalplans, subscription agents and binding of journal are all forms of outsourcing that librarieshave come to accept as normal procedures. Nevertheless. outsourcing is one of the mostcontroversial topics discussed in library management today. It carries meanings ranging fromtraditionally outsourced activities to more recent outsourcing of entire functions anddepartments. This study will provide background and context for the issue of outsourcing.suggest several useful guidelines for the entities of library outsourcing in Korea. One of thecommon rationales for outsourcing is that the activity being outsourced is a "noncore"functions to the mission of the libraries. The best approach to outsourcing is probably a'middle-ground' objective approache-ground' objective approach.

오동근(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여지숙(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3-4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전거통제를 위한 상호협력시스템으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미국의 NACO의 역사와 발전과정, PCC와의 관계 등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의 도서관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광범위한 전거데이터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NACO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으나, 표목 및 접근점의 선정과 형식에 관한 표준의 문제, 로마자화의 문제, 수록데이터의 유용성, 비용, 정책상의 문제 등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전거통제를 위한 상호협력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NACO는 하나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도태현(동의대학교 인문대학 문헌정보학전공) pp.49-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문헌정보학’과‘도서관’의 위기 상황을 구체화시켜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문헌정보학의 정체성과 실천성 문제, 학부제 하에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문제, 대학도서관과 전산부서와의 통합 문제, 공공도서관의 명칭변경, 민간위탁 문제,‘도서관 정보화사업 계획’등을 다루었다.

Abstract

이종문(오산대학 정보관리과 겸임) pp.71-88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기존의 방송교육이 지니고 있는 정지성, 획일성, 일방통신성, 순간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디지털도서관기술을 기반으로 한 방송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송사가 디지털도서관을 설립하여 자사의 방송교육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할 수 있는 <TEX>$\ulcorner$</TEX>통합 가상방송교육센타<TEX>$\lrcorner$</TEX>를 인터넷상에 설립하여 통합 탐색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면 방송교육의 목적을 배가할 수 있다. 디지털도서관기술을 기반으로 한 방송 교육정보 인프라 구축 방안을 방송교육프로그램의 정보적 속성을 분석한 DB 프로그램의 설계, 멀티미디어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서지정보와 본문정보가 상호 연동된 DB의 구축과 인터넷 웹서비스 기술에 의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Abstract

노진구(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89-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스템기반의 정보검색시스템에서 이용자기반의 정보검색시스템으로의 페러다임이 이동을 개관하고 이용자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모델을 통하여‘이용자기반’에 대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기반’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또한 정보검색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관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이용자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의 설계에 고려되어야 할 6가지의 이용자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의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new concept of "user-centered" suitable for currentdigital environment and to derive system design factors necessary for user-centered informationretrieval system design of the university libraries.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users-centered' in digital environment where the supporting role ofintermediaries is growing bigger than before in the interaction with remote information retrievalsystem can be defined as the new concept of 'expansion of knowledge'.Second, 6 kinds of system design factors derived for user-centered information retrievalsystem design of the university librariesf the university libraries.

유길호(신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명숙(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사서) pp.115-1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온라인목록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용상황과 이용목적, 이용빈도, 이용유형 등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현행 온라인목록 시스템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보이용 서비스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 구축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과 대상은 온라인목록의 이론정립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근거로 한 문헌연구와 온라인목록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과 이용수준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민도서관 온라인목록 이용자 30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질문지기법과 면담에 의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Abstract

'I'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in an Online Public Access Catalog(OPAC) for improving information guidance service and user interface when constructing a new system. For this purpose, users' using situations, purposes, frequencies, and types were examined and the problems of the present OPAC were found and some measures of improvement were proposed. Literature studies and a survey were paralleled in this study. The former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o theorize the use of OPAC, and the latter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m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OPAC and OPAC's using levels, which was made on 308 users, with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ho have been using OPAC in Shimin Library.

강미혜(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45-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구립도서관의 건립현황과 운영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면담과 설문지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설문지는 총 432부가 배포되어 85.4%가 회수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 전체 25개 구 중 공공도서관이 없는 10개 구에 구립도서관이 건립될 예정되었다. 2) 2000년 현재 구립도서관이 완공된 곳은 3개 구이며, 5개 구는 건립이 추진 중에 있고, 나머지 2개 구는 건립계획을 보류 또는 중단되었다. 3) 사서조사를 토? 구립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봉사에 대한 현황을 파악되었다. 4) 이용자 조사를 통해 구립도서관의 이용환경이 이용자의 요구와 필요에 어느정도 부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구립도서관은 사회교육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어느정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였다. 5) 조사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구립도서관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엄영애(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서관학과) pp.169-184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와 도서관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장서개발교육의 변화와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선택으로 출발한 교과목이 장서개발 및 장서관리로 바뀌게 된 배경을 살펴본 후, 교과목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장서개발 관련 교과목의 소개 및 개요를 모아서 분석하였다. 1980년대까지도 대부분의 학과가 자료선택(론)으로 가르치던 것이 1990년대에는 장서개발(론)로 변하였으나 교육되는 과정의 개요를 분석한 결과는 과목 명은 달라졌으나 내용 및 교육의 목적은 자료선택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장서개발의 교육과 실행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 for collection development has been changed and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related courses. The author tried to search some historical backgrounds on how selection of books became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As for the ducation for collection development, the changes the course titles dealing with collection development were surveyed, and the contents of the courses provided by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analyzed. It was found out that though the course titles have been changed from selection of materials collection development, the contents showed their emphases on such selection-oriented topics as selection tools and acquisitions. It is concluded that as far as the contents are concerned, most of the important components for collection development have been taught. Based on the findings, a few suggestions including that there should be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heories taught at library schools and the practices performed by librarians are recommended.

이우범(한성대학교 지식정보학부) pp.185-211
초록보기
초록

본 고는 북부지역 7개 대학을 중심으로 디지털도서관의 효과적인 구축·활용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리 나라는 자원이나 공간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안으로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이 지역적 디지털 네트워크의 구성이다. 지역적 디저털도서관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도서관간의 설계 목표나 협력해야 할 사항들과 그 모형의 설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methods on effective design and positive usability that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gital library project to be comprised of 7 university in north are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 I want to suggest that the nation must assist positively the development for an cooperative digital library model.

손혜경(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13-241
초록보기
초록

‘기록물의 보존’은 도서관존립에 초석이 되는 개념이다. 종이는 보존에 가장 적합한 매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이기록물의 바람직한 보존환경을 분석하고 현재 도서관이 기록물 보존 환경을 조사한다. 아울러 종이기록물을 제대로 보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Preservation of records' is the very cornerstone upon which library is founded. The pape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oper media for the pre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paper records. And this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김종성(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영아(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 자료실) pp.243-27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교육의 현단계를 검토하고 그 발전전략을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공공도서관 어린이 열람실과 민간 영역의 어린이 독서교육 기관과 단체를 면밀하게 조사하고 관련자들을 심층 면접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교육의 확대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rategies for children's reading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By comparing the activitie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were sought.

홍현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77-301
초록보기
초록

각종 첨단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활동의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정보화 현상이 더욱 보편화되면서 정보전문가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들의 역할과 능력도 재평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전문직의 역할을 규명하고, 정보전문직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정보전문직의 능력에 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전문직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현장이 요구를 파악하며, 궁극적으로는 21세기 사회, 문화, 정보기능을 담당할 정보전문직 양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Abstrac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