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on Excessive Internet Use

초록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자기애의 내현적 성격성향이 인터넷 보상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로 인한 인터넷 과다사용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고등학생 234명과 인터넷 블로그 이용자 8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인터넷 중독 척도, 인터넷 보상경험 척도,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Korean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 KIAS-40)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를 일원변량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인터넷 과다사용과 인터넷 보상경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보상경험의 관련성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의 하위요인 중 내현적 자기애가 보이는 특성 즉, ‘회피/고립’과 ‘비주장성/소심’의 측면이 인터넷 보상경험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도 증명되었다.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과다사용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인터넷 보상경험의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overt narcissism, excessive internet use,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내현적 자기애, 인터넷 보상경험, 인터넷 과다사용, 대인관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excessive internet use. It also explored the role of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excessive internet use. A total of 234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80 Internet Blog users completed Covert Narcissism,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vert narcissism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and excessive internet us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mediates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excessive internet use.

keywords
Covert narcissism, excessive internet use,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내현적 자기애, 인터넷 보상경험, 인터넷 과다사용, 대인관계

참고문헌

1.

강선희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강연우 (2004).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석만ㆍ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4.

김광웅, 유미숙, 이지항 (2004). 인터넷 중독여부에 따른 온라인 대인관계 성향과 대면대인관계 성향의 차이.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5(2), 109-120.

5.

김인경 (2005). 블로그 이용을 통한 대인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싸이월드 미니홈피 이용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욱 (1997). 나르시시즘에 대한 이해: 개념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학생연구, 32(1), 43-59.

7.

김종범 (2000).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 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9.

김현철 (2004). 블로그 이용동기와 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길 (2003). 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의 위험요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세란 (2004). 외현적ㆍ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백승혜 (2004). 내현적ㆍ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출 양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명준 (2000). 인터넷 중독자의 온라인 및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송원영 (1999).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돈규 (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경향에 따른 대인관계활동 및 만족도의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0(3), 481- 500.

16.

이윤조 (2002).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인숙 (2002).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불안 및 방어성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임효정 (2000). 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 간의 심리특성 연구: 대인예민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재홍, 신효정 (2003).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651-672.

20.

장재홍, 유정이, 권해수, 김형수, 최한나 (2002). 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프로그램 개발. 2002 청소년 상담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21.

정남운 (2001). 과민성 자기애 척도(the 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93-216.

22.

정남운 (2004).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의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37-51.

23.

천명재 (2004). 인터넷 이용동기 프로파일에 의한 인터넷 중독자 분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최종순 (2003).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표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한수정 (1999).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외현적ㆍ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혜림 (2003).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끼치는 영향: 수치심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상민ㆍ한규석 (1999). 사이버 공간의 심리: 인간적 정보화 사회를 향해서. 서울: 박영사.

2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9.

Dickinson, K. A. (2001).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PhD.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30.

Freud, S. (1953).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London: Horgath Press. (Origianal work published 1914)

31.

Hendin, H. M. (2001). Narcissism, motives, and emotions: An exploration of the narcissistic paradox.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USA.

32.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ity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33.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4.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5.

Kohut, H. (c1991). Freud's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International Psychoanalytical Associ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36.

Lasch, C. (1989). 나르시시즘의 문화. (최경도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전은 1979에 출판)

37.

Millon, T. (1996). Disorders of Personality. N.Y.: Wiley.

38.

Paley, S. A. (2000). Body Dysmorphic Disorder: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and an investigation of its relationship to covert narcissism. PsyD.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Berkeley, Alabama. USA.

39.

Patricia, M. Wallace (2001). 인터넷 심리학. (황상민 역). 서울: 에코리브르. (원전은 1999에 출판)

40.

Rathvon, N., & Holmstorm, R. W. (1996). An MMPI-2 portrait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 1-19.

41.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