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466-254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운영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입증하기 위해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가치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서비스 항목에 대한 이용자의 지불 의사 금액(WTP)을 측정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설계하였다. 가치측정에는 비시장재의 가치평가에서 널리 활용되는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적용하였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총 537명의 응답자 중 348명의 유효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WTP를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여 경제성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치측정 도구는 투자 결과를 수치화하여 명확히 제시할 수 있도록 ROI 산출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2023년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A그룹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을 대상으로 가치를 측정한 결과, A대학은 42.26%, A전문대학은 65.03%의 ROI가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예산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he value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s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and economic viability of university library operations. To achieve this, a tool was designed to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s by measuring use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various service items. The valuation method employ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hich is widely used for evaluating non-market goods, and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the 537 respondents, valid data from 348 participants were utilized to analyze WTP and apply it to develop an economic evaluation tool. The value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investment outcomes clearly in numerical terms through the calculation of Return on Investment (ROI). To validate the tool’s effectiveness, it was applied to a university selected as the top-ranked institution in Group A of the 2023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an ROI of 42.26% for University A and 65.03% for College 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university library operations and securing budg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