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과 대학생을 위한 독서회 조직과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tudent Reading Clubs for the Univers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261-283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261
임성관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발달단계상의 과도기로, 아직 학생의 신분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모에게 의존을 하는 등 주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스스로 공부해야 하고 직업 탐색을 통해 나아갈 길을 모색해야 하는 등의 자기 결정권과 책임 또한 높아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중․고등학생 시기와 마찬가지로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때 전통적 가치를 배우고 현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주제 분야의 책을 함께 읽고,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인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면 성숙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문헌정보학과 대학생 독서회의 사례를 바탕으로, 대학생 대상의 독서회를 조직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Library, University student, Reading club, Organization of reading club, Management of reading club, 문헌정보학과, 대학생, 독서회, 독서회 조직, 독서회 운영

Abstract

The times when students are university age is a time or period of great transition and individual growth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Students are still semidependent upon their parents both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However, it is also a time for growing self-determination and responsibility, such as studying on their own, finding effective approaches for job searches, and realizing or becoming aware of their future places in society. Therefore, a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can be a very confusing time, especially with an individual’s self-identity. If students are able to read pertinent subject matter books, talk with people and expand their scope of recognition, they should be able to better grasp traditional values and current society viewpoints maturity levels and confidence will be greatly enhanced. In this study, I propose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the necessary methods for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 reading clubs, focusing specifically on case studies with the whole count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aid students in this critical time in their young lives.

keywords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Library, University student, Reading club, Organization of reading club, Management of reading club, 문헌정보학과, 대학생, 독서회, 독서회 조직, 독서회 운영

참고문헌

1.

강복환. 1999. 소집단 독서회의 운영에 관한 소고. 한국초등국어교육, 15(1): 231-249.

2.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http://kosis.kr/index/index.do>. [인용 2019. 5. 17].

3.

김경진. 2019. 대학생의 독서활동이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청소년전공.

4.

김승환. 2002. 독서캠프 활동이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운영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2): 25-46.

5.

김현경. 2013. 전문대학생을 위한 독서클럽 운영의 필요성과 실제 : 경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2013년 여름호(통권 제70호): 21-30.

6.

독서동아리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readinggroup.or.kr>. [인용 2019. 5. 18].

7.

문화체육관광부. 2018. 2018년(’17년 실적)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보고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8.

박정길. 2006. 대학생 독서부진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3-22.

9.

손정표. 1999. 신독서지도방법론. 대구: 태일사.

10.

손정표. 2003. 신독서지도방법론. 수정증보판. 대구: 태일사.

11.

심보경, 윤인선. 2016. 대학생 독서토론 능력 향상을 위한 북클럽 활용 교수법. 언어학 연구, 39: 189-210.

12.

이정춘. 2000. 미디어 환경과 독서교육. 서울: 이진출판사.

13.

이종호. 2019. 대학, 지역사회와 ‘함께 살기’. 프레시안. 5월 17일.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41250&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9T0>. [인용 2019. 5. 17].

14.

임수경. 2017. 대학도서관을 통한 대학생 독서 활성화 방안 연구 : 실천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65-71.

15.

장인식. 1971. 공공도서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최상민. 2016. 독서토론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 성찰적 인성 개발. 한국리터러시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183-196.

17.

Denise M. Davis. 1991. Adult literacy programs : Toward equality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Journal of Reading 35(1): 35-36.

18.

Williams S. Gray. 1990. 독서의 과학적 연구와 사회학적 측면. 김효정 역. 도서관, 45(3): 41-4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