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최근 상담의 동향은 ‘치료’보다는 예방, 성장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으며, 전인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집단상담 모형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본주의 상담이론을 배경으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제 1부의 심리 내적 변인의 재구조화와, 제 2부의 직업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아개념, 자아실현, 진로성숙도 등의 향상을 통하여 자기성장에 이르도록 고안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인간의 자기성장을 강조한 Rogers, Maslow, Allport 등의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의 이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재창의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김옥진의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일고찰을 준거틀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자아개념, 자아실현도,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각 하위영역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사후검사의 점수는 사전검사의 점수보다 자기보고식 질문지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후평가 시 집단간 차이를 보면 자아개념과 자아실현검사, 진로성숙도 검사에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점수가 높았으며,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자기발견 영역과 진로탐색의 영역 모두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아실현도 및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d practice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which can be used in adolescent) through increasing of the adolescents' self-concept, self actualization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amine it's effect in order to produce the helpful data in using the program more effectively. Through this study, I try to convince person of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self growth group counseling in the actual spot. The testee of this study is 104 college students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orientation of university and tested at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They are divided into eight groups. They consists of 4 experimental groups and 4 control groups. It takes a random sample 13 students each group. The period of the performance is 12 weeks(two hours a week). It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for verifying the effect of program.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are: Jung Won-sick's Korean version of “Self concept scale” produced by William H. Fitts, Kim Jae-eun & Lee Kwang-ja's Korean version of “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produced by Shostrom and Jang Suk-min's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by Sup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cept, self- actualization and career matur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enforced by the program. Second, it shows more positive results in self-reported questionnaire post-test than pre-test in experimental group. Through this program it is said that it verifies fact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s on adolescents' self-concept, self-actualization and career maturity.
김계현 (2001). 학생들의 자존감 발달지도. 상담과 선교, 32, 62-76.
김문영 (1999).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8(1), 83-96.
김선남 (1979). T-집단 경험이 중학생의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원선 (1989). 진로의식성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희 (2002). 가족 재구성 모델을 통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99-619.
김정택․심혜숙 (1994). MBTI 성격유형검사의 활용. 서울: 심리검사연구소.
김재은․이광자 (1970). 자아실현검사법 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김충기 (1988). 진로지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도대책. 성곡논총, 9, 57-113.
노안녕 (1984). 자기성장훈련이 자아실현, 지각향상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 15, 59-74.
박애선․이영희 (1994). 여성주의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수준과 적응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6(1), 119-141.
손영환․김교정 (2003).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지방교육경영, 8, 101-119.
이성진 (1978). 상담과 지도. 한국카운슬러협회 제12차 연차대회보고서.
이재창 (1983). 청소년 의식구조 및 형성배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재창 (1988). 생활지도. 서울: 문음사.
이재창 (1989). 사랑의 물결.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이재창 (1992). 자기성장과 인간관계. 서울: 한국가이던스.
이형득 (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이형득 (1983).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이형득 (1992). 상담이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장석민 (1992). 진로성숙도검사법 요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장휘숙 (2002).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및 조직, 15(1), 101-121.
정원식 (1980). 자아개념 검사법 요강. 서울: 코리안테스팅 센터.
정희정․이소희 (2003). 놀이치료 종결과 관련된 변인의 탐색연구. 놀이치료연구, 6(2), 58-71.
채경선 (2006). 기독교 부모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1(3), 53-76.
홍경자 (1986). 성장을 위한 생활지도. 서울: 탐구당.
Fitts, W. (1965). Tennessee self-concept scale manual. Nashville, Tenn.: Counselor Recordings and Tests.
Johnson, D. W. (1990). Reaching out: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actualization,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Maslow, A. H. (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Harper & Row.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Rosenberg, C. H. (1979).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J. Suls & A. G. Greenwald(eds.). Psychology perspectives on the self. Hillsadale, N.J.: Erlbaum.
Smith, G. E. (1981).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uidance class: an organiz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 120-124.
Shavelson, R. J. & Bolus, R. (1982). Self-concept: the interplay of theory and metho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Shostrom, E. S. (1964). An inventory for the measurement of self-actualiz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4(2), 207-218.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2n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Zarle, T. H. & Willis. S (1975). A pre-group training technique for encounter group stress.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13(6), 4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