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친구와 형성한 애착관계 및 자아수용 수준을 살펴보았다. 애착 유형은 안정형,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의 4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애착유형에 따라 자아수용,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 친구에 대한 부정적 감정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안정형과 무시형 애착은 몰입형과 공포형 애착보다 자아수용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안정형과 무시형 애착 사이의 자아수용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안정형 애착은 불안정형(무시, 몰입, 공포형) 애착보다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유의미하게 컸으며, 안정형 애착은 몰입형과 공포형보다 친구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유의미하게 작았다. 본 연구결과가 애착이론 및 심리치료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 and self-acceptance and affection and negative feelings for friends. A total of 468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4-category Relationship Questionnaire, Self-Acceptance Scale from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the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Respondent's Affection and Negative Feeling sc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scored higher in self-acceptance than those with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s. Participa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scored higher in affection for friends than those with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s. Participa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also obtained lower scores in negative feelings for friends than those with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attachment theory and psychotherapy are discussed.
강차연, 박경 (2001).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달발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51-69.
김광은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53-69.
김광은, 이위갑 (2005). 연애관계에서 성인 애착 유형 및 요인에 따른 관계 만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33-247.
김명소, 임지영 (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김선희, 오경자, 박중규, 이은정 (2001). 애착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인지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 105-119.
김은정, 권정혜 (1998).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성인기 애착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힘리학회지: 임상, 17(1), 139-153.
김재희, 주은선 (2001). 부적응 청소년집단의 애착유형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07-125.
문현미 (2005).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5-33.
박영림, 최혜림 (2002).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 애착, 부부갈등 지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741-755.
신노라, 안창일 (2004). 성인애착유형과 자기개념, 효능감,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 수준과 대인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49-968.
신의진, 이정숙, 정석진, 홍현주 (2003). 한국 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임상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55-174.
양혜선 (2004).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옥정, 오윤희, 정현옥 (2001). 청소년기 애착유형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2), 259-270.
유희정, 강연옥, 이훈진 (2004). 아동의 장애유형과 어머니 애착유형이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77-89.
윤호균 (2001). 공상, 집착 그리고 상담: 상담접근의 한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18.
이경숙, 박진아 (2004). 학령후기 아동의 성과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1), 63-81.
이경숙, 신의진, 김혜연 (1999). 아동의 정신병리와 어머니의 성인애착표상 유형(AAI)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1), 103-115.
이경숙, 엄혜련, 정영윤 (2004). 잠재된 비행청소년의 애착유형(AAI)에 따른 아동기 양육경험과 문제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511-532.
이귀선, 정남운 (2003).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과 효과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79- 793.
이은해, 고윤주 (1999). 대학생의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기능 및 친구관계망의 구조적 변인 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201-219.
이주일 (2004).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 추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11-29.
이훈진 (2002). 편집증 집단의 애착유형과 가족 응집성 및 가족 의사소통.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791-807.
이훈진 (2004). 피해망상 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애착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81-395.
이희영 (1999).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 관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2), 239-259.
장휘숙 (1997a). 성인애착의 3범주 모델과 4범주 모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발달, 10(2), 123-138.
장휘숙 (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15- 130.
장휘숙 (2000). 애착과 대학생의 정체감 발달(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141- 157.
장휘숙 (2002).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15(1), 101-121.
장휘숙, 한건환, 전우정 (2002). 부모에 대한 애착과 성역할 정체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3), 93-103.
장휘숙 (2002). 애착과 사랑양식 및 관련변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4), 93-111.
장휘숙 (2001). 애착과 다섯가지(Big Five) 성격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2), 105-119.
정태연, 최상진, 강진경 (2000). 성인기 애착특성과 낭만적 사랑 및 성격특성과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2), 85-102.
조영주, 최혜림 (2001). 부모와의 애착 및 심리적 독립과 성인애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71-91.
지승희, 이혜성 (2001).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 과정 및 변화 요인 연구: 애착이론적 조망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55-73.
한수정, 신민섭, 김중술, 권석만 (2002). 성인기 애착 양식원형과 내적 작동 모델 요소간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임상, 21(1), 93-124.
허정선, 현명호 (2005). 가족의 애착, 귀인양식 및 자아탄력성과 표출정서(Expressed Emotion)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37-51.
Ainsworth, M. D. S. (1985). Patterns of infant-mother attachments: Antecedents and effects on development.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61, 771-791.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226-244.
Bowlby, J. (1977).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0, 201-210.
Brisch, K. H. (2003). 애착장애의 치료: 이론에서 실재까지. (장휘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644-663.
Cozzarelli, C, Hoekstra, S. J., & Bylsma, W. H. (2000). General versus specific models of attachment: Are they associated with different outcom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5), 605-618.
Feeney, J. A., & Noller, P. (1990). Attachment styles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281-291.
Griffin, D., & Bartholomey, K. (1994a). Models of the self and other: Fundamental dimesions underlying measure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3), 430-445.
Hazan, C., & Shaver, P. R. (1987). Conceptualizing romantic love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Kernis, M. H. (2005). Measuring self-esteem in context: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x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Special Issue: Personality in Daily Life)
Mendelson, M. J., & Aboud, F. E. (1999). Measuring friendship quality in lat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1, 130-132.
Mendelson, M. J. (1995).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Negative Feelings. Unpublished measure, Ma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Mikiluncer, M. (1995). Attachment style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6), 1203-1215.
Mikiluncer,, M. (1998) Adult attachment styles and affect regulation: Strategic variations in self-apprais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420-43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Simpson, J., Rholes, W., & Melligan, J. S. (1992). Support seeking and support giving withing couples in and anxiety-provoking situation: The role of attachent sty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434-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