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기존도구의 고찰을 통해 외상 유형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성을 드러내는 문항을 추출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1차 증상에 대해서는 Davidson et al.(1997)의 DTS(Davidson Trauma Scale)를 번안하였고 북한이탈주민에게 흔히 나타나는 complex-PTSD에 대해서는 DSM-Ⅳ의 기준을 참고로 PTSD치료 중인 북한이탈주민 4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결과를 문항으로 추가하였다. 그런 다음 북한이탈주민 전문가 1명과 상담 및 임상심리 전문가 2명을 선정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북한시절, 탈북과정, 남한입국 후 각각의 외상 유형 16문항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관련된 23문항의 강도와 빈도를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이들의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 MMPI, 미시시피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외상 유형에 따른 PTSD 수준(non-PTSD, full-PTSD, partial-PTSD) 간 차이와 정신건강 수준(정상집단, 정신과치료집단, PTSD집단)에 따른 집단간 차이검증을 하였다. 신뢰도 및 외상유형에 따른 PTSD 수준간 차이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은 북한이탈주민 302명(하나원 교육생 112명, 하나원 수료 후 남한거주 북한이탈주민 190명)이었고, 준거타당도 및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은 하나원 교육생 206명이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는 23문항의 4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3이었고 재 경험 요인은 Cronbach의 α계수가 .84, 회피/마비 요인은 .81, 과각성 요인은 .89, complex-PTSD 요인은 .81이었다. 미시시피 PTSD와는 .65의 상관을, MMPI의 L척도와는 -.25, K척도와는 -.43의 부적 상관을 F척도와는 .47, Hs척도와는 .35, D척도와는 .38, Hy척도와는 .29, Pd척도와는 .27, Pa척도와는 .31, Pt척도와는 .43, Sc척도와는 .45, Si척도와는 .25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이들의 외상유형에 따른 PTSD 수준(non-PTSD, full-PTSD, partial- PTSD)에 차이가 있었고, 정신건강 수준(정상집단, 정신과치료집단, PTSD집단)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북한이탈주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North Korean defector(or North Korean refugee), PTSD, PTSD symptom scale, North Korean defector(or North Korean refugee), PTSD, PTSD symptom scal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 (PTSS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First, the PTSSS was administered to 302 North Korean defectors to examine validit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indicated there were four factors: Re-experiencing, Avoidance/Numbness, Hypertension, and Complex PTSD. Second, the PTSSS was administered to 302 North Korean defectors to examine reliability. There was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93) for the total scale. Finally, the PTSSS was administered to an additional 206 defectors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The PTSSS was correlated as anticipated with the Mississippi-PTSD scales. Further, PTSSS total scores differed according to expectations for the psychiatric treatment, PTSD, and normal groups within this third sample. The PTSSS is an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post-traumatic str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북한이탈주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North Korean defector(or North Korean refugee), PTSD, PTSD symptom scale, North Korean defector(or North Korean refugee), PTSD, PTSD symptom scale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

강영수 (199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을 위한 미시시피척도와 MMPI-PTSD척도의 비교.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3.

김현아, 전명남 (2003).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 129-160.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4.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5.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17(1), 217-231.

6.

우현아 (2001). 교통사고 환자의 다발성 손상정도와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7.

이선미 (2001).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8.

이선미, 김정희 (2002).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47-563.

9.

이숙영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0.

이유진 (2001). 외상환자에서 의식소실 유무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 및 증상 양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서울: 오름.

12.

정범모, 이정균, 진위교 (1965). 다면적 인성검사(간편용) 실시요강. 서울: 코리안테스팅.

13.

최경숙, 임채기, 최재욱, 강성규, 염용태 (2002). 일부 산업재해 환자들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신경정신의학, 41(3), 461-471.

14.

홍창형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15.

Balian, K. (1997). Overview of issues and the United Nations ro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n survivors of torture: Improving our understanding conference, Washington, DC.

16.

Barudy, J. (1987). Psychotherapy among Latin American Torture Victims in Belgium. Paper presented at workshop on Refugee Children's Mental Health. Refugee Studies Center, Oxford University.

17.

Blair, R. G. (2000).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TSD and major depression among Cambodian refugees in Utah. Health & Social Work, 25(1), 23-30.

18.

Chen, C. H., Lin, S. K., Tang, H. S. & Shen., W. W. (2001). The Chinese version of the Davidson Trauma Scale: A practice test for validatio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5, 493-499.

19.

Chung, R. C-Y., & Bemak, F. (2002). Revisiting the California Southeast Asian mental health needs assessment data: An examination of refugee ethnic and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111-119.

20.

Chung, R. C. Y. (2000). Psychosocial adjustment of Cambodian refugee women: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counseling.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3(2), 115-126.

21.

Davidson, J. R. T, Tharwani, H. M., & Connor, K. M. (2002). Davidson Trauma Scale(DTS): normative score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effect sizes in placebo-controlled SSRI trial. Depression and Anxiety, 15, 75-78.

22.

Davidson, J. R. T., Book, S. W., & Colket, J. T. (1997). Assessment of a new self-rating scale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logical Medicine, 27, 153-160.

23.

Davidson, J. R. T., Malik, M. A., & Travers, J. (1997). The structured Interview for PTSD: psychometric validation for DSM-Ⅳ criteria. Depression and Anxiety, 5, 127-129.

24.

Falsetti, S. A., Resnick, H. S., Resick, P. A., & Kilpatrick, D. G. (1993). The Modified PTSD Symptom Scale: A brief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Behavior Therapist, 16, 161-162

25.

Fazel, M., Wheeler, J., & Danesh, J. (2005). Prevalence of serious mental disorder in 7000 refugees resettled in western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Lancet, 365, 1309-14.

26.

Foa, E. B., Cashman, L, Jaycox, L., & Perry, K. (1997).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4), 445-451.

27.

Foa, E. B., Riggs, D. S., Dancu, C. V., & Rothbaum, B. O. (199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instrument for asses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Traumatic Stress, 6, 459-474.

28.

Hammaberg, M. (1992). Penn Inventor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metric properties. Psychological Assessment, 4, 67-76.

29.

Horowitz, M., Wilner, N., & Alverez, W. (1979). Impact for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 209-218.

30.

Hovath, J. (1987). Swedish Red Cross Center Programme for the Rehabilitation of Torture Victims. Paper presented at workshop on Psychological Problems of refugees and Asylum Seeker, Vitznau, Switzerland.

31.

Jeon, W. T., Hong, C. H., Lee, C. H., Kim, D. K., Han. M. Y., & Min, S. K. (2005).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2), 147-154.

32.

Kean, T. M., Malloy, P., & Fabank, J. (1984). Empirical development of an MMPI subscale for the assessment of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2, 888-891.

33.

Keane, T. M., Caddell, J. M., & Taylor, K. L. (1988). Mississippi Scale for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ree studie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5-90.

34.

King, L. A., King, D. W., Leskin, G., & Foy, D. W. (1995). The Los Angeles Symptom Checklist: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ssessment, 2, 1-17.

35.

Kubany, E. S., Leisen, M. B., & Kaplan, A. S. (2000). Validation of a brief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distressing event questionnaire(DEQ). Psychological Assessment, 12(2), 197-209.

36.

Lauterbach, D., & Vrana, S. (1996). Three studies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ssessment, 3, 17-25.

37.

Liebkind, K. (1996). Acculturation and stress: Vietnamese refugees in Finland.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27, 161-180.

38.

Mormartin, S., Silove, D., Manicavasagar, V., & Steel, Z. (2002). Range and dimensions of trauma experienced by Bosnian refugees resettled in Australia. Australian Psychologist, 37(2), 149-155.

39.

Nicholson, B. F. (1997). The influence of premigration and postmigration stressors on mental health: A study of Southeast Asian refugees. Social Work Research, 21, 19-31.

40.

Weathers, F. W., Blake, D. D., Krinsley, K. E., Haddad, W., Huska, J. A., & Keane, T. M. (1992). The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26th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Advancement of Behavior Therapy, Boston, MA.

41.

Weiss, D. S., & Marmar, C. 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J. P. Wilson & T. M. Keane(Ed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STD. New York: Guilford Press.

42.

Weiss, D. S., Marmar, C. R., Schlenger, W. E., & Fairbank, J. A. (1992). The prevalence of lifetime and par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etnam theater veterans. Journal of Trauma Stress, 5, 365-376.

logo